$\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위논문] 張三丰의 太極煉丹思想 硏究
A Study on the Taijiliandan Theory of Zhang San-Feng 원문보기


심연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불교학과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張三?은 遼東 懿州사람으로 중국 역사상 저명한 道士이자 武學의 鼻祖이다. 이름은 君寶라고도 하고 全一이라고도 하며 元ㆍ明 두 왕조를 거쳤다고 하나 정확한 생몰연대는 알 수 없다. 그는 일찍이 鹿邑의 太淸宮(지금의 河南 鹿邑縣)과 太和山(지금의 湖北 武當山)에서 수도하였고, 그의 명성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명황실의 訪賢 및 그의 은일한 풍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그는 은둔할수록 더욱 세상에 알려지게 되고, 명성이 드러날수록 더욱 이름을 감추고 살았는데 이는 중국 隱士들의 일반적인 은선의 풍격을 나타낸다. 明代 洪武 初(1368), 그는 太和山의 玉虛宮에 띠 집을 짓고 살면서 고목아래에서 정좌할 때마다 들짐승들이 침범하였으나 아랑곳 하지 않자 사람들은 더욱 기이하게 여겼다. 이후 또 무당산으로 들어가 살면서 항상 마을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이 산은 후에 그 이름을 천하에 드날릴 것이다”라고 했다. 明 洪武17년(1384)과 洪武18년(1385)에 太祖 朱元璋이 두 차례 장삼봉에게 입조할 것을 명했으나 가지 않았고, 홍무23년(1390)에는 그가 무당산을 떠난 이후 종적을 모르는데도 明 成祖는 여전히 여러 차례 그를 招徵하기도 하고 서찰을 보내 앙모의 마음을 전하기도 했다. 영락 초(1403)에는 조정에서 그가 무당산에 돌아와 주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거대한 자금을 들여 궁관을 지었다. 明 天順年間(1457~1464), 그에게 ‘通微顯化眞人’이라 시호하였고 그는 결국 종적을 알 수 없었다. 한편 그의 사상적 경향은 전진도의 전통을 계승한 데서 드러나 있다. 이는 친작으로 알려진『장삼봉전집』의「대도론」「현기직해」「현요편」등에 보인다. 그 내용은 주로 삼교융합에 바탕한 ‘煉己’와 ‘성명쌍수’의 兩大 이론인데 특히 ‘연기’는 가장 어렵고도 중요함으로 시종일관 끊임없는 수련을 통해 순숙해져야 비로소 최고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여겼다. 나아가 ‘성명쌍수론’에 바탕하여 동공인 武當內家拳을 창시하였다. 이는 그가 무당산에 있을 때 새와 뱀이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hang San-feng, was born in Liaodong Yizhou, He lived as the Chinese Taoist and a famous founder of martial arts of Wudangschool from Yuan to Ming dynasty, also known as JunBao, Qhuan-Yi. whose birthday and death day unknown. He ever studied in Taiqing Palace of Luyi(now Luyi County in Henan), preac...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심연진
학위수여기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불교학과
지도교수 김낙필
발행연도 2014
총페이지 214 p.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3418315&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