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원문보기
국문초록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상담 학과 박영현 지 도 교 수 박승민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와 체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내면아이치료가 상담 현장에 치료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심도있게 기술하고 그러한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지오르지의 기술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 생활이 10년 이상 된 기혼자 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였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그 결과 30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되었다. 그 내용은 <힘든 부부관계 속에서 애쓰며 살아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움, 내 탓 네 탓을 반복함, 가정을 지키고자 애씀, 상담공부를 ...
국문초록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상담 학과 박영현 지 도 교 수 박승민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와 체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내면아이치료가 상담 현장에 치료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심도있게 기술하고 그러한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지오르지의 기술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 생활이 10년 이상 된 기혼자 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였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그 결과 30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되었다. 그 내용은 <힘든 부부관계 속에서 애쓰며 살아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움, 내 탓 네 탓을 반복함, 가정을 지키고자 애씀, 상담공부를 해도 관계는 좋아지지 않음>, <나와 부부관계 변화를 기대하며 집단에 참여함: 내면아이 집단상담을 알게 됨, 나의 변화와 부부관계 회복을 간절히 원함>, <내면아이를 만남: 망설임과 기대감이 공존함,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만남, 처음으로 나의 목소리를 내고 상처를 애도함, 원래의 나 “놀라운 아이”를 발견함>, <치유와 회복이 시작됨: 수용과 연결감을 경험함, 하나님과 함께 함이 안전하고 든든하게 느껴짐, 나의 본질을 알게 됨, 어린 시절 상처가 현재의 삶과 연결돼 있음을 깨달음, 내면아이를 돌보기 시작함>, <부부관계 회복을 소망함: 집단 이후 혼란기를 겪음, 배우자에게 내면아이집단을 경험하게 하고 싶음>, <배우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뀜: 배우자에 대한 연민의 마음이 생김, 배우자의 내면아이를 이해하게 됨>, <나와의 소통이 배우자와의 소통의 밑거름이 됨: 나에게 먼저 묻고 나와 소통함, 배우자와 솔직한 소통과 나눔을 하게 됨, 내가 달라지면서 부부관계가 변화함>, <배우자를 역할이 아닌 존재로 만남: 배우자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게 됨, 배우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됨>, <진짜 나를 만나며 주체적 삶을 살게 됨: 나를 새롭게 보게 됨, 내면아이를 만나고 돌보며 내가 성장함, 상처와 고통이 자원으로 승화됨>, <참만남이 확장됨: 나와의 관계회복이 타인에게로 확장됨, 후속 작업이 필요함> 이었다. 집단을 경험한 사람들의 부부관계 재구성 경험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참여자 개인의 체험을 부부관계로 확장시켰다는 것, 둘째, 구성주의적인 철학에 기반을 두고 참여자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것, 셋째, 배우자에 대한 실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부가 서로 존재로서 만나는 참만남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혀냈다는 것, 넷째, 향후 부부상담 분야에서 내면아이 치유를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내면아이치료 모델과 이마고 부부관계 치료 모델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임상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 또한 내면아이치료 집단 참여 이후 개인 상담이나 치유 공동체 꾸리기 등의 후속작업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부부 모두 집단에 참여한 사례와 부부 중 어느 한 쪽이 참여한 사례를 나누어 부부 양쪽의 체험을 연구해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내면아이, 부부관계, 집단상담, 현상학적 연구
국문초록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상담 학과 박영현 지 도 교 수 박승민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와 체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내면아이치료가 상담 현장에 치료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심도있게 기술하고 그러한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지오르지의 기술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 생활이 10년 이상 된 기혼자 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였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그 결과 30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되었다. 그 내용은 <힘든 부부관계 속에서 애쓰며 살아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움, 내 탓 네 탓을 반복함, 가정을 지키고자 애씀, 상담공부를 해도 관계는 좋아지지 않음>, <나와 부부관계 변화를 기대하며 집단에 참여함: 내면아이 집단상담을 알게 됨, 나의 변화와 부부관계 회복을 간절히 원함>, <내면아이를 만남: 망설임과 기대감이 공존함,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만남, 처음으로 나의 목소리를 내고 상처를 애도함, 원래의 나 “놀라운 아이”를 발견함>, <치유와 회복이 시작됨: 수용과 연결감을 경험함, 하나님과 함께 함이 안전하고 든든하게 느껴짐, 나의 본질을 알게 됨, 어린 시절 상처가 현재의 삶과 연결돼 있음을 깨달음, 내면아이를 돌보기 시작함>, <부부관계 회복을 소망함: 집단 이후 혼란기를 겪음, 배우자에게 내면아이집단을 경험하게 하고 싶음>, <배우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뀜: 배우자에 대한 연민의 마음이 생김, 배우자의 내면아이를 이해하게 됨>, <나와의 소통이 배우자와의 소통의 밑거름이 됨: 나에게 먼저 묻고 나와 소통함, 배우자와 솔직한 소통과 나눔을 하게 됨, 내가 달라지면서 부부관계가 변화함>, <배우자를 역할이 아닌 존재로 만남: 배우자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게 됨, 배우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됨>, <진짜 나를 만나며 주체적 삶을 살게 됨: 나를 새롭게 보게 됨, 내면아이를 만나고 돌보며 내가 성장함, 상처와 고통이 자원으로 승화됨>, <참만남이 확장됨: 나와의 관계회복이 타인에게로 확장됨, 후속 작업이 필요함> 이었다. 집단을 경험한 사람들의 부부관계 재구성 경험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참여자 개인의 체험을 부부관계로 확장시켰다는 것, 둘째, 구성주의적인 철학에 기반을 두고 참여자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것, 셋째, 배우자에 대한 실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부가 서로 존재로서 만나는 참만남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혀냈다는 것, 넷째, 향후 부부상담 분야에서 내면아이 치유를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내면아이치료 모델과 이마고 부부관계 치료 모델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임상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 또한 내면아이치료 집단 참여 이후 개인 상담이나 치유 공동체 꾸리기 등의 후속작업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부부 모두 집단에 참여한 사례와 부부 중 어느 한 쪽이 참여한 사례를 나누어 부부 양쪽의 체험을 연구해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내면아이, 부부관계, 집단상담, 현상학적 연구
ABSTRACT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Park, Young Hyun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inner child therap...
ABSTRACT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Park, Young Hyun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inner child therapy can be effective. Inner child therapy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people those who attend inner child therapy group and their experiences on their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after attending this type of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tilize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offers a guideline that induces essential elements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d 6 participants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13 to February 2014.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30 compositional components and 10 constituent parts were induced. The contents are 〈Struggle to live on through difficult marriage relationship: un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 be reiterative in their exchanging criticism, make an effort to keep family, no recovery in marital relations despite of studying counseling〉, 〈Desire for a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get to know inner child group counseling, hope for recovery in relationship with self and partner〉,〈Encounter inner child: co-exist with hesitancy and expectation, meet wounded inner child, mourn his or her wounds having their own voice for the first time, find “wonder child” that is his or her true self〉,〈start healing and recovering: experience acceptance and the sense of connection, have felt that being with God is safe and supportive, know the essence of myself, realize that childhood wounds are connected with their current life, start to take care of his or her inner child〉,〈Hope to recover marital relations: experience confusion after the participating in the group, want to have his or her spouse experience inner child group〉,〈Change the perspective through which he or her used to see spouse: start to have compassion on their spouse, understand spouse’s inner child〉,〈Communicate with self helped communication with partner : communicate with myself by asking to myself first, start to communicate and share with spouse honestly,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takes place as changing myself〉, 〈Meet spouse not as a role but as a being: acknowledge the spouse as an equal partner, start to love spouse genuinely〉,〈Live an autonomous life as meeting true self: see myself afresh, Grow myself as meeting and taking care of my inner child, wounds and pains are sublimated as resources〉,〈Expand true encounter: extend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myself to others, require successive work>. Thi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structure of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of people those who experienced inner child group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expand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to marital relations. Second, make an attempt to reveal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are based on constructive philosophy. Third,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true encounter between spouses as each one meets the other as a being making exist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ir spouse which has been enabled empirically. Fourth, offer detailed information that inner child therapy is syntagmatic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ner child therapy model and imago marriage relationship therapy model need to be applied syntagmatically and be utilized therapeutically. Also successive work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or forming a healing community need to be continued after the inner child therapy group participation. A research that compares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the case where both married partn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and the case where only one spouse attended in the group would be relevant. Key Words: Inner child, Marital relations, Group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ABSTRACT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Park, Young Hyun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inner child therapy can be effective. Inner child therapy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people those who attend inner child therapy group and their experiences on their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after attending this type of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tilize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offers a guideline that induces essential elements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d 6 participants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13 to February 2014.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30 compositional components and 10 constituent parts were induced. The contents are 〈Struggle to live on through difficult marriage relationship: un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 be reiterative in their exchanging criticism, make an effort to keep family, no recovery in marital relations despite of studying counseling〉, 〈Desire for a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get to know inner child group counseling, hope for recovery in relationship with self and partner〉,〈Encounter inner child: co-exist with hesitancy and expectation, meet wounded inner child, mourn his or her wounds having their own voice for the first time, find “wonder child” that is his or her true self〉,〈start healing and recovering: experience acceptance and the sense of connection, have felt that being with God is safe and supportive, know the essence of myself, realize that childhood wounds are connected with their current life, start to take care of his or her inner child〉,〈Hope to recover marital relations: experience confusion after the participating in the group, want to have his or her spouse experience inner child group〉,〈Change the perspective through which he or her used to see spouse: start to have compassion on their spouse, understand spouse’s inner child〉,〈Communicate with self helped communication with partner : communicate with myself by asking to myself first, start to communicate and share with spouse honestly,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takes place as changing myself〉, 〈Meet spouse not as a role but as a being: acknowledge the spouse as an equal partner, start to love spouse genuinely〉,〈Live an autonomous life as meeting true self: see myself afresh, Grow myself as meeting and taking care of my inner child, wounds and pains are sublimated as resources〉,〈Expand true encounter: extend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myself to others, require successive work>. Thi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structure of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of people those who experienced inner child group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expand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to marital relations. Second, make an attempt to reveal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are based on constructive philosophy. Third,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true encounter between spouses as each one meets the other as a being making exist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ir spouse which has been enabled empirically. Fourth, offer detailed information that inner child therapy is syntagmatic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ner child therapy model and imago marriage relationship therapy model need to be applied syntagmatically and be utilized therapeutically. Also successive work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or forming a healing community need to be continued after the inner child therapy group participation. A research that compares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the case where both married partn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and the case where only one spouse attended in the group would be relevant. Key Words: Inner child, Marital relations, Group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