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실 승무원의 유니폼은 외적인 아름다움을 지녀야 할 뿐 아니라 승무원 작업동작에 적합한 작업복으로서의 기능성도 갖춰야 한다. 승무원의 작업 능률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승무원 업무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유니폼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 승무원이 작업동작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 및 근무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A항공사를 선정하여 실질적인 객실 승무원 작업동작을 분석하고 유니폼 하의의 동작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승무원의 객실서비스 업무 내용을 토대로 작업동작을 선정하고 동작 기능성 평가와 외관평가를 통하여 외관과 동작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을 개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는 전직 및 현직 A항공사 승무원이며, A항공사 유니폼 하의 55사이즈를 착용하는 것을 선정 조건으로 두어 최종 3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를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릎둘레, 다리가쪽길이, 엉덩이옆길이, 샅앞뒤길이의 9가지 항목을 인체계축하였다. 둘째, 기내 서비스 작업 동작을 분류하였다. 현직 승무원 5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를 통해 30가지 동작을 추출하고, 이러한 동작을 피험자 1인이 각 동작을 취하였다. 각 동작의 전면, 측면, 후면을 살펴본 의류학 전공 전문가 3인이 인체공학적 동작 평가 도구인 ...
객실 승무원의 유니폼은 외적인 아름다움을 지녀야 할 뿐 아니라 승무원 작업동작에 적합한 작업복으로서의 기능성도 갖춰야 한다. 승무원의 작업 능률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승무원 업무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유니폼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 승무원이 작업동작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 및 근무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A항공사를 선정하여 실질적인 객실 승무원 작업동작을 분석하고 유니폼 하의의 동작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승무원의 객실서비스 업무 내용을 토대로 작업동작을 선정하고 동작 기능성 평가와 외관평가를 통하여 외관과 동작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을 개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는 전직 및 현직 A항공사 승무원이며, A항공사 유니폼 하의 55사이즈를 착용하는 것을 선정 조건으로 두어 최종 3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를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릎둘레, 다리가쪽길이, 엉덩이옆길이, 샅앞뒤길이의 9가지 항목을 인체계축하였다. 둘째, 기내 서비스 작업 동작을 분류하였다. 현직 승무원 5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를 통해 30가지 동작을 추출하고, 이러한 동작을 피험자 1인이 각 동작을 취하였다. 각 동작의 전면, 측면, 후면을 살펴본 의류학 전공 전문가 3인이 인체공학적 동작 평가 도구인 OWAS 기준을 참고하여 하지 동작을 사용하는 동작을 선별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류학 전공 전문가 5인이 동일 동작을 분류하여 기내서비스 전 승객인사, 갤리 · 복도에서 카트 끌기, 복도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가운데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창가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카트 상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카트 중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카트 하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복도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가운데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창가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복도 청소하기, 입국서류 작성돕기, 승객 호출 응대하기의 14가지 기내서비스 업무 동작을 최종 선정하였다. 셋째, A항공사 유니폼 하의 패턴을 설계하였다.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스커트, 팬츠의 패턴은 YUCA CAD SYSTEM PROGRAM을 사용하여 제도하였다. 넷째, 5인의 의류학 전공 전문가에 의한 외관평가와 3인의 피험자에 의해 동작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존 패턴과 개선 패턴에 대한 항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의 인체측정 결과 신장은 평균 165.8㎝이었고, 체중은 50.6㎏, 허리둘레 70.1㎝, 엉덩이둘레는 90.4㎝, 넙다리둘레는 51.2㎝, 무릎둘레는 34㎝, 다리가쪽길이 25.5㎝, 엉덩이옆길이 18.4㎝, 밑위길이 68.6㎝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하의를 착용하여 실시한 외관평가와 착의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패턴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스커트의 경우,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기존 엉덩이 둘레 90㎝에서 92㎝로 수정하고, 허리둘레는 기존 65㎝에서 1.2㎝ 늘였다. 또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나타내기 위해 앞 다트 분량을 0.25씩 더 주고, 다트길이는 0.5㎝ 길게 내려 제도하였다. 스커트 밑단을 0.8㎝ 늘여 하지 동작 적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팬츠의 경우, 엉덩이둘레와 넙다리둘레, 팬츠 길이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아 엉덩이둘레를 2㎝를 늘여 제도하였다. 엉덩이둘레가 늘어난 점을 감안하여 앞, 뒤 허리다트 길이를 0.5㎝씩 길게 내려주었고, 밑단 둘레를 2㎝ 줄여 외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 A항공사 패턴의 팬츠를 착용하였을 때, 낮은 평가를 받았던 팬츠 길이 항목을 보완하기 위하여 길이를 3㎝ 줄여 패턴을 수정하였다. 셋째,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과 개선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에 대한 외관 및 동작 적합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먼저 스커트와 팬츠의 개선 실험복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커트의 외관평가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던 ‘엉덩이 둘레선의 여유분 항목’에서 연구패턴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고, ‘전체적인 맞음새 항목’에서도 기존패턴보다 연구패턴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팬츠의 외관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엉덩이 둘레선 여유분 항목’, ‘바지 길이 항목’, ‘바지 밑단 둘레 항목’은 연구패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기존 패턴의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당김 현상은 외관상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스커트 동작적합성 평가에서 개선복의 허리 부위와 배 부위의 항목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아 보정 치수가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던 엉덩이 부위 항목이 기존패턴보다 연구패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팬츠의 동작적합성 평가에서도 낮게 평가되었던 엉덩이 부위와 넙다리 부위, 길이, 밑단둘레 부위의 연구패턴에서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에서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하의 패턴의 착의평가 결과, 외관만족도의 경우 스커트가 팬츠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동작적합성 평가에서도 스커트가 팬츠 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A항공사 유니폼의 이미지와 디자인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패턴 보정을 통해 유니폼 하의에 여유량을 제공하고 동작 기능성 개선에 효과를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내 객실 환경과 객실 승무원 근무 내용을 수집 · 분석하고 인체공학적 평가도구를 근거하여 객관적인 동작을 기반으로 한 패턴 개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객실 승무원의 유니폼은 외적인 아름다움을 지녀야 할 뿐 아니라 승무원 작업동작에 적합한 작업복으로서의 기능성도 갖춰야 한다. 승무원의 작업 능률을 높여 주기 위해서는 승무원 업무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한 유니폼의 설계가 필요하다. 또 승무원이 작업동작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 및 근무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A항공사를 선정하여 실질적인 객실 승무원 작업동작을 분석하고 유니폼 하의의 동작 용이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승무원의 객실서비스 업무 내용을 토대로 작업동작을 선정하고 동작 기능성 평가와 외관평가를 통하여 외관과 동작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턴을 개선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는 전직 및 현직 A항공사 승무원이며, A항공사 유니폼 하의 55사이즈를 착용하는 것을 선정 조건으로 두어 최종 3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피험자를 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무릎둘레, 다리가쪽길이, 엉덩이옆길이, 샅앞뒤길이의 9가지 항목을 인체계축하였다. 둘째, 기내 서비스 작업 동작을 분류하였다. 현직 승무원 5인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조사를 통해 30가지 동작을 추출하고, 이러한 동작을 피험자 1인이 각 동작을 취하였다. 각 동작의 전면, 측면, 후면을 살펴본 의류학 전공 전문가 3인이 인체공학적 동작 평가 도구인 OWAS 기준을 참고하여 하지 동작을 사용하는 동작을 선별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류학 전공 전문가 5인이 동일 동작을 분류하여 기내서비스 전 승객인사, 갤리 · 복도에서 카트 끌기, 복도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가운데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창가좌석 승객에게 음료 드리기, 카트 상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카트 중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카트 하단에서 트레이정리하기, 복도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가운데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창가좌석에서 트레이회수하기, 복도 청소하기, 입국서류 작성돕기, 승객 호출 응대하기의 14가지 기내서비스 업무 동작을 최종 선정하였다. 셋째, A항공사 유니폼 하의 패턴을 설계하였다.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스커트, 팬츠의 패턴은 YUCA CAD SYSTEM PROGRAM을 사용하여 제도하였다. 넷째, 5인의 의류학 전공 전문가에 의한 외관평가와 3인의 피험자에 의해 동작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기존 패턴과 개선 패턴에 대한 항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의 인체측정 결과 신장은 평균 165.8㎝이었고, 체중은 50.6㎏, 허리둘레 70.1㎝, 엉덩이둘레는 90.4㎝, 넙다리둘레는 51.2㎝, 무릎둘레는 34㎝, 다리가쪽길이 25.5㎝, 엉덩이옆길이 18.4㎝, 밑위길이 68.6㎝로 나타났다. 둘째,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하의를 착용하여 실시한 외관평가와 착의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패턴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스커트의 경우,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기존 엉덩이 둘레 90㎝에서 92㎝로 수정하고, 허리둘레는 기존 65㎝에서 1.2㎝ 늘였다. 또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나타내기 위해 앞 다트 분량을 0.25씩 더 주고, 다트길이는 0.5㎝ 길게 내려 제도하였다. 스커트 밑단을 0.8㎝ 늘여 하지 동작 적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팬츠의 경우, 엉덩이둘레와 넙다리둘레, 팬츠 길이 항목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아 엉덩이둘레를 2㎝를 늘여 제도하였다. 엉덩이둘레가 늘어난 점을 감안하여 앞, 뒤 허리다트 길이를 0.5㎝씩 길게 내려주었고, 밑단 둘레를 2㎝ 줄여 외관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 A항공사 패턴의 팬츠를 착용하였을 때, 낮은 평가를 받았던 팬츠 길이 항목을 보완하기 위하여 길이를 3㎝ 줄여 패턴을 수정하였다. 셋째,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과 개선된 패턴으로 제작한 실험복에 대한 외관 및 동작 적합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먼저 스커트와 팬츠의 개선 실험복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커트의 외관평가에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던 ‘엉덩이 둘레선의 여유분 항목’에서 연구패턴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고, ‘전체적인 맞음새 항목’에서도 기존패턴보다 연구패턴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 팬츠의 외관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엉덩이 둘레선 여유분 항목’, ‘바지 길이 항목’, ‘바지 밑단 둘레 항목’은 연구패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기존 패턴의 문제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당김 현상은 외관상 편안함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스커트 동작적합성 평가에서 개선복의 허리 부위와 배 부위의 항목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아 보정 치수가 적당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던 엉덩이 부위 항목이 기존패턴보다 연구패턴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팬츠의 동작적합성 평가에서도 낮게 평가되었던 엉덩이 부위와 넙다리 부위, 길이, 밑단둘레 부위의 연구패턴에서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에서 기존 A항공사의 유니폼 하의 패턴의 착의평가 결과, 외관만족도의 경우 스커트가 팬츠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동작적합성 평가에서도 스커트가 팬츠 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A항공사 유니폼의 이미지와 디자인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패턴 보정을 통해 유니폼 하의에 여유량을 제공하고 동작 기능성 개선에 효과를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기내 객실 환경과 객실 승무원 근무 내용을 수집 · 분석하고 인체공학적 평가도구를 근거하여 객관적인 동작을 기반으로 한 패턴 개선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