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The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을 한글판으로 개발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안산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을 경험한 환자들 중 ICD-10에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The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을 한글판으로 개발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안산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을 경험한 환자들 중 ICD-10에 뇌진탕후증후군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선택하였다. 이외에도 ICD-10의 기질성 질환(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기질성 감정 이변성 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평가 척도인 PCSQ, State and Trait Anxiety in STAI(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CS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한글판 PCSQ의 Cronbach’s alpha 값은 0.956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36으로 나타나 PCSQ가 신뢰성 있는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PCSQ는 STAI-I, II, CE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구성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요인 분석 결과 PCSQ는 4개의 요인구조를 보였으며 제 1 요인은 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제 2 요인은 신체 증상 요인, 제 3 요인은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제 4요인은 과장성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으로 나타났다.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와 기질성 질환 환자 두 군에서 PCSQ의 총점, 4가지 하위 요인(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신체 증상 요인,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과장성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의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한글판 PCSQ가 외상성 뇌손상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밝혔다. 한글판 PCSQ는 뇌진탕후증후군 환자 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질성 질환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Lees-Haley가 1992년 개발한 The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을 한글판으로 개발하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안산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 중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을 경험한 환자들 중 ICD-10에 뇌진탕후증후군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선택하였다. 이외에도 ICD-10의 기질성 질환(기질성 기분장애, 기질성 불안장애, 기질성 인격장애, 기질성 감정 이변성 장애)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평가 척도인 PCSQ, State and Trait Anxiety in STAI(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CSQ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으며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한글판 PCSQ의 Cronbach’s alpha 값은 0.956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836으로 나타나 PCSQ가 신뢰성 있는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PCSQ는 STAI-I, II, CES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구성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요인 분석 결과 PCSQ는 4개의 요인구조를 보였으며 제 1 요인은 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제 2 요인은 신체 증상 요인, 제 3 요인은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제 4요인은 과장성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으로 나타났다. 뇌진탕후 증후군 환자와 기질성 질환 환자 두 군에서 PCSQ의 총점, 4가지 하위 요인(기분 및 인지 증상 요인, 신체 증상 요인, 드물게 나타나는 증상 요인, 과장성 또는 부주의한 응답 요인)의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한글판 PCSQ가 외상성 뇌손상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정신과적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밝혔다. 한글판 PCSQ는 뇌진탕후증후군 환자 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질성 질환 환자의 증상을 평가하는데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 is a self – report inventory for postconcussional syndrome (P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PCSQ and to verify that PCSQ does not only apply to PCS but also other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
Objectives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 is a self – report inventory for postconcussional syndrome (P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PCSQ and to verify that PCSQ does not only apply to PCS but also other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er,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rganic anxiety disorder and organic personality disorder. Methods The PCSQ, Trait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Short Depression Scale (CESD) were administered to 104 patients with postconcussional syndrome and 54 patients with organic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er,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rganic anxiety disorder and organic personality disorder. Mann-Whitney test was performed to find if there is any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CS group and the organic disorder group.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were performed. Inter-item correlation and test-retest correlation were evaluated. External validity of the PCSQ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TAI-I, II, and CES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CS group and the organic disorder group on the total score in the PCSQ and the scores in each subscale fact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PCSQ yielded 4 factors model. Factor 1 represented ‘affective and cognitive symptoms’, factor 2 represented ‘somatic symptoms’, factor 3 represented ‘infrequent symptoms’ and factor 4 represented ‘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symptom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total PCSQ was 0.956. In the subscale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0.956, 0.851, 0.751 and 0.686 (affective and cognitive, somatic, infrequent and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factor, respective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845. In the subscales, the test-retest coefficient were 0.873, 0.713, 0.621 and 0.743 (affective and cognitive, somatic, infrequent and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factors, respectively). The PCSQ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I-I, II and CESD (correlation coefficient 0.646, 0.64, and 0.779,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version of PCSQ is a reliable tool for assessing postconcussional syndrome. The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PCSQ yielded 4 factors model. The Korean version of PCSQ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organic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organic anxiety, organic personality and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bjectives Postconcussional Syndrome Questionnaire(PCSQ) is a self – report inventory for postconcussional syndrome (P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PCSQ and to verify that PCSQ does not only apply to PCS but also other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er,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rganic anxiety disorder and organic personality disorder. Methods The PCSQ, Trait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TAI-I, I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Short Depression Scale (CESD) were administered to 104 patients with postconcussional syndrome and 54 patients with organic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disorder,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organic anxiety disorder and organic personality disorder. Mann-Whitney test was performed to find if there is any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CS group and the organic disorder group.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were performed. Inter-item correlation and test-retest correlation were evaluated. External validity of the PCSQ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TAI-I, II, and CES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PCS group and the organic disorder group on the total score in the PCSQ and the scores in each subscale factor. The factor analysis of the PCSQ yielded 4 factors model. Factor 1 represented ‘affective and cognitive symptoms’, factor 2 represented ‘somatic symptoms’, factor 3 represented ‘infrequent symptoms’ and factor 4 represented ‘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symptom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the total PCSQ was 0.956. In the subscales,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ere 0.956, 0.851, 0.751 and 0.686 (affective and cognitive, somatic, infrequent and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factor, respectively).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was 0.845. In the subscales, the test-retest coefficient were 0.873, 0.713, 0.621 and 0.743 (affective and cognitive, somatic, infrequent and exaggeration or inattentive response factors, respectively). The PCSQ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I-I, II and CESD (correlation coefficient 0.646, 0.64, and 0.779,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version of PCSQ is a reliable tool for assessing postconcussional syndrome. The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PCSQ yielded 4 factors model. The Korean version of PCSQ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organic disorders including organic mood, organic anxiety, organic personality and organic emotionally labile disord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