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통해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가 평가하는 미술치료 만족도를 조사하고 다양한 개별요인에 따라 미술치료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김해, 창원, 양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자녀가 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학부모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직접 만나 설문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담당 복지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다보니 설문지를 회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112부(74.7%)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 5부를 제외한 107부(71.3%)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화하여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학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포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미술치료 만족도에 대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통해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가 평가하는 미술치료 만족도를 조사하고 다양한 개별요인에 따라 미술치료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김해, 창원, 양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자녀가 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학부모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직접 만나 설문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담당 복지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다보니 설문지를 회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112부(74.7%)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 5부를 제외한 107부(71.3%)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화하여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학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포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미술치료 만족도에 대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평균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3.83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하위요인 가운데 미술치료사만족도와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지만,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 미술치료프로그램 운영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를 받기 위한 절차 편리성, 미술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 지속적 제공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운영 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 1회 운영시간과 1회 비용 적절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에서 집에서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까지 걸리는 시간,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공간 구성,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필요한 도구의 충분한 구비성, 미술치료를 통한 학업성적 향상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보였다. 둘째,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성별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미술치료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전문대졸, 대학원졸, 대졸, 고졸 이하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정의 생활수준에서는 300만원 미만, 500만원 미만, 4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심리치료 경험 유무에서는 심리치료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경험이 없는 학부모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미술치료 이해도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는 매우 잘 알고 있음, 어느 정도 알고 있음, 전혀 모름, 보통 정도로 안다, 모르는 편이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아동 성별에서 여학생의 학부모가 남학생의 학부모보다 행정절차만족도, 프로그램운영 만족도, 환경 및 시설 만족도, 미술치료사 만족도, 프로그램효과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 집단구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6∼10명, 2∼5명, 개별적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2∼5명, 개별적, 6∼10명 순으로 미술치료사 만족도에서는 2∼5명, 6∼10명, 개별적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치료 받은 기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6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운영 만족도는 1년 이상, 1년 미만,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미술치료사 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1년 미만, 6개월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근 심리치료기법으로 많이 부각되고 있는 미술치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함을 보였고 특히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미술치료를 경험한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미술치료 서비스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미술심리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미술치료 대상아동 및 부모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구체적인 요인을 인식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기본적인 이해와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을 통해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경험한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가 평가하는 미술치료 만족도를 조사하고 다양한 개별요인에 따라 미술치료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김해, 창원, 양산지역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자녀가 미술심리치료를 경험한 학부모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직접 만나 설문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담당 복지사를 통해 설문조사를 수행하다보니 설문지를 회수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112부(74.7%)가 회수되었고, 이 가운데 무응답치나 연구의 가치가 없다고 판단된 자료 5부를 제외한 107부(71.3%)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질문지를 코딩화하여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 학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포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고, 미술치료 만족도에 대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부모 및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집단 간 평균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3.83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하위요인 가운데 미술치료사만족도와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였지만,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 미술치료프로그램 운영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를 위한 행정절차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를 받기 위한 절차 편리성, 미술치료에 대한 다양한 정보 지속적 제공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운영 만족도에서는 미술치료 1회 운영시간과 1회 비용 적절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미술치료 환경 및 시설만족도에서 집에서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까지 걸리는 시간,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공간 구성, 지역사회복지관 미술치료실의 필요한 도구의 충분한 구비성, 미술치료를 통한 학업성적 향상 기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보였다. 둘째,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성별에서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연령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미술치료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전문대졸, 대학원졸, 대졸, 고졸 이하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정의 생활수준에서는 300만원 미만, 500만원 미만, 400만원 미만, 500만원 이상, 200만원 미만 학부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심리치료 경험 유무에서는 심리치료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경험이 없는 학부모보다 높게 인식하였고, 미술치료 이해도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는 매우 잘 알고 있음, 어느 정도 알고 있음, 전혀 모름, 보통 정도로 안다, 모르는 편이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상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술치료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아동 성별에서 여학생의 학부모가 남학생의 학부모보다 행정절차만족도, 프로그램운영 만족도, 환경 및 시설 만족도, 미술치료사 만족도, 프로그램효과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였다. 미술치료 집단구성에 따른 미술치료만족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6∼10명, 2∼5명, 개별적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2∼5명, 개별적, 6∼10명 순으로 미술치료사 만족도에서는 2∼5명, 6∼10명, 개별적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치료 받은 기간에서 행정절차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6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운영 만족도는 1년 이상, 1년 미만,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환경 및 시설 만족도와 미술치료사 만족도는 1년 미만, 1년 이상, 6개월 미만, 1개월 미만 순으로 프로그램효과 만족도에서는 1년 미만, 6개월 미만, 1년 이상, 1개월 미만 순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최근 심리치료기법으로 많이 부각되고 있는 미술치료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함을 보였고 특히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미술치료를 경험한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해 봄으로써 미술치료 서비스평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미술심리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미술치료 대상아동 및 부모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구체적인 요인을 인식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기본적인 이해와 인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