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생존단계별 성기능과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난소암 생존자의 성기능과 삶의 질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3월부터 2014년 4월까지였으며,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 외래에 내원한 난소암 생존자 103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였고(김혜영 등, 2002), 삶의 질은 Aaronson 등(1993)이 개발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
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생존단계별 성기능과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난소암 생존자의 성기능과 삶의 질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3월부터 2014년 4월까지였으며,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 외래에 내원한 난소암 생존자 103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였고(김혜영 등, 2002), 삶의 질은 Aaronson 등(1993)이 개발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의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Yun et al., 2004).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생존단계별 대상자 특성은 Chi-square test, 성기능과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성기능과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암 생존자들의 성기능 점수는 36점 만점에 19.6±6.9점이었다. 생존단계별 성기능은 급성 생존단계 19.8±6.2점, 확장 생존단계 18.9±7.7점, 영속적 생존단계 20.0±7.0점이며, 세 군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기능 장애는 85.4%이고, 생존단계별 성기능 장애는 급성 생존단계 84.2%, 확장 생존단계 86.2%, 영속적 생존단계 86.1%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2.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64.2±21.1점이다. 생존단계별 삶의 질은 급성 생존단계 64.2±21.1점, 확장 생존단계 63.2±19.1점, 영속적 생존단계 69.7±21.2점이며, 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난소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의 차이는 체질량 지수(t=2.202, p=.030)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3.193, p=.002)에 따라 차이가 있다. 생존단계별 비교시 급성 생존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확장 생존단계는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2.897, p=.007), 영속적 생존단계는 체질량 지수(t=2.392, p=.022)에 따라 차이가 있다. 4. 난소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2.228, p=.028)로 나타났다. 생존단계별 비교시 확장 생존단계는 가족 월소득(t=-2.347, p=.027)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급성 생존단계와 영속적 생존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난소암 생존자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질(β=.233, p=.017)과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β=.248, p=.012)이며, 설명력은 12.3%이었다. 6.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기능(β=.246, p=.016)이고, 설명력은 8.4%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체질량 지수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에 따라 성기능 차이가 있고,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에 따라 삶의 질 차이가 있었다. 난소암 생존자들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질과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기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난소암 생존자들의 체질량 지수를 낮추어 성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암 진단 이후 성 생활 변화 경험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난소암 생존자의 생존단계별 성기능과 삶의 질의 차이를 파악하고, 난소암 생존자의 성기능과 삶의 질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3년 3월부터 2014년 4월까지였으며,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 외래에 내원한 난소암 생존자 103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성기능은 Rosen 등(2000)이 개발한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였고(김혜영 등, 2002), 삶의 질은 Aaronson 등(1993)이 개발한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의 한국어판을 사용하였다(Yun et al., 2004).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였으며, 생존단계별 대상자 특성은 Chi-square test, 성기능과 삶의 질의 차이는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성기능과 삶의 질의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암 생존자들의 성기능 점수는 36점 만점에 19.6±6.9점이었다. 생존단계별 성기능은 급성 생존단계 19.8±6.2점, 확장 생존단계 18.9±7.7점, 영속적 생존단계 20.0±7.0점이며, 세 군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성기능 장애는 85.4%이고, 생존단계별 성기능 장애는 급성 생존단계 84.2%, 확장 생존단계 86.2%, 영속적 생존단계 86.1%의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2.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질은 100점 만점에 64.2±21.1점이다. 생존단계별 삶의 질은 급성 생존단계 64.2±21.1점, 확장 생존단계 63.2±19.1점, 영속적 생존단계 69.7±21.2점이며, 세 군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난소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성기능의 차이는 체질량 지수(t=2.202, p=.030)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3.193, p=.002)에 따라 차이가 있다. 생존단계별 비교시 급성 생존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확장 생존단계는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2.897, p=.007), 영속적 생존단계는 체질량 지수(t=2.392, p=.022)에 따라 차이가 있다. 4. 난소암 생존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t=-2.228, p=.028)로 나타났다. 생존단계별 비교시 확장 생존단계는 가족 월소득(t=-2.347, p=.027)에 따라 차이가 있고, 급성 생존단계와 영속적 생존단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난소암 생존자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질(β=.233, p=.017)과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β=.248, p=.012)이며, 설명력은 12.3%이었다. 6. 난소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기능(β=.246, p=.016)이고, 설명력은 8.4%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체질량 지수와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에 따라 성기능 차이가 있고,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에 따라 삶의 질 차이가 있었다. 난소암 생존자들의 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질과 암 진단 이후 성생활 변화이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기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난소암 생존자들의 체질량 지수를 낮추어 성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암 진단 이후 성 생활 변화 경험을 탐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the stages of cancer survivorship for ovarian cancer survivor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013 to April 2014. The participants were 103 ovarian cancer survivor who visited in the outpati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the stages of cancer survivorship for ovarian cancer survivor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013 to April 2014. The participants were 103 ovarian cancer survivor who visited in the outpatient departments of the Center for Uterine Cancer at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The used of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the Korean 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nd the Korean vers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oL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window version.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SFI total score of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19.6±6.9. The FSFI total scores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19.8±6.2, 18.9±7.7, 20.0±70. The FSFI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tages of cancer survivor. The prevalence of female sexual disorder (FSD) was 85.4%. The prevalence of FSD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84.2%, 86.2%, 86.1%. 2. The QoL of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64.22±21.1. The QoL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64.2±21.2, 63.2±19.1, 69.7±21.2. The Q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tages of cancer survivor. 3. In comparison of sexual function by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body mass index) (t=2.020, p=.030),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3.193, p=.002). Extended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2.897, p=.007). Long-term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t=2.392, p=.022). 4. In comparison of QoL by stages of cancer surviv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2.228, p=.028). Extended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family monthly income (t=-2.347, p=.027)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ute and long-term survival. 5. The factor affecting on the sexual function in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QoL (=.233, p=.017) and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248, p=.01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2.3%. 6. The factor affecting on the QoL in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sexual function (=.246, p=.016)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8.4%.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exual functions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and on BMI and differences in sexuality made differences in the QoL. Factors affecting on the sexuality of the ovarian cancer survivors ar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and the QoL. A factor affecting on the QoL was sexual function of the survivors. The further study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cancer survivors’ sexual function by lowering BMI and for investigating experiences of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in ovarian cancer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xu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according to the stages of cancer survivorship for ovarian cancer survivor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013 to April 2014. The participants were 103 ovarian cancer survivor who visited in the outpatient departments of the Center for Uterine Cancer at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The used of questionnaire which measured the Korean version of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nd the Korean vers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oL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window version.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 ANOVA,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FSFI total score of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19.6±6.9. The FSFI total scores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19.8±6.2, 18.9±7.7, 20.0±70. The FSFI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tages of cancer survivor. The prevalence of female sexual disorder (FSD) was 85.4%. The prevalence of FSD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84.2%, 86.2%, 86.1%. 2. The QoL of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64.22±21.1. The QoL of acute survival, extended survival and permanent survival were 64.2±21.2, 63.2±19.1, 69.7±21.2. The Qo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stages of cancer survivor. 3. In comparison of sexual function by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body mass index) (t=2.020, p=.030),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3.193, p=.002). Extended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2.897, p=.007). Long-term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BMI (t=2.392, p=.022). 4. In comparison of QoL by stages of cancer survivo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t=-2.228, p=.028). Extended survival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family monthly income (t=-2.347, p=.027)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ute and long-term survival. 5. The factor affecting on the sexual function in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QoL (=.233, p=.017) and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248, p=.01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2.3%. 6. The factor affecting on the QoL in ovarian cancer survivors was sexual function (=.246, p=.016)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8.4%.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exual functions ha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and on BMI and differences in sexuality made differences in the QoL. Factors affecting on the sexuality of the ovarian cancer survivors are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and the QoL. A factor affecting on the QoL was sexual function of the survivors. The further study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cancer survivors’ sexual function by lowering BMI and for investigating experiences of changes in sexuality after diagnosis of cancer in ovarian cancer survivo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