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주 변하는 입시제도에 적응하면서도, 고가의 사교육비 없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영어 학습 자체에 공을 들일 수도 있지만, 뇌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본인 스스로의 동기 부여와 집중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거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충족시킬 방법을 찾던 중, 운동을 통한 심폐기능 향상과 신진대사 활성화가 뇌기능 향상과 더불어, 기억의 중추인 해마의 용적 증가와 신경 생성을 유도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을 다수 접하게 되었다. 보다 높은 신빙성과 신뢰도 제공을 위해, 이러한 해외 연구 논문들을 연구하여 이론적 뒷받침의 토대를 만들고, 이를 한국 교육에 적용 가능한지를 시험하였다. 이 실험을 위해 대전에 위치한 M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아침 ...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주 변하는 입시제도에 적응하면서도, 고가의 사교육비 없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영어 학습 자체에 공을 들일 수도 있지만, 뇌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본인 스스로의 동기 부여와 집중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거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충족시킬 방법을 찾던 중, 운동을 통한 심폐기능 향상과 신진대사 활성화가 뇌기능 향상과 더불어, 기억의 중추인 해마의 용적 증가와 신경 생성을 유도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을 다수 접하게 되었다. 보다 높은 신빙성과 신뢰도 제공을 위해, 이러한 해외 연구 논문들을 연구하여 이론적 뒷받침의 토대를 만들고, 이를 한국 교육에 적용 가능한지를 시험하였다. 이 실험을 위해 대전에 위치한 M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아침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고, 그 후 실험 집단 38명과 비교집단 39명의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실험 집단의 운동 참여 전후로 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 인식이 부족한 운동과 인지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운동을 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둘째, 본 실험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및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볼 때, 처음 한 달간은 피로도가 쌓이더라도 극복 가능하며 이후에는 오히려 수업 태도 개선과 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운동을 통한 체력 향상 및 혈액 순환 개선으로 인한 뇌기능 활성화가 이어져 영어 성적이 향상되었다.
넷째, 학교와 학부모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 자신들의 인식이 개선되어 앞으로도 계속 학습 향상을 위한 운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항목인 앞으로도 운동을 계속 할 수 있느냐는 설문에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설문에서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 더욱 고무되었다. 이와 같이 운동을 통한 영어 성적 향상에 긍정적 결론을 얻었고, 앞으로도 저비용 고효율의 학습을 위한 운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 행정 차원에서도, 일선 학교에서도, 학부모와 학생 자신에게 있어서도 이 방법에 적극 동참하여 새로운 영어 학습법의 기틀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주 변하는 입시제도에 적응하면서도, 고가의 사교육비 없이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영어를 배우기 위해 영어 학습 자체에 공을 들일 수도 있지만, 뇌기능을 활성화 시키면 본인 스스로의 동기 부여와 집중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학습을 할 수 있을 거라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가설을 충족시킬 방법을 찾던 중, 운동을 통한 심폐기능 향상과 신진대사 활성화가 뇌기능 향상과 더불어, 기억의 중추인 해마의 용적 증가와 신경 생성을 유도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을 다수 접하게 되었다. 보다 높은 신빙성과 신뢰도 제공을 위해, 이러한 해외 연구 논문들을 연구하여 이론적 뒷받침의 토대를 만들고, 이를 한국 교육에 적용 가능한지를 시험하였다. 이 실험을 위해 대전에 위치한 M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아침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고, 그 후 실험 집단 38명과 비교집단 39명의 수능 모의고사 성적을 실험 집단의 운동 참여 전후로 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직 인식이 부족한 운동과 인지의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운동을 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둘째, 본 실험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및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볼 때, 처음 한 달간은 피로도가 쌓이더라도 극복 가능하며 이후에는 오히려 수업 태도 개선과 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운동을 통한 체력 향상 및 혈액 순환 개선으로 인한 뇌기능 활성화가 이어져 영어 성적이 향상되었다.
넷째, 학교와 학부모 그리고 무엇보다 학생 자신들의 인식이 개선되어 앞으로도 계속 학습 향상을 위한 운동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항목인 앞으로도 운동을 계속 할 수 있느냐는 설문에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 설문에서도 긍정적인 답변을 얻어 더욱 고무되었다. 이와 같이 운동을 통한 영어 성적 향상에 긍정적 결론을 얻었고, 앞으로도 저비용 고효율의 학습을 위한 운동 활성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 행정 차원에서도, 일선 학교에서도, 학부모와 학생 자신에게 있어서도 이 방법에 적극 동참하여 새로운 영어 학습법의 기틀을 마련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Effect of aerobic fitness on English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by brain function activ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ly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
Effect of aerobic fitness on English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by brain function activ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ly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on. I have could found numerous studies which can strongly support the benefits of exercise and therapeutic and preventative effects of exercise on cognitive, academic and psychologic function in brain. The results of reviews on those literatures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design of past research demonstrates the tacit assumption that changes in aerobic fitness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cognitive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3-months period with two classes. One is for experiment with 38, and another is for control with 39 students. Every students in the exercise group partook moderate aerobic exercise regimen such as jumping rope, running, and playing badmint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for the pre-post comparisons. In conclusion, I could speculate that physical activity is surely exert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 report the novel and intriguing finding that only 3 months of regular exercise training affects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clas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program in Korea. This result directly bear on issues of public education policy which have to be simple and inexpensive mechanism to ward off the chronic problem in the beyond expensive private education market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beginning to address whether fitness training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human brain, in especially high-schools in Korea. The sum of those animal studies overlap with results from human studies and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exercise is an effective enhancer of neurocognitive functioning in young stressful students in Korea. In a nutshell, exercise increases cognitive performance in human and non human brain. It may be contribute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s, at the same time, reduce students' depressions and stres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exercise. To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review, future research should specifically test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However,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we also encourage future research to focus on othe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may serve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Effect of aerobic fitness on English learning and affective domain by brain function activ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on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ly beneficial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cognition. I have could found numerous studies which can strongly support the benefits of exercise and therapeutic and preventative effects of exercise on cognitive, academic and psychologic function in brain. The results of reviews on those literatures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The design of past research demonstrates the tacit assumption that changes in aerobic fitness contribute to the changes in cognitive perform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3-months period with two classes. One is for experiment with 38, and another is for control with 39 students. Every students in the exercise group partook moderate aerobic exercise regimen such as jumping rope, running, and playing badminton.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for the pre-post comparisons. In conclusion, I could speculate that physical activity is surely exert posi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 report the novel and intriguing finding that only 3 months of regular exercise training affects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clas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program in Korea. This result directly bear on issues of public education policy which have to be simple and inexpensive mechanism to ward off the chronic problem in the beyond expensive private education market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beginning to address whether fitness training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human brain, in especially high-schools in Korea. The sum of those animal studies overlap with results from human studies and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exercise is an effective enhancer of neurocognitive functioning in young stressful students in Korea. In a nutshell, exercise increases cognitive performance in human and non human brain. It may be contribute to enhance academic achievements, at the same time, reduce students' depressions and stress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exercise. To confirm the findings of this review, future research should specifically test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aerobic fitn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However, based upon the findings of this review, we also encourage future research to focus on othe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may serve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cognitive perform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