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장소의 맥락을 통해 구현된 쿠마 켄고 건축의 특징과 장소성 형성과정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Placeness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Kuma Kengo’s Architecture Realized through the Context of Space원문보기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국제주의 건축이 성행하게 됨으로서 기능과 생산성을 중요시한 획일화된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도시의 모습이 지역의 의미나 역사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 되고, 국가와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으로서 각각의 장소의 고유한 특성들이 사라지고 있는 무장소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는 역사와 문화, 삶의 흔적과 기술들이 층층이 쌓여있는 장소가 가진 가치를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함을 주장하며, 인간 삶의 다양성 회복을 위한 노력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쿠마 켄고의 건축을 조사하여 쿠마 켄고가 장소의 맥락을 인식하는 특징과 장소의 맥락에 맞는 건축 구현의 방법을 도출해보고,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국제주의 건축이 성행하게 됨으로서 기능과 생산성을 중요시한 획일화된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도시의 모습이 지역의 의미나 역사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 되고, 국가와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으로서 각각의 장소의 고유한 특성들이 사라지고 있는 무장소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는 역사와 문화, 삶의 흔적과 기술들이 층층이 쌓여있는 장소가 가진 가치를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함을 주장하며, 인간 삶의 다양성 회복을 위한 노력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쿠마 켄고의 건축을 조사하여 쿠마 켄고가 장소의 맥락을 인식하는 특징과 장소의 맥락에 맞는 건축 구현의 방법을 도출해보고,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건축 공간의 체험을 통해 장소의 의미가 강화되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쿠마 켄고의 장소의 맥락 인식과 건축 구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소의 자연과 인공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자연환경이나 오랜 시간이 축적이 된 인공물 혹은 문화적 가치가 충만한 요소들은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건축과 연계를 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건축은 기존의 맥락 이상으로 확장되거나 보다 큰 의미를 가지지 않기 위해 존재를 환경에서 지우려는 시도가 엿보이며, 공간과 환경사이의 경계, 공간과 공간의 경계들을 모호하게 설정함으로서 건축과 환경을 동일선상의 관점으로 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장소에 내재된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적극 수용하여 장소와 건축의 의미를 풍부하게 다지고 있으나, 단지 형태나 미적인 가치를 통해 의미를 수용하지 않고, 현대의 상황이나 건축적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재해석 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그 방법으로서 시간을 중첩시키는 특성이 두드러지는데, 각 시대를 상징하거나 은유하는 요소에 현대적 기술과 재료를 겹쳐, 인간의 인식을 통해 전통과 문화가 현재화됨을 체험하게 된다. 장소의 관념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쿠마 켄고의 물질에 대한 경시나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사회와 건축에 대한 맹목적인 장소의 관념성에 대한 비판적 자세가 활발히 표출된다. 그것은 근대 건축에 대한 쿠마 켄고의 오랜 체념과 극복의 의지를 대변하는 사고의 증명으로서, 이러한 장소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쿠마 켄고의 건축은 기존의 맥락과 대비되게, 일반적으로 인식되던 물성을 변형하여 물질의 다양성과 본질을 강력히 드러낸다거나, 단위 개체를 증식시켜 전체를 구축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보편성과의 거리를 두기도 하고, 폐쇄적인 공간 흐름을 외부와 연결시켜 단절된 기존의 맥락에 새로운 흐름을 삽입하려는 시도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쿠마 켄고의 건축은 주로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며, 시각적인 연속성을 통해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적 연속성으로 확대되어 통합된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다양한 시대성을 반영하는 장소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병치시키거나, 재료나 물질이 함축하고 있는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인 가치를 이용해 표현함으로서 장소의 의미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빛과 물질의 성질을 통한 극적인 공간 체험이 주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다공성의 여백을 통해 유입된 빛에 의해 공간과 물질의 성격이 시시각각 변하며 이러한 즉물적 체험을 통해 공간의 인식이 보다 활성화 되어 내부성 자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쿠마 켄고는 장소의 자연과 인공물이 가진 맥락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을 시각적으로 미약하게 설정하거나 사라지게 하고, 공간과 공간간의 경계나 환경과 건축 간의 경계를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서 장소에서 건축으로, 건축에서 장소로 통합된 체험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쿠마 켄고는 장소의 역사성, 자연성, 문화성 등을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공간을 구현하고 있으며, 장소의 맥락과의 연결 방식에 대한 해법으로서 한 단계 나아가게 하는 새로운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쿠마 켄고’라는 건축가를 기준으로 현대 건축이 장소와 융화되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소라는 주관적 인식의 대상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통합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기 힘들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쿠마 켄고 건축의 일부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특징이 쿠마 켄고 건축의 보편적 특징이라고 단정 짓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통해 20여년을 훌쩍 넘긴 쿠마 켄고 건축 여정의 결과물에 대한 다양하고 확대된 접근을 통하여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국제주의 건축이 성행하게 됨으로서 기능과 생산성을 중요시한 획일화된 건축물들이 지어지고 도시의 모습이 지역의 의미나 역사성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오늘날 빠른 속도로 세계화가 진행 되고, 국가와 국가 간의 경계가 허물어짐으로서 각각의 장소의 고유한 특성들이 사라지고 있는 무장소성의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는 역사와 문화, 삶의 흔적과 기술들이 층층이 쌓여있는 장소가 가진 가치를 통해 극복해 나가야 함을 주장하며, 인간 삶의 다양성 회복을 위한 노력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쿠마 켄고의 건축을 조사하여 쿠마 켄고가 장소의 맥락을 인식하는 특징과 장소의 맥락에 맞는 건축 구현의 방법을 도출해보고,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건축 공간의 체험을 통해 장소의 의미가 강화되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쿠마 켄고의 장소의 맥락 인식과 건축 구현 특징은 다음과 같다. 장소의 자연과 인공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자연환경이나 오랜 시간이 축적이 된 인공물 혹은 문화적 가치가 충만한 요소들은 그 의미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건축과 연계를 시키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건축은 기존의 맥락 이상으로 확장되거나 보다 큰 의미를 가지지 않기 위해 존재를 환경에서 지우려는 시도가 엿보이며, 공간과 환경사이의 경계, 공간과 공간의 경계들을 모호하게 설정함으로서 건축과 환경을 동일선상의 관점으로 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장소에 내재된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적극 수용하여 장소와 건축의 의미를 풍부하게 다지고 있으나, 단지 형태나 미적인 가치를 통해 의미를 수용하지 않고, 현대의 상황이나 건축적 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재해석 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난다. 그 방법으로서 시간을 중첩시키는 특성이 두드러지는데, 각 시대를 상징하거나 은유하는 요소에 현대적 기술과 재료를 겹쳐, 인간의 인식을 통해 전통과 문화가 현재화됨을 체험하게 된다. 장소의 관념적 요소를 주 배경으로 할 때는, 쿠마 켄고의 물질에 대한 경시나 폐쇄적이고 권위적인 사회와 건축에 대한 맹목적인 장소의 관념성에 대한 비판적 자세가 활발히 표출된다. 그것은 근대 건축에 대한 쿠마 켄고의 오랜 체념과 극복의 의지를 대변하는 사고의 증명으로서, 이러한 장소의 맥락에서 나타나는 쿠마 켄고의 건축은 기존의 맥락과 대비되게, 일반적으로 인식되던 물성을 변형하여 물질의 다양성과 본질을 강력히 드러낸다거나, 단위 개체를 증식시켜 전체를 구축함으로서 콘크리트의 보편성과의 거리를 두기도 하고, 폐쇄적인 공간 흐름을 외부와 연결시켜 단절된 기존의 맥락에 새로운 흐름을 삽입하려는 시도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쿠마 켄고 건축의 체험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쿠마 켄고의 건축은 주로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며, 시각적인 연속성을 통해 인식의 차원에서 공간적 연속성으로 확대되어 통합된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적 요소의 재현과 은유를 통해 상징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다양한 시대성을 반영하는 장소를 상징하는 요소들을 병치시키거나, 재료나 물질이 함축하고 있는 장소의 역사와 문화적인 가치를 이용해 표현함으로서 장소의 의미를 강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 영역화를 통해 영역성을 확보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빛과 물질의 성질을 통한 극적인 공간 체험이 주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는데, 다공성의 여백을 통해 유입된 빛에 의해 공간과 물질의 성격이 시시각각 변하며 이러한 즉물적 체험을 통해 공간의 인식이 보다 활성화 되어 내부성 자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속성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쿠마 켄고는 장소의 자연과 인공물이 가진 맥락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건축을 시각적으로 미약하게 설정하거나 사라지게 하고, 공간과 공간간의 경계나 환경과 건축 간의 경계를 투명하게 처리함으로서 장소에서 건축으로, 건축에서 장소로 통합된 체험을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쿠마 켄고는 장소의 역사성, 자연성, 문화성 등을 기반으로 한 인간 중심의 공간을 구현하고 있으며, 장소의 맥락과의 연결 방식에 대한 해법으로서 한 단계 나아가게 하는 새로운 자극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쿠마 켄고’라는 건축가를 기준으로 현대 건축이 장소와 융화되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소라는 주관적 인식의 대상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통합된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기 힘들었다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쿠마 켄고 건축의 일부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특징이 쿠마 켄고 건축의 보편적 특징이라고 단정 짓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통해 20여년을 훌쩍 넘긴 쿠마 켄고 건축 여정의 결과물에 대한 다양하고 확대된 접근을 통하여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의 연구가 추가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fter two series of World Wars and prevalence of internationalized architecture, unified buildings were built by focusing on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Such shapes of the cities did not reveal the importance and historicity of the region. Also, today’s fast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conditio...
After two series of World Wars and prevalence of internationalized architecture, unified buildings were built by focusing on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Such shapes of the cities did not reveal the importance and historicity of the region. Also, today’s fast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conditions mad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o vanish. People are living in the era of ‘unspaceness’. The Japanese representative architect Kuma Kengo claimed that people must overcome this new era through the values of spaces piled through history, culture, trace of lives, and technologies. Kuma has been striving with his all strength for the restoration of diversity of human lives.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chitectures of Kuma Kengo to draw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method that i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text recognized by Kuma Kengo, to analyze the process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and to examine the method of forming spaceness through enhanced meaning of the space via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s. The Kuma Kengo’s recognition of the spati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are as follow. When the nature and artifici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the natural environment, artificial structures storing long period of time, or elements full of cultural values showed tendency to actively accommodate the meaning and connect it to the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showed attempts to remove the existence from the nature in order to prevent architecture from being expanded to more than original context or having more significant meaning. The border between spac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borders between spaces were set to be vague which implied that Kuma Kengo treated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with a same level of view point. Whe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s, the significance of history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spaces were actively accommodat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space and architecture abundantly. However, there are some tendencies where meanings are not accommodated through the mere shapes or aesthetic values but are re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architectural programs. As a means of doing so, there’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superposition of time where elements symbolizing or having metaphor of each era are overlapped with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materials to let people experience the modernization of culture and tradition through human’s recognition. When the ide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Kuma Kengo’s contempt for materials and critical attitude for the blind ideality of space with unsociable and authoritative society and architecture are actively expressed. Such expressions are the proof of Kuma Kengo’s thought about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ing the long resignation and willingness to overcome. Contrary to existing contex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such context turned out in diverse aspects such as strong revelation of diversity and nature of the material by deforming the generally recognized materiality, staying away from the universality of concrete by structuring the whole through proliferation of single unit, and attempts to introduce new flows into the existing disconnected context by connecting the exclusive spatial flow with exterior. The method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is as follow. Kuma Kengo’s architecture mainly secured symbol through metaphors and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secured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and secured continuity by integrating the visual continuity which was expanded to spatial continuity in the level of recognition. When the tendency to secure symbols through metaphor and represent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is examined, elements symbolizing places with reflection of diverse eras were juxtaposed or represented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stored in the materials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place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to secure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showed major characteristics of extreme spatial experience through qualities of the light and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materials change from minute to minute due to the light flew in through the margin of porosity.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is activated more through such materialistic experience and affected the recognition of interior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Kuma Kengo created the architecture to be visually weak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extual continuity possessed by the artificial structures. His architecture showed integrated experience from space to architecture and from architecture to space by creating transparent borders between spaces and borders between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In this way Kuma Kengo has been realizing human oriented spaces based on the historicity, naturalness, and culture and his architectures can serve as a new stimulus making new progression to the solution of method of connecting contexts of space. This study intended to seek the method of integrating modern architecture with space having architect Kuma Kengo as the standard.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difficulty of suggesting clear and integrated standard by making objective judgment on spaces which are subject of subjective recogni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drawn in this study can’t be concluded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Kuma Kengo since this study limited itself to some par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Further researches on the aspects of changes following the eras must be conducted through diverse and extended approaches on the results of Kuma Kengo’s architectural journey over 20 years.
After two series of World Wars and prevalence of internationalized architecture, unified buildings were built by focusing on functionality and productivity. Such shapes of the cities did not reveal the importance and historicity of the region. Also, today’s fast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conditions mad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o vanish. People are living in the era of ‘unspaceness’. The Japanese representative architect Kuma Kengo claimed that people must overcome this new era through the values of spaces piled through history, culture, trace of lives, and technologies. Kuma has been striving with his all strength for the restoration of diversity of human lives. Under such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rchitectures of Kuma Kengo to draw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method that is appropriate for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ntext recognized by Kuma Kengo, to analyze the process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and to examine the method of forming spaceness through enhanced meaning of the space via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al spaces. The Kuma Kengo’s recognition of the spatial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realization are as follow. When the nature and artifici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the natural environment, artificial structures storing long period of time, or elements full of cultural values showed tendency to actively accommodate the meaning and connect it to the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showed attempts to remove the existence from the nature in order to prevent architecture from being expanded to more than original context or having more significant meaning. The border between space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borders between spaces were set to be vague which implied that Kuma Kengo treated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with a same level of view point. Whe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s, the significance of history and cultural values inherent in the spaces were actively accommodat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space and architecture abundantly. However, there are some tendencies where meanings are not accommodated through the mere shapes or aesthetic values but are re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architectural programs. As a means of doing so, there’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superposition of time where elements symbolizing or having metaphor of each era are overlapped with contemporary technologies and materials to let people experience the modernization of culture and tradition through human’s recognition. When the ideal elements of the space were main background, Kuma Kengo’s contempt for materials and critical attitude for the blind ideality of space with unsociable and authoritative society and architecture are actively expressed. Such expressions are the proof of Kuma Kengo’s thought about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ing the long resignation and willingness to overcome. Contrary to existing contex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such context turned out in diverse aspects such as strong revelation of diversity and nature of the material by deforming the generally recognized materiality, staying away from the universality of concrete by structuring the whole through proliferation of single unit, and attempts to introduce new flows into the existing disconnected context by connecting the exclusive spatial flow with exterior. The method of spaceness formation through experience of Kuma Kengo’s architecture is as follow. Kuma Kengo’s architecture mainly secured symbol through metaphors and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secured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and secured continuity by integrating the visual continuity which was expanded to spatial continuity in the level of recognition. When the tendency to secure symbols through metaphor and represent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s is examined, elements symbolizing places with reflection of diverse eras were juxtaposed or represented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stored in the materials to enhance the meaning of the place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endency to secure territoriality through characteristic territorialization showed major characteristics of extreme spatial experience through qualities of the light and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materials change from minute to minute due to the light flew in through the margin of porosity. The recognition of the space is activated more through such materialistic experience and affected the recognition of interiority.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Kuma Kengo created the architecture to be visually weak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extual continuity possessed by the artificial structures. His architecture showed integrated experience from space to architecture and from architecture to space by creating transparent borders between spaces and borders between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In this way Kuma Kengo has been realizing human oriented spaces based on the historicity, naturalness, and culture and his architectures can serve as a new stimulus making new progression to the solution of method of connecting contexts of space. This study intended to seek the method of integrating modern architecture with space having architect Kuma Kengo as the standard.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arising from the difficulty of suggesting clear and integrated standard by making objective judgment on spaces which are subject of subjective recogni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drawn in this study can’t be concluded as overall characteristics of Kuma Kengo since this study limited itself to some part of Kuma Kengo’s architectures. Further researches on the aspects of changes following the eras must be conducted through diverse and extended approaches on the results of Kuma Kengo’s architectural journey over 20 yea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