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상징물인 돌하르방은 문헌기록상 1754년(영조 30) 김몽규(金夢煃) 목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으며, 조선시대 제주 3읍성에 48기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제주읍성(濟州邑城)의 24기 가운데 23기(1기 분실), 정의현성(㫌義縣城) 12기, 대정현성(大靜縣城) 12기를 합하여 모두 47기가 전해지고 있다. 1971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호로 45기를 지정하였으며, 1960년대 중반에 서울 경복궁의 국립민속박물관 입구로 옮겨진 2기는 제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 고유의 돌조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돌하르방에 대하여 지역별 형태, 미술사적 연원과 제작시기, 조형특성을 문헌 자료조사 및 형태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으로 좀더 면밀하게 고찰해볼 것이다. 돌하르방의 재질은 다공질 현무암(玄武岩)이지만, 지역에 따라 흰 ...
제주도의 상징물인 돌하르방은 문헌기록상 1754년(영조 30) 김몽규(金夢煃) 목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으며, 조선시대 제주 3읍성에 48기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제주읍성(濟州邑城)의 24기 가운데 23기(1기 분실), 정의현성(㫌義縣城) 12기, 대정현성(大靜縣城) 12기를 합하여 모두 47기가 전해지고 있다. 1971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호로 45기를 지정하였으며, 1960년대 중반에 서울 경복궁의 국립민속박물관 입구로 옮겨진 2기는 제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 고유의 돌조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돌하르방에 대하여 지역별 형태, 미술사적 연원과 제작시기, 조형특성을 문헌 자료조사 및 형태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으로 좀더 면밀하게 고찰해볼 것이다. 돌하르방의 재질은 다공질 현무암(玄武岩)이지만, 지역에 따라 흰 사장석(斜長石), 검은 휘석(輝石), 노란감람석(橄欖石) 반정(斑晶)광물을 함유하거나, 비현정질(非顯晶質) 또는 유상엽리(流狀葉理) 구조 등으로 다양하다. 돌하르방의 연원은 기존의 문화인류학적 관점인 남방기원설․북방기원설, 민속학적 관점인 육지전래설․제주자생설 이외에, 새롭게 미술사적 관점에서 보면 육지전래설의 돌장승 형태와 제주 복신미륵의 영향이 서로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제작시기와 관련해서는 돌하르방이 만들어진 때보다 160여년 지난 1918년에 와서 야 문헌기록이 처음 등장함으로써, 많은 연구자들이 제작시기에 대해 깊이 신뢰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2가지 분석방법으로 살펴보겠다. 첫째는 문헌분석으로서, 1918년 김석익(1885~1956)이 쓴 『탐라기년(耽羅紀年)』에 많은 영향을 준 현덕문(1817~1876)의『탐라기략(耽羅記略)』고찰이다. 그렇지만 책이 현존하지 않아 대신에 현덕문의 저서에서 돌하르방 즉 옹중석(翁仲石) 기록이 나올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주 현씨 족보에서 그의 가계도를 살펴보면, 10세까지 함께 지낸 증조부인 유학자 현광보(1739~1826)가 15세 때 돌하르방이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적 경험을 근거로 현덕문의 저서에서 충분히 다룰 개연성이 높으며, 이를 탐독한 김석익 또한『탐라기년』을 저술하면서 그대로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는 기능을 고찰하는 방법으로서, 돌하르방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워졌을까 하는 점이다. 제주읍성에는 3성문마다 8기씩 24기, 정의현성과 대정현성은 3성문마다 4기씩 12기를 각각 세웠다. 이는 육지 돌장승처럼 읍성을 보호하는 수문장 역할은 물론, 주민 안녕(安寧)을 위한 방역(防疫)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돌하르방의 조형특성에 있어서는 많은 영향관계가 있다고 여겨지는 육지 돌장승과 구체적인 형태비교분석을 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돌하르방과 돌장승의 닮은 점으로는 ① 벙거지 형태의 모자 ② 커다란 퉁방울눈 ③ 큼지막한 주먹코와 콧구멍 ④ 대부분의 일자형 귀 ⑤ 일자형 입과 툭 튀어나온 볼 ⑥ 몸․얼굴 비례 모두 짧은 3~4등신 ⑦ 기능면에서 읍성과 사찰보호․산천비보(裨補)․방역(防疫)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특히 돌하르방 경우에는 읍성보호와 함께 전염병을 막기 위한 방역의 임무를 함께 띠고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돌하르방과 돌장승의 다른 점으로는 돌하르방에만 ① 팔과 손 표현 ② 기단석과 함께 정낭 홈이 일부에 새겨져 있으며, 반면 돌장승에는 ③ 이마의 백호(白毫) 표현 ④ 치아 또는 큰 뻐드렁니 ⑤ 콧수염과 길쭉한 채수염 ⑥ 명칭을 앞면에 크게 음각 ⑦ 당산제나 장승제 형식의 제의(祭儀) 등이 있지만 돌하르방에는 없다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이에 근거한 돌하르방의 대표적 조형특성으로는 2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형태적인 역동감(逆動感)이다. 돌하르방이 돌장승과 형태적으로 확연하게 구별되는 조형적인 특징은 바로 팔과 손동작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제주읍성 돌하르방 경우에는 얼굴의 시선방향에 맞춰 목의 각도가 달라지고, 설치 위치나 손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 틀기와 양팔 기울기를 대칭적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둘째는 정제된 해학미(諧謔美)이다. 돌하르방은 크기가 다르고 얼굴이나 몸 형태 또한 조금씩 변화 있게 만들어졌지만, 현존하는 47기의 돌하르방 모두 벙거지를 쓰고 얼굴과 손동작을 강조해서 표현하는 데 오차(誤差)가 없는 것은 동일한 기능과 형태가 부여된 조각이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판단된다. 게다가 민간인(民間人)을 주축으로 세워진 육지 돌장승과는 달리, 돌하르방은 관(官)이 주도해 제작된 관계로 말미암아 괴기스러운 표정이 많이 절제되었으며, 제례 의식 또한 거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의 상징물인 돌하르방은 문헌기록상 1754년(영조 30) 김몽규(金夢煃) 목사에 의해 처음 세워졌으며, 조선시대 제주 3읍성에 48기가 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제주읍성(濟州邑城)의 24기 가운데 23기(1기 분실), 정의현성(㫌義縣城) 12기, 대정현성(大靜縣城) 12기를 합하여 모두 47기가 전해지고 있다. 1971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료 제2호로 45기를 지정하였으며, 1960년대 중반에 서울 경복궁의 국립민속박물관 입구로 옮겨진 2기는 제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 고유의 돌조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돌하르방에 대하여 지역별 형태, 미술사적 연원과 제작시기, 조형특성을 문헌 자료조사 및 형태비교분석 등의 연구방법으로 좀더 면밀하게 고찰해볼 것이다. 돌하르방의 재질은 다공질 현무암(玄武岩)이지만, 지역에 따라 흰 사장석(斜長石), 검은 휘석(輝石), 노란 감람석(橄欖石) 반정(斑晶)광물을 함유하거나, 비현정질(非顯晶質) 또는 유상엽리(流狀葉理) 구조 등으로 다양하다. 돌하르방의 연원은 기존의 문화인류학적 관점인 남방기원설․북방기원설, 민속학적 관점인 육지전래설․제주자생설 이외에, 새롭게 미술사적 관점에서 보면 육지전래설의 돌장승 형태와 제주 복신미륵의 영향이 서로 융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제작시기와 관련해서는 돌하르방이 만들어진 때보다 160여년 지난 1918년에 와서 야 문헌기록이 처음 등장함으로써, 많은 연구자들이 제작시기에 대해 깊이 신뢰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2가지 분석방법으로 살펴보겠다. 첫째는 문헌분석으로서, 1918년 김석익(1885~1956)이 쓴 『탐라기년(耽羅紀年)』에 많은 영향을 준 현덕문(1817~1876)의『탐라기략(耽羅記略)』고찰이다. 그렇지만 책이 현존하지 않아 대신에 현덕문의 저서에서 돌하르방 즉 옹중석(翁仲石) 기록이 나올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연주 현씨 족보에서 그의 가계도를 살펴보면, 10세까지 함께 지낸 증조부인 유학자 현광보(1739~1826)가 15세 때 돌하르방이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실제적 경험을 근거로 현덕문의 저서에서 충분히 다룰 개연성이 높으며, 이를 탐독한 김석익 또한『탐라기년』을 저술하면서 그대로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는 기능을 고찰하는 방법으로서, 돌하르방이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워졌을까 하는 점이다. 제주읍성에는 3성문마다 8기씩 24기, 정의현성과 대정현성은 3성문마다 4기씩 12기를 각각 세웠다. 이는 육지 돌장승처럼 읍성을 보호하는 수문장 역할은 물론, 주민 안녕(安寧)을 위한 방역(防疫) 기능을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돌하르방의 조형특성에 있어서는 많은 영향관계가 있다고 여겨지는 육지 돌장승과 구체적인 형태비교분석을 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돌하르방과 돌장승의 닮은 점으로는 ① 벙거지 형태의 모자 ② 커다란 퉁방울눈 ③ 큼지막한 주먹코와 콧구멍 ④ 대부분의 일자형 귀 ⑤ 일자형 입과 툭 튀어나온 볼 ⑥ 몸․얼굴 비례 모두 짧은 3~4등신 ⑦ 기능면에서 읍성과 사찰보호․산천비보(裨補)․방역(防疫)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다. 특히 돌하르방 경우에는 읍성보호와 함께 전염병을 막기 위한 방역의 임무를 함께 띠고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돌하르방과 돌장승의 다른 점으로는 돌하르방에만 ① 팔과 손 표현 ② 기단석과 함께 정낭 홈이 일부에 새겨져 있으며, 반면 돌장승에는 ③ 이마의 백호(白毫) 표현 ④ 치아 또는 큰 뻐드렁니 ⑤ 콧수염과 길쭉한 채수염 ⑥ 명칭을 앞면에 크게 음각 ⑦ 당산제나 장승제 형식의 제의(祭儀) 등이 있지만 돌하르방에는 없다는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이에 근거한 돌하르방의 대표적 조형특성으로는 2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형태적인 역동감(逆動感)이다. 돌하르방이 돌장승과 형태적으로 확연하게 구별되는 조형적인 특징은 바로 팔과 손동작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제주읍성 돌하르방 경우에는 얼굴의 시선방향에 맞춰 목의 각도가 달라지고, 설치 위치나 손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 틀기와 양팔 기울기를 대칭적으로 변형시키고 있다. 둘째는 정제된 해학미(諧謔美)이다. 돌하르방은 크기가 다르고 얼굴이나 몸 형태 또한 조금씩 변화 있게 만들어졌지만, 현존하는 47기의 돌하르방 모두 벙거지를 쓰고 얼굴과 손동작을 강조해서 표현하는 데 오차(誤差)가 없는 것은 동일한 기능과 형태가 부여된 조각이었기에 가능한 일이라고 판단된다. 게다가 민간인(民間人)을 주축으로 세워진 육지 돌장승과는 달리, 돌하르방은 관(官)이 주도해 제작된 관계로 말미암아 괴기스러운 표정이 많이 절제되었으며, 제례 의식 또한 거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out of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2 from DaeJeong castle, totals to 47 are passed down t...
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out of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2 from DaeJeong castle, totals to 47 are passed down to present. In the year of 1971, 45 of them have been designated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lk materials No.2 ; 2 that were transferred into the entrance of The National Fork Museum of Korea in Seoul during mid 1960s were excluded. This paper describes Dolharubang which discloses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Jeju using multiple forms of research like literature research and type comparison on regional form, art historical origin and production time, and molding characteristics. Main material of Dolharubang is vesicular basalt, but depending on the region, they also contain white plagioclases, black pxroxenes, yellow olvines as phenocryst minerals and aphanitic texture or fluidal foliation. Origin of Dolharubang, in addition to exis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points including southern hypothesis, northern hypothesis, and folklore points including traditional land tale, Jeju native tale, is understood as blend of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石長栍) from traditional land tale and the Maitreya(福神彌勒) of Jeju in art historical perspective. Many researchers gave lack of credibility regarding age of establishment as the first literature record was found 160 years later in 1918 than when Dolhareubang was actually first made. Therefore, two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are used as solutions to this issue. First is a literature analytic study called by Hyun Deok-Moon(玄德聞 1817-1876) which greatly influenced by Kim Seok-Ik(金錫翼 1885-1956) from 1918. However, because the book does not exist, a review on the possibility to find records on Dolhareubang(ONGJUNGSEOK) from Hyun Deok-Moon’s book was conducted. According to YUNJU Hyun’s genealogy, it is learned that Dolhareubang was built at the age 15 of his great-grandfather, Confucian scholar Hyun Gwang-Bo(玄光輔 1739~1826) who lived together with him until age 10. Therefore, there is a high coverage chance from Hyun Deok-Moon's book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which Kim Seok-Ik read and it seems that he also reflected it intactly while writing . Secondly, functional contemplation can be used to anticipate the purpose of Dolhareubangs. There are total of 24 Dolhareubangs, 8 each at 3 gates in Jeju castle, total of 12 built in Jeongui castle and DaeJeong castle, 4 each at 3 gates. These represent gate keepers of the castle such as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s well as illness prevention for peace of the civilian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s are clearly represented by using analytical shape comparisons to stone totem pole of the land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many influential relationships. Similarities of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re 1) BEONGGEOJI-shaped military hats 2) large protruding eyes 3) large bulbous nose and nostrils 4) mostly straight shaped ears 5) horizontally shaped mouth and bulging cheek 6) short body and face (three or four-head figure) 7) purposed to protect castles and temples, or mountains and streams by filling up shortages, preventing illness. Especially, Dolhareubangs are known to have duties including castle protection and illness prevention for infective diseases. Differences of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re that only Dolhareubang has 1) arms and hands 2) stylobate stones with JEONGNANG (Jeju traditional gate) groove engraved on some, and that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has 3) BAEKHO(白毫) on the forehead 4) teeth or buck teeth 5) mustache and long goatee 6) name engraved largely on the front 7) cults in forms of DANGSAN(堂山) fete or JANGSEUNG fete which do not exist in Dolhareubang. Conclusively, there are two majo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 First one is morphological dynamic power. A decided formative difference between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is how arm and hand movements are expressed. Particularly for Jeju castle Dolhareubangs, neck angle varies based on where eyes are facing, and based on where they are installed or movements of hands, shoulders twist and angles of both arms change symmetrically. Second is the refined wittiness of Dolhareubangs. Although Dolhareubangs have different sizes and were built with different face/body shapes, from the fact that all existing 47 Dolhareubangs wear shaped military hats-BEONGGEOJI and that they all have emphasized facial expressions and hand movements, it is concluded that all of them were given the same functions and shapes. Besides that, different from l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s were erected mainly by civilians, government officials led making of Dolhareubangs and because of that, their bizarre facial expressions were much more moderate, and it is also known ritual ceremonies did not take place.
Key word : Dolhareubang,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ONGJUNGSEOK, Jeju stone statue, Kim Mong-kyu, Kim Seok-Ik
Dolhareubang, the symbolic icon of Jeju Island, was built by Jeju Minister Kim Mong-kyu(金夢煃) in 1754. 48 Dolhareubangs were made in Jeju 3 castles during the Chosun Dynasty. Today, 23 (1 lost) out of 24 from Jeju castle, 12 from Jeongui castle, 12 from DaeJeong castle, totals to 47 are passed down to present. In the year of 1971, 45 of them have been designated a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Folk materials No.2 ; 2 that were transferred into the entrance of The National Fork Museum of Korea in Seoul during mid 1960s were excluded. This paper describes Dolharubang which discloses the innate characteristics of Jeju using multiple forms of research like literature research and type comparison on regional form, art historical origin and production time, and molding characteristics. Main material of Dolharubang is vesicular basalt, but depending on the region, they also contain white plagioclases, black pxroxenes, yellow olvines as phenocryst minerals and aphanitic texture or fluidal foliation. Origin of Dolharubang, in addition to exis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points including southern hypothesis, northern hypothesis, and folklore points including traditional land tale, Jeju native tale, is understood as blend of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石長栍) from traditional land tale and the Maitreya(福神彌勒) of Jeju in art historical perspective. Many researchers gave lack of credibility regarding age of establishment as the first literature record was found 160 years later in 1918 than when Dolhareubang was actually first made. Therefore, two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are used as solutions to this issue. First is a literature analytic study called by Hyun Deok-Moon(玄德聞 1817-1876) which greatly influenced by Kim Seok-Ik(金錫翼 1885-1956) from 1918. However, because the book does not exist, a review on the possibility to find records on Dolhareubang(ONGJUNGSEOK) from Hyun Deok-Moon’s book was conducted. According to YUNJU Hyun’s genealogy, it is learned that Dolhareubang was built at the age 15 of his great-grandfather, Confucian scholar Hyun Gwang-Bo(玄光輔 1739~1826) who lived together with him until age 10. Therefore, there is a high coverage chance from Hyun Deok-Moon's book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s which Kim Seok-Ik read and it seems that he also reflected it intactly while writing . Secondly, functional contemplation can be used to anticipate the purpose of Dolhareubangs. There are total of 24 Dolhareubangs, 8 each at 3 gates in Jeju castle, total of 12 built in Jeongui castle and DaeJeong castle, 4 each at 3 gates. These represent gate keepers of the castle such as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s well as illness prevention for peace of the civilians.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s are clearly represented by using analytical shape comparisons to stone totem pole of the land which are considered to have many influential relationships. Similarities of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re 1) BEONGGEOJI-shaped military hats 2) large protruding eyes 3) large bulbous nose and nostrils 4) mostly straight shaped ears 5) horizontally shaped mouth and bulging cheek 6) short body and face (three or four-head figure) 7) purposed to protect castles and temples, or mountains and streams by filling up shortages, preventing illness. Especially, Dolhareubangs are known to have duties including castle protection and illness prevention for infective diseases. Differences of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are that only Dolhareubang has 1) arms and hands 2) stylobate stones with JEONGNANG (Jeju traditional gate) groove engraved on some, and that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has 3) BAEKHO(白毫) on the forehead 4) teeth or buck teeth 5) mustache and long goatee 6) name engraved largely on the front 7) cults in forms of DANGSAN(堂山) fete or JANGSEUNG fete which do not exist in Dolhareubang. Conclusively, there are two major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 First one is morphological dynamic power. A decided formative difference between Dolhareubang 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is how arm and hand movements are expressed. Particularly for Jeju castle Dolhareubangs, neck angle varies based on where eyes are facing, and based on where they are installed or movements of hands, shoulders twist and angles of both arms change symmetrically. Second is the refined wittiness of Dolhareubangs. Although Dolhareubangs have different sizes and were built with different face/body shapes, from the fact that all existing 47 Dolhareubangs wear shaped military hats-BEONGGEOJI and that they all have emphasized facial expressions and hand movements, it is concluded that all of them were given the same functions and shapes. Besides that, different from land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s were erected mainly by civilians, government officials led making of Dolhareubangs and because of that, their bizarre facial expressions were much more moderate, and it is also known ritual ceremonies did not take place.
Key word : Dolhareubang, Korean Stone Traditional Totem pole, ONGJUNGSEOK, Jeju stone statue, Kim Mong-kyu, Kim Seok-Ik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