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된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척도는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문항 척도를 조은주(2012)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신혜영(2004)이 제작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유아교사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척도는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유아교육기관에 직접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회수하였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된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척도는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문항 척도를 조은주(2012)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신혜영(2004)이 제작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유아교사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척도는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유아교육기관에 직접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회수하였다.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른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만 직무스트레스의 총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 요인들은 전문성 인식의 총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하위요인과 총점에서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학부모와의 관계만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정서적 상호작용은 직무스트레스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둘째,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업무과부화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사회봉사성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다른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 요인만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업무과부하가 행동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 포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만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른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유아교사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직무스트레스,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된 서울시와 경기도에 근무하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유아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척도는 Lindsay와 Lin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문항 척도를 조은주(2012)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척도는 신혜영(2004)이 제작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유아교사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척도는 이은해와 이기숙(1996)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평가척도를 이정숙(200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유아교육기관에 직접방문하거나 우편을 통하여 회수하였다.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른 Pearson의 상관계수를 도출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만 직무스트레스의 총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 요인들은 전문성 인식의 총점과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하위요인과 총점에서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학부모와의 관계만이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정서적 상호작용은 직무스트레스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둘째,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사회봉사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업무과부화가 정서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사회봉사성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다른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이 언어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무스트레스 요인만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업무과부하가 행동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전문적 지식과 기술요구,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 업무과부하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모두 포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하위 요인 중 원장의 지도력 및 행정적 지원 부족만 부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른 요인들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문성 인식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성 인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유아교사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sm awareness,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sm awareness,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sm awareness,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effects do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were randomly selected.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 measure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by Lindsay & Lindsay(1987), and remodeled by Cho Eun-ju(2012). A measure of occupational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modified and complimented by replacing "nursery school teachers" of Shin Hye-young(2004)'s measure with "early childhood teacher". Lee Eun-hae and Lee Gi-sook(1996)'s measur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Lee Jung-sook(2003).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with the SPSSWin 20.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ccupational str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occupation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professionalism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occupational stress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consistentl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upport syste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that occupational stress should be approached from many ang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sm awareness,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ar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ism awareness, occupational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effects do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occupational stress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who were randomly selected.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 measure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developed by Lindsay & Lindsay(1987), and remodeled by Cho Eun-ju(2012). A measure of occupational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modified and complimented by replacing "nursery school teachers" of Shin Hye-young(2004)'s measure with "early childhood teacher". Lee Eun-hae and Lee Gi-sook(1996)'s measure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used, which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Lee Jung-sook(2003).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with the SPSSWin 20.0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occupational str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occupational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professionalism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But occupational stress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consistentl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upport syste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that occupational stress should be approached from many angl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