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상담자의 도덕적 정서가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전문직업의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unselor's moral emotion on coping behavior in ethical conflict situation : focused on counselor professionalism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을 인지-정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담자 집단의 도덕적 정서와 도덕 판단력 및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전문직업의식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석사재학 이상의 상담수련생을 포함한 상담자를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TMMS), 죄책감경향성(TOSCA-3), 공감능력, 도덕 판단력(KDIT), 전문직업의식(전문직으로서의 상담질문지),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 척도, Q-sort과제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3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자들은 전문직업의식 중 상담자훈련을 가장 높게 의식하고 있었고, 윤리강령과 사회적 봉사가 다음으로 높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책임의식은 낮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의식은 도덕적 정서, 도덕판단력,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과의 관련성을 보여주었으나, 이들 사이의 상관은 크지 않았다. 도덕적 정서와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관계는 상담자의 전문직업의식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덕 판단력과 전문직업의식과의 관계는 ...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을 인지-정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담자 집단의 도덕적 정서와 도덕 판단력 및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전문직업의식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석사재학 이상의 상담수련생을 포함한 상담자를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TMMS), 죄책감경향성(TOSCA-3), 공감능력, 도덕 판단력(KDIT), 전문직업의식(전문직으로서의 상담질문지),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 척도, Q-sort과제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3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자들은 전문직업의식 중 상담자훈련을 가장 높게 의식하고 있었고, 윤리강령과 사회적 봉사가 다음으로 높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책임의식은 낮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의식은 도덕적 정서, 도덕판단력,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과의 관련성을 보여주었으나, 이들 사이의 상관은 크지 않았다. 도덕적 정서와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관계는 상담자의 전문직업의식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덕 판단력과 전문직업의식과의 관계는 정서인식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자는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 척도의 하위요인 중 선의가 전문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중 책임감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을 보이면서,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판단력과도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자 집단에서 선의, 죄책감, 공감과 같이 타인을 배려하는 정서가 상담자 집단의 전문가 윤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도덕 판단력과 전문직업의식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상담자 집단에서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인지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 윤리에 대해서도 인지-정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담자 도덕성과 상담자 윤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상담자의 윤리적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변인들을 탐색함으로서 상담자 집단의 도덕성과 윤리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성을 인지-정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담자 집단의 도덕적 정서와 도덕 판단력 및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전문직업의식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석사재학 이상의 상담수련생을 포함한 상담자를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TMMS), 죄책감경향성(TOSCA-3), 공감능력, 도덕 판단력(KDIT), 전문직업의식(전문직으로서의 상담질문지),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 척도, Q-sort과제로 이루어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중 3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자들은 전문직업의식 중 상담자훈련을 가장 높게 의식하고 있었고, 윤리강령과 사회적 봉사가 다음으로 높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과 책임의식은 낮게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의식은 도덕적 정서, 도덕판단력,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과의 관련성을 보여주었으나, 이들 사이의 상관은 크지 않았다. 도덕적 정서와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대처행동의 관계는 상담자의 전문직업의식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덕 판단력과 전문직업의식과의 관계는 정서인식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자는 윤리적 갈등상황에 대한 대처행동 척도의 하위요인 중 선의가 전문직업의식의 하위요인 중 책임감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을 보이면서,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판단력과도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자 집단에서 선의, 죄책감, 공감과 같이 타인을 배려하는 정서가 상담자 집단의 전문가 윤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의 수준이 도덕 판단력과 전문직업의식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상담자 집단에서 도덕적 정서와 도덕적 인지는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상담자 윤리에 대해서도 인지-정서 통합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상담자 도덕성과 상담자 윤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상담자의 윤리적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관련변인들을 탐색함으로서 상담자 집단의 도덕성과 윤리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morality from cognitive-emotional integrative approach and examined the role of professionalism in counselor group’s moral emotion, moral judgment and coping behavior selection in an ethical conflict situation.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
This study looked at morality from cognitive-emotional integrative approach and examined the role of professionalism in counselor group’s moral emotion, moral judgment and coping behavior selection in an ethical conflict situation.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counselors with a level of education, higher than the enrollment in graduate school, which consisted of the emotional clarity (Trait Meta-Mood Scale : TMMS), guilt-proneness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3), empathic ability, moral judgment (KDIT), professionalism (Counselling as a profession survey), coping behavior scale for ethical conflict situation and Q-sort technique, and the data collected from 335 pers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unselors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counselor training in professionalism, followed by ethics code and social services, and they had low consciousness about autonomy and responsibility. Professionalism showed correlations with coping behavior in moral emoti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conflict situation, but the correlations among them were not great. In moral emotion and ethical conflict situation, the relationship of coping behavior was mediated by the counselor’s professionalism, and the relationship with moral judgment and professionalism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of the sub-factors of coping behavior scale about an ethical conflict situation, good wi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emotion and moral judgment, showing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regions except responsibility, of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may be interpreted that the emotions of caring for others, such as goodwill, guilt and empathy in a counselor group affect the counselor group’s professional ethics, and judging from the impacts of the level of th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judgment and professionalism, it can be said that moral emotion and moral recognition in the counselor group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viewed counselor ethics from the cognitive-emotional integrative approach, and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f counselor morality and counselor ethics, this study sought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or group’s morality and ethical behavior by exploring related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counselor’s ethical behavior, presented its limitat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looked at morality from cognitive-emotional integrative approach and examined the role of professionalism in counselor group’s moral emotion, moral judgment and coping behavior selection in an ethical conflict situation.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counselors with a level of education, higher than the enrollment in graduate school, which consisted of the emotional clarity (Trait Meta-Mood Scale : TMMS), guilt-proneness (Test of Self-Conscious Affect: TOSCA-3), empathic ability, moral judgment (KDIT), professionalism (Counselling as a profession survey), coping behavior scale for ethical conflict situation and Q-sort technique, and the data collected from 335 pers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unselors had the highest awareness of counselor training in professionalism, followed by ethics code and social services, and they had low consciousness about autonomy and responsibility. Professionalism showed correlations with coping behavior in moral emotion, moral judgment and ethical conflict situation, but the correlations among them were not great. In moral emotion and ethical conflict situation, the relationship of coping behavior was mediated by the counselor’s professionalism, and the relationship with moral judgment and professionalism was moderated by the level of emotional awareness clari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of the sub-factors of coping behavior scale about an ethical conflict situation, good wi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emotion and moral judgment, showing positive correlations in all regions except responsibility, of the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may be interpreted that the emotions of caring for others, such as goodwill, guilt and empathy in a counselor group affect the counselor group’s professional ethics, and judging from the impacts of the level of the emotional awareness clarity on the correlation between moral judgment and professionalism, it can be said that moral emotion and moral recognition in the counselor group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viewed counselor ethics from the cognitive-emotional integrative approach, and at this point of time when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f counselor morality and counselor ethics, this study sought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unselor group’s morality and ethical behavior by exploring related variables that might affect the counselor’s ethical behavior, presented its limitations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