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당뇨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의 진행과 관련된 시신경의 형태 변화 및 범망막광응고술 치료 전 후 시신경 변화는 단면적 연구 또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여러 번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시신경 측정이 검사자의 주관에 의해 비 정량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시신경 주변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망막 부종에 영향을 받아 연구 결과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당뇨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변화 양상에 대해 Swept source 빛간섭단층촬영기 (SS OCT)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6월 1일부터 2015년1월 31일 까지 울산대 병원 안과를 방문하여 SS-OCT를 이용하여 시신경을 촬영한 당뇨 환자 중 당뇨 조절이 안정적이고 (...
목적: 당뇨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의 진행과 관련된 시신경의 형태 변화 및 범망막광응고술 치료 전 후 시신경 변화는 단면적 연구 또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여러 번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시신경 측정이 검사자의 주관에 의해 비 정량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시신경 주변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망막 부종에 영향을 받아 연구 결과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당뇨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변화 양상에 대해 Swept source 빛간섭단층촬영기 (SS OCT)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6월 1일부터 2015년1월 31일 까지 울산대 병원 안과를 방문하여 SS-OCT를 이용하여 시신경을 촬영한 당뇨 환자 중 당뇨 조절이 안정적이고 (HbA1c < 8%), 고도근시 및 증식 당뇨망막병증이 없으면서 시신경 주변 및 사상판 주변 조직의 판독이 가능했던 14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외 비슷한 나이대의 환자 중 동일한 기종, 동일한 검사자에 의해 시신경이 촬영된 정상안과 경도의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MD > -6dB)를 포함해서 총 65안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당뇨군과 비교하였다. SS-OCT를 이용하여 3D mode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시신경 이미지에서 시신경의 크기,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시신경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의 깊이, 사상판전층 및 사상판의 두께를 측정하여 각 군별로 측정 변수들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206안 중 정상안이 33안 (group I), 당뇨 환자 중 당뇨망막병증 소견이 없었던 경우가 30안 (group II), 비증식 당뇨망막병증이 66안 (group III), 비증식 당뇨망막병증 환자 중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군이 45안 (group IV), 정상안압 녹내장인 경우가 32안 (group V)이었다. 총 5군에서 시신경의 평균 직경에는 차이가 없었다 (p = 0.787). 그 외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및 사상판 두께는 범망막광응고술 시행군에서 응고술을 시행하지 않는 군에 비해 얇은 것을 알 수 있었으나 (p = 0.019, < 0.001) 녹내장안에 비해서는 감소 정도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p < 0.001, p = 0.018). 당뇨환자 (group I, II, III)에서 시신경 주위 망막 신경섬유층과 관련 있는 인자에 관련해서 다변량 분석을 실시 했을 때 레이저 기간과 사상판 두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 < 0.001, p = 0.014) 이에 group IV에서 레이저 기간과 각 조직의 변화 관계를 살펴 봤을 때 시신경 주위 망막 신경섬유층,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은 음의 상관관계 (R=-0.765 to -0.610, -0.490 to -0.408, -0.419 to -0.342)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사상판전층 및 사상판 깊이에서는 특별한 유의성을 찾지 못했다 (R=-0.003 to -0.104, -0.250 to -0.171). 결론: 범망막 광응고술 시행이 당뇨합병증을 가진 환자의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및 사상판의 두께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상판전층의 두께 및 사상판 깊이에는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으며 이러한 변화는 망막신경섬유층의 감소와 더불어 사상판전층,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 두께의 감소 및 사상판 깊이의 증가를 보이는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의 양상과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목적: 당뇨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의 진행과 관련된 시신경의 형태 변화 및 범망막광응고술 치료 전 후 시신경 변화는 단면적 연구 또는 종단적 연구를 통해 여러 번 보고되어 왔다. 하지만 시신경 측정이 검사자의 주관에 의해 비 정량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시신경 주변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가 망막 부종에 영향을 받아 연구 결과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에 당뇨환자에서 시신경 유두 변화 양상에 대해 Swept source 빛간섭단층촬영기 (SS OCT)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14년 6월 1일부터 2015년1월 31일 까지 울산대 병원 안과를 방문하여 SS-OCT를 이용하여 시신경을 촬영한 당뇨 환자 중 당뇨 조절이 안정적이고 (HbA1c < 8%), 고도근시 및 증식 당뇨망막병증이 없으면서 시신경 주변 및 사상판 주변 조직의 판독이 가능했던 14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외 비슷한 나이대의 환자 중 동일한 기종, 동일한 검사자에 의해 시신경이 촬영된 정상안과 경도의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MD > -6dB)를 포함해서 총 65안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당뇨군과 비교하였다. SS-OCT를 이용하여 3D mode로 연속적으로 촬영된 시신경 이미지에서 시신경의 크기,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시신경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의 깊이, 사상판전층 및 사상판의 두께를 측정하여 각 군별로 측정 변수들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206안 중 정상안이 33안 (group I), 당뇨 환자 중 당뇨망막병증 소견이 없었던 경우가 30안 (group II), 비증식 당뇨망막병증이 66안 (group III), 비증식 당뇨망막병증 환자 중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군이 45안 (group IV), 정상안압 녹내장인 경우가 32안 (group V)이었다. 총 5군에서 시신경의 평균 직경에는 차이가 없었다 (p = 0.787). 그 외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및 사상판 두께는 범망막광응고술 시행군에서 응고술을 시행하지 않는 군에 비해 얇은 것을 알 수 있었으나 (p = 0.019, < 0.001) 녹내장안에 비해서는 감소 정도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p < 0.001, p = 0.018). 당뇨환자 (group I, II, III)에서 시신경 주위 망막 신경섬유층과 관련 있는 인자에 관련해서 다변량 분석을 실시 했을 때 레이저 기간과 사상판 두께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p < 0.001, p = 0.014) 이에 group IV에서 레이저 기간과 각 조직의 변화 관계를 살펴 봤을 때 시신경 주위 망막 신경섬유층,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은 음의 상관관계 (R=-0.765 to -0.610, -0.490 to -0.408, -0.419 to -0.342)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사상판전층 및 사상판 깊이에서는 특별한 유의성을 찾지 못했다 (R=-0.003 to -0.104, -0.250 to -0.171). 결론: 범망막 광응고술 시행이 당뇨합병증을 가진 환자의 시신경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및 사상판의 두께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사상판전층의 두께 및 사상판 깊이에는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았으며 이러한 변화는 망막신경섬유층의 감소와 더불어 사상판전층, 경계부 신경섬유 두께, 사상판 두께의 감소 및 사상판 깊이의 증가를 보이는 녹내장성 시신경 변화의 양상과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PURPOSE: Cross sectional or longitudin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formational changes in the optic nerve related to the progress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optic nerve after panretinal photocoagulation. However, th...
PURPOSE: Cross sectional or longitudin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formational changes in the optic nerve related to the progress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optic nerve after panretinal photocoagul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ies have not been consistent not only as the measuring of the optic disc has been made subjectively by the inspectors using non-quantitative methods but also as the effect of retinal edema on the thickness of the retinal nerve fiber around the optic nerve has not been accounted for.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is introduced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changes in the tissues around the optic disc and the lamina cribrosa.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and underwent SS-OCT from Jun. 1, 2014 to Jan. 31, 2015, 141 patients were consecutively selected from those whose diabetes was under control with HbA1c -6dB), whose optical nerves were examined using the same type of equipment by the same inspector were selected to be the contro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diabetes group.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mong the groups, sequential images of the optic nerve acquired using SS-OCT in 3-dimensional mode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size of optic nerve, th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the neuro-retinal rim thickness, the depth of anterior lamina cribrosa, prelamina thickness and lamina cribrosa thickness. RESULTS: The total 206 eyes were composed of 33 normal eyes (Group I), 30 eyes of patients with diabetes which were not affected by diabetic retinopathy (Group II), 66 eyes with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Group III), 45 eyes of those with non-proliferative retinopathy on which panretinal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Group IV) and 32 eyes with normal-tension glaucoma(Group V).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diameter of optical nerve among the five groups (p = 0.787). In addition, RNFL and lamina cribrosa thickness appeared to be thinner in the group IV than those in the group III (p = 0.019, < 0.001) although the degree of a decrease in the thickness was not prominent compared to that of patients with NTG (p < 0.001, p = 0.018). The multivariate analysis, which wa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iabetic patients (Group II, III and IV),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RNFL adjacent to the optic disc showed that the duration of PRP and the thickness of L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p = 0.014), h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the PRP and the tomographic variables was examined in Group IV. The resul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the laser puls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tions from peripapillary RNFL, the rim thickness and LC thickness (R=-0.765 to -0.610, -0.490 to -0.408, -0.419 to -0.342) where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on the prelamina thickness and the anterior lamina cribrosa depth (R=-0.003 to -0.104, -0.250 to -0.171). CONCLUSIONS: PRP brought about a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RNFL around the optic disc, neural tissues within the neuro-retinal rim and the lamina cribrosa.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ickness of prelamina and the depth of lamina cribrosa. These results imply that these changes essentially differ from glaucomatous changes in a pattern that is characterized by a decline in the thickness of RNFL, prelamina and LC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depth of the lamina cribrosa.
PURPOSE: Cross sectional or longitudin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formational changes in the optic nerve related to the progress of diabetic retinopathy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optic nerve after panretinal photocoagulation. However, the results of the studies have not been consistent not only as the measuring of the optic disc has been made subjectively by the inspectors using non-quantitative methods but also as the effect of retinal edema on the thickness of the retinal nerve fiber around the optic nerve has not been accounted for.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S-OCT) is introduced to analyze quantitatively the changes in the tissues around the optic disc and the lamina cribrosa.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Ulsan University Hospital and underwent SS-OCT from Jun. 1, 2014 to Jan. 31, 2015, 141 patients were consecutively selected from those whose diabetes was under control with HbA1c -6dB), whose optical nerves were examined using the same type of equipment by the same inspector were selected to be the control group and compared with the diabetes group.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among the groups, sequential images of the optic nerve acquired using SS-OCT in 3-dimensional mode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size of optic nerve, th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the neuro-retinal rim thickness, the depth of anterior lamina cribrosa, prelamina thickness and lamina cribrosa thickness. RESULTS: The total 206 eyes were composed of 33 normal eyes (Group I), 30 eyes of patients with diabetes which were not affected by diabetic retinopathy (Group II), 66 eyes with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Group III), 45 eyes of those with non-proliferative retinopathy on which panretinal photocoagulation was performed (Group IV) and 32 eyes with normal-tension glaucoma(Group V).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diameter of optical nerve among the five groups (p = 0.787). In addition, RNFL and lamina cribrosa thickness appeared to be thinner in the group IV than those in the group III (p = 0.019, < 0.001) although the degree of a decrease in the thickness was not prominent compared to that of patients with NTG (p < 0.001, p = 0.018). The multivariate analysis, which wa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iabetic patients (Group II, III and IV),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RNFL adjacent to the optic disc showed that the duration of PRP and the thickness of L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p = 0.014), h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the PRP and the tomographic variables was examined in Group IV. The resul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the laser pulse and the thickness of the sections from peripapillary RNFL, the rim thickness and LC thickness (R=-0.765 to -0.610, -0.490 to -0.408, -0.419 to -0.342) where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on the prelamina thickness and the anterior lamina cribrosa depth (R=-0.003 to -0.104, -0.250 to -0.171). CONCLUSIONS: PRP brought about a reduction in the thickness of the RNFL around the optic disc, neural tissues within the neuro-retinal rim and the lamina cribrosa. On the other hand, it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ickness of prelamina and the depth of lamina cribrosa. These results imply that these changes essentially differ from glaucomatous changes in a pattern that is characterized by a decline in the thickness of RNFL, prelamina and LC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depth of the lamina cribros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