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분석을 논의하기 위하여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통하여 환상성에 대한 하위 범주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 10년간 4대 컬렉션의 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해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성이란 인간의 눈에 인식되는 것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이게 하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상상력에 기반을 둔 내적 체험을 통하여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마음속에서 자유롭게 감각적으로 생성해내는 것, 또는 그 실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촉각적으로 느낄 수 없는 허구의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에서 인정하는 합의된 리얼리티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생성되며,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 조건과 분리시킬 수 없는 당대의 리얼리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개념이며, 현실에서의 연장선 위에서 일원적이고 절대적인 특성을 지닌 내적 리얼리티의 가치를 수반한 다원적이고 상대적인 특성을 지닌다. 둘째,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토대로 마련한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현실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이 친숙하지 않는 새로운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거나 획일화된 범주의 일탈을 통하여 인간이 추구하고 꿈꿔왔던 이상과 욕망이 현실화됨으로써 정신적인 즐거움이나 긍정적인 의미가 반영된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 인간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이 현실에서 직면하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것으로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짐으로써 외형적으로 괴상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의한 분리적 환상, 현실과 이상의 중간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하지만, 현실의 세계의 산물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상징적인 것이 융화되어 재창조됨으로써 낯설지만, 친숙한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이상과 현실의 절충에 의한 재창조적 환상, 현실에서의 부정적인 의미를 수반하는 것으로, 인간은 현실 세계에서 감추고 숨기고자 하는 추악한 것들을 감추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복식의 은폐와 노출을 통해 표출되는 현실 도피적 부정적 환상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환상성의 표현 유형은 첫째,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으로 크게 하이 테크놀로지와의 융합, 비형식적 ...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분석을 논의하기 위하여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통하여 환상성에 대한 하위 범주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 10년간 4대 컬렉션의 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해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성이란 인간의 눈에 인식되는 것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이게 하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상상력에 기반을 둔 내적 체험을 통하여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마음속에서 자유롭게 감각적으로 생성해내는 것, 또는 그 실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촉각적으로 느낄 수 없는 허구의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에서 인정하는 합의된 리얼리티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생성되며,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 조건과 분리시킬 수 없는 당대의 리얼리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개념이며, 현실에서의 연장선 위에서 일원적이고 절대적인 특성을 지닌 내적 리얼리티의 가치를 수반한 다원적이고 상대적인 특성을 지닌다. 둘째,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토대로 마련한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현실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이 친숙하지 않는 새로운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거나 획일화된 범주의 일탈을 통하여 인간이 추구하고 꿈꿔왔던 이상과 욕망이 현실화됨으로써 정신적인 즐거움이나 긍정적인 의미가 반영된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 인간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이 현실에서 직면하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것으로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짐으로써 외형적으로 괴상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의한 분리적 환상, 현실과 이상의 중간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하지만, 현실의 세계의 산물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상징적인 것이 융화되어 재창조됨으로써 낯설지만, 친숙한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이상과 현실의 절충에 의한 재창조적 환상, 현실에서의 부정적인 의미를 수반하는 것으로, 인간은 현실 세계에서 감추고 숨기고자 하는 추악한 것들을 감추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복식의 은폐와 노출을 통해 표출되는 현실 도피적 부정적 환상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환상성의 표현 유형은 첫째,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으로 크게 하이 테크놀로지와의 융합, 비형식적 오브제의 접목,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 평면화로 표출되었다. 첫 번째로, 하이 테크놀로지와의 융합은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 발광 소재로 분류되었다.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는 의상의 내부에 기계 장치를 융합하여 특정한 형태의 테일러링 방식을 벗어나 기계에 의해 또는 인간에 의해 조작되는 의상의 개념 변화를 유도하거나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지금까지 의복 구성으로 구현할 수 없는 실루엣 또는 소재의 질감을 표현하도록 함을 들 수 있다. 발광 소재는 광원을 발산하는 기계 장치를 의상의 내·외부에 접목하여 물질적 공간의 개념을 해체하거나 패션쇼 무대 위에서 조명을 의상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여 시각적인 착시를 통해 실재하면서도 실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두 번째로, 비형식적인 오브제의 접목은 일상 사물의 의미나 패션 아이템의 위치 전복,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인 평면화로 세분화할 수 있다. 비형식적인 오브제의 접목은 현대 생활 속의 필수품을 접목하여 그 기능을 변화시키거나 패션 소품의 착용 위치의 전환,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외형에서 표출된 특징을 구체적으로 오브제화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낯설음과 놀라움을 통한 환상을 불러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 평면화는 페이크 기법을 활용한 2차원적 평면화, 실루엣 왜곡을 통한 2차원적 평면화, 이중적 실루엣이 결합된 3차원적 평면화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페이크 기법을 활용한 2차원적 평면화는 기본적인 의복 위에 가상의 의복, 장식적인 요소 또는 신체의 이미지를 프린트하거나 수작업을 통하여 부착하였으며, 신체의 부분적 패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의복 구성에서 벗어나 결합의 봉제선을 가상의 선을 활용하여 분할함으로써 이중적 결합에서 오는 환상성을 불러일으켰다. 실루엣 왜곡을 통한 2차원적 평면화는 의복의 내부에 딱딱한 소재의 보형물을 삽입하여 직선 형태의 이차원적 평면적인 형태를 구현함을 들 수 있다. 이중적 실루엣이 결합된 3차원적 평면화의 경우, 인체의 외형적인 실루엣만을 고려하여 의복을 결합, 의복의 외형에서 표출되는 윤곽의 실루엣이 두 가지로 분할된 3차원의 평면화로 표출되었다. 두 번째,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의한 분리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크게 신체의 확장과 구속, 신체의 왜곡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신체의 확장은 과장을 통한 실루엣의 확장, 부분적 신체 요소의 강조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과장을 통한 실루엣의 확장은 형태와 길이의 확장을 통하여 거대한 조형미를 구현하거나 반복을 이용한 형태의 중첩을 통하여 일반적인 선을 넘는 과장된 볼륨감 형성하였다. 부분적 신체 요소의 강조의 경우, 머리카락이나 손, 가슴 등의 신체 일부의 요소를 패션 디자인으로 치환, 이미지를 전사하여 강조하거나, 인간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눈과 얼굴의 표정, 또는 이미지를 오브제화 또는 의복의 위에 전사하여 표출함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신체의 구속은 끈을 활용한 신체의 구속과 불투명하고 두꺼운 소재를 이용한 신체의 구속으로 양분화 할 수 있는데, 끈을 활용한 신체의 구속은 패션의 장식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벨트나 테이프, 또는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밧줄을 활용하여 인체를 분할하거나 인체를 결박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불투명하고 두꺼운 소재를 이용한 신체의 구속은 끈의 부피감이나 소재의 질감에 변화를 줌으로써 아둔하고 둔탁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신체의 왜곡은 신체 내부 요소와 외부 요소의 돌출, 비정형과 비대칭으로 범주화 할 수 있는데, 신체 내부 요소의 돌출은 신체 내부의 골격을 실체 크기로 이미지화하여 프린트하거나 금속성 소재의 장식을 통하여 신체 내부의 골격을 형상화하여 표출되었다. 신체 외부 요소의 돌출의 경우, 상반신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어깨 등 신체의 일부분을 주름과 소재의 중첩, 또는 소재의 인위적인 변형을 통하여 신체의 부조화를 형상화하였다. 비정형과 비대칭은 서로 다른 실루엣 또는 소재로 구성된 의복을 결합하거나 의복의 부분적인 요소를 비정형적이고 무분별하게 중첩, 또는 과장된 형태감을 구성하여 표출됨을 들 수 있다. 세 번째, 이상과 현실의 절충에 의한 재창조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과거 복식의 부분적 차용,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으로 표출되었다. 첫 번째로, 과거 복식의 부분적 차용은 동양 복식의 여밈이나 외형적인 실루엣을 구현, 동양의 문양 또는 자수를 접목, 동양 회화의 이미지를 프린트하여 표현하거나 서양의 시대적 복식의 실루엣과 장식적인 요소, 또는 색상이나 예술적 표현 기법, 시대적 분위기를 함양하고 있는 이미지를 절충하여 표출함을 들 수 있다.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은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이나 과거 복식의 구조적 프레임을 활용한 것으로 양분화할 수 있다.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의 활용의 경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강한 소재의 특성을 통한 소재 면의 비평형적 접합을 통하여 구현된 형상의 중첩을 통한 입체적 볼륨간의 구현하거나 패드나 프레임을 의복 안에 삽입하여 소재의 중력감을 지지하는 외형적 구조를 형상화함을 들 수 있다. 과거 복식의 구조적 프레임을 활용은 크리놀린이나 코르셋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외면화를 통하여 표현됨을 들 수 있다. 네 번째, 현실 도피적 부정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인체 실루엣을 은닉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와 인체 실루엣을 노출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로 양분화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인체 실루엣을 은닉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는 퍼나 충전재의 활용 또는 중첩을 통한 부피감을 부여함으로써 신체를 고려하지 않은 거대한 형태로 인체 본연의 실루엣을 은폐하거나 부분적으로 신체의 기능을 상실시키고 위치를 변형하도록 함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인체 실루엣을 노출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는 인체 실루엣의 노출을 통한 신체의 은폐는 색상이나 문양, 몸에 밀착된 의복을 통하여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내부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얇은 시스루소재를 통하여 외형적으로는 은폐되어 있지만, 내부적으로 신체의 실루엣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사례고찰을 통해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미적 특성은 첫째, 불확정성이다. 불확정성이란 의미의 혼동이나 모호성으로 절대적인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정체성이나 심리적인 내적 상태, 또는 외적 현상에 대한 이분화된, 양자택일이 아닌 상호 보완적 포용관계로 양면성에 대한 자유와 선택이 강조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불확정성은 비정형과 비대칭에서와 같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전혀 관련이 없는 부분에 접목 또는 여러 크기로 중첩하거나 인체 실루엣의 다원적 평면화처럼 의복과 인체 형상간의 고정관념을 일탈한 평면적인 구성을 통하여 불확정적인 미를 표출하였다. 또한, 과장을 통한 신체 실루엣의 확장, 신체의 돌출,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은 내·외부의 공간감을 시각적으로 증폭시키거나 와해시킴으로써 형태의 모호성을 통한 불확정적인 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상호텍스트성이다. 어떤 하나의 주체가 독자적으로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여러 요소들이나 분야 간의 상호 교류 즉, 타자 사이와의 관계성에 의해 여러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상호텍스트성은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나 발광소재, 또는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의 접목과 같이 과학, 건축 등의 다채로운 타 영역과의 접목을 통한 상호텍스트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복식을 차용하거여 접목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라는 이분법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상호텍스트의 아름다움이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희성이다. 유희성이란 진지한 것 보다는 가벼움을 추구함으로써 재미와 웃음이 유발되고, 인간에게 현실에서의 일탈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허구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유희성은 환상성의 전반적인 표형 유형들에서 표출되는데, 이는 기존의 미적 조화나 규범이라고 인식되어 있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낯설음에서 오는 새로움을 창조하는 것으로 표출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쾌한 감정에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즐거움뿐만 아니라 괴기스러운 충격과 추함의 의외성에서 오는 즐거움까지 수용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해체성이다. 해체성이란 현실에 있는 기존에 존재하는 어떠한 사물을 분리, 절단, 조각 등과 같은 해체작업을 통하여 설득력 있는 원칙 아래 재구성하는 예술적 표현 방법의 하나이며, 파괴, 변화, 생성의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물에 부여된 고유의 개념 및 절대적 이상미를 재구성함으로써 절충적이고 복합적인 새로운 결과물이 창조되고 관찰자로 하여금 다양하고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해체성은 인체 실루엣의 다원적 평면화를 통해 입체성을 무시하는 평면성, 또는 신체의 확장이나 왜곡과 같은 인체의 변형과 파괴를 통한 인체에 대한 사고방식의 해체, 비형식적 오브제의 접목과 같이 다른 차원에 속하는 사물들의 병존하면서 논리적 모순관계 의복을 분리하여 재구성함으로써 해체성이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의복 개념이 제시해온 대칭, 균형, 조화에 따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 비대칭, 불균형, 복잡성, 불완전성 등과 같은 탈중심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조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탈경계성이다. 탈경계성이란 단편적인 중심에서 벗어나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관점을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수용·통합·전환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함양한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는 것으로 기존의 경험을 통해 인식하고 있거나 과거에 규정되어진 방법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탈경계성은 패션과 다른 분야와의 컨버전스를 통해 경계가 모호해지거나 또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하이테크놀러지의 융합과 같은 과학과의 접목, 건축과 같은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하여 표출되거나, 과거 복식의 차용과 같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타 문화의 속성을 이해하고, 절충하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와 과학 기술의 특허를 가지고 있는 회사와의 콜라보레이션 또한 탈경계성의 일환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서로간의 경계를 낮추고, 결합함으로써 각 장르간 또는 문화적인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자아낸다고 할 수 있으며, 패션 디자인의 개념의 전환을 통한 의복은 종전에 접할 수 없는 새로움을 함양하고 있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분석을 논의하기 위하여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통하여 환상성에 대한 하위 범주를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최근 10년간 4대 컬렉션의 패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해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상성이란 인간의 눈에 인식되는 것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보이게 하는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인간의 상상력에 기반을 둔 내적 체험을 통하여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마음속에서 자유롭게 감각적으로 생성해내는 것, 또는 그 실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거나 촉각적으로 느낄 수 없는 허구의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실에서 인정하는 합의된 리얼리티의 범위에서 벗어날 때 생성되며,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현실적 조건과 분리시킬 수 없는 당대의 리얼리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개념이며, 현실에서의 연장선 위에서 일원적이고 절대적인 특성을 지닌 내적 리얼리티의 가치를 수반한 다원적이고 상대적인 특성을 지닌다. 둘째,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토대로 마련한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현실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는 인간들이 친숙하지 않는 새로운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거나 획일화된 범주의 일탈을 통하여 인간이 추구하고 꿈꿔왔던 이상과 욕망이 현실화됨으로써 정신적인 즐거움이나 긍정적인 의미가 반영된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 인간이 추구하고자 하는 이상이 현실에서 직면하는 한계점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것으로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짐으로써 외형적으로 괴상하고, 공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의한 분리적 환상, 현실과 이상의 중간 지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상적인 것을 추구하지만, 현실의 세계의 산물이라고 인식할 수 있는 상징적인 것이 융화되어 재창조됨으로써 낯설지만, 친숙한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는 이상과 현실의 절충에 의한 재창조적 환상, 현실에서의 부정적인 의미를 수반하는 것으로, 인간은 현실 세계에서 감추고 숨기고자 하는 추악한 것들을 감추고자 하는 본능적인 욕구를 복식의 은폐와 노출을 통해 표출되는 현실 도피적 부정적 환상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환상성의 표현 유형은 첫째,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향한 환희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으로 크게 하이 테크놀로지와의 융합, 비형식적 오브제의 접목,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 평면화로 표출되었다. 첫 번째로, 하이 테크놀로지와의 융합은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 발광 소재로 분류되었다.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는 의상의 내부에 기계 장치를 융합하여 특정한 형태의 테일러링 방식을 벗어나 기계에 의해 또는 인간에 의해 조작되는 의상의 개념 변화를 유도하거나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지금까지 의복 구성으로 구현할 수 없는 실루엣 또는 소재의 질감을 표현하도록 함을 들 수 있다. 발광 소재는 광원을 발산하는 기계 장치를 의상의 내·외부에 접목하여 물질적 공간의 개념을 해체하거나 패션쇼 무대 위에서 조명을 의상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여 시각적인 착시를 통해 실재하면서도 실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두 번째로, 비형식적인 오브제의 접목은 일상 사물의 의미나 패션 아이템의 위치 전복,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인 평면화로 세분화할 수 있다. 비형식적인 오브제의 접목은 현대 생활 속의 필수품을 접목하여 그 기능을 변화시키거나 패션 소품의 착용 위치의 전환,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외형에서 표출된 특징을 구체적으로 오브제화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낯설음과 놀라움을 통한 환상을 불러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인체 실루엣의 다차원적 평면화는 페이크 기법을 활용한 2차원적 평면화, 실루엣 왜곡을 통한 2차원적 평면화, 이중적 실루엣이 결합된 3차원적 평면화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페이크 기법을 활용한 2차원적 평면화는 기본적인 의복 위에 가상의 의복, 장식적인 요소 또는 신체의 이미지를 프린트하거나 수작업을 통하여 부착하였으며, 신체의 부분적 패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의복 구성에서 벗어나 결합의 봉제선을 가상의 선을 활용하여 분할함으로써 이중적 결합에서 오는 환상성을 불러일으켰다. 실루엣 왜곡을 통한 2차원적 평면화는 의복의 내부에 딱딱한 소재의 보형물을 삽입하여 직선 형태의 이차원적 평면적인 형태를 구현함을 들 수 있다. 이중적 실루엣이 결합된 3차원적 평면화의 경우, 인체의 외형적인 실루엣만을 고려하여 의복을 결합, 의복의 외형에서 표출되는 윤곽의 실루엣이 두 가지로 분할된 3차원의 평면화로 표출되었다. 두 번째,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 의한 분리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크게 신체의 확장과 구속, 신체의 왜곡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신체의 확장은 과장을 통한 실루엣의 확장, 부분적 신체 요소의 강조로 세분화 할 수 있는데, 과장을 통한 실루엣의 확장은 형태와 길이의 확장을 통하여 거대한 조형미를 구현하거나 반복을 이용한 형태의 중첩을 통하여 일반적인 선을 넘는 과장된 볼륨감 형성하였다. 부분적 신체 요소의 강조의 경우, 머리카락이나 손, 가슴 등의 신체 일부의 요소를 패션 디자인으로 치환, 이미지를 전사하여 강조하거나, 인간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눈과 얼굴의 표정, 또는 이미지를 오브제화 또는 의복의 위에 전사하여 표출함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신체의 구속은 끈을 활용한 신체의 구속과 불투명하고 두꺼운 소재를 이용한 신체의 구속으로 양분화 할 수 있는데, 끈을 활용한 신체의 구속은 패션의 장식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벨트나 테이프, 또는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밧줄을 활용하여 인체를 분할하거나 인체를 결박하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불투명하고 두꺼운 소재를 이용한 신체의 구속은 끈의 부피감이나 소재의 질감에 변화를 줌으로써 아둔하고 둔탁한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신체의 왜곡은 신체 내부 요소와 외부 요소의 돌출, 비정형과 비대칭으로 범주화 할 수 있는데, 신체 내부 요소의 돌출은 신체 내부의 골격을 실체 크기로 이미지화하여 프린트하거나 금속성 소재의 장식을 통하여 신체 내부의 골격을 형상화하여 표출되었다. 신체 외부 요소의 돌출의 경우, 상반신의 전면이나 후면, 또는 어깨 등 신체의 일부분을 주름과 소재의 중첩, 또는 소재의 인위적인 변형을 통하여 신체의 부조화를 형상화하였다. 비정형과 비대칭은 서로 다른 실루엣 또는 소재로 구성된 의복을 결합하거나 의복의 부분적인 요소를 비정형적이고 무분별하게 중첩, 또는 과장된 형태감을 구성하여 표출됨을 들 수 있다. 세 번째, 이상과 현실의 절충에 의한 재창조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과거 복식의 부분적 차용,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으로 표출되었다. 첫 번째로, 과거 복식의 부분적 차용은 동양 복식의 여밈이나 외형적인 실루엣을 구현, 동양의 문양 또는 자수를 접목, 동양 회화의 이미지를 프린트하여 표현하거나 서양의 시대적 복식의 실루엣과 장식적인 요소, 또는 색상이나 예술적 표현 기법, 시대적 분위기를 함양하고 있는 이미지를 절충하여 표출함을 들 수 있다.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은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이나 과거 복식의 구조적 프레임을 활용한 것으로 양분화할 수 있다.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의 활용의 경우, 단단하고 내구성이 강한 소재의 특성을 통한 소재 면의 비평형적 접합을 통하여 구현된 형상의 중첩을 통한 입체적 볼륨간의 구현하거나 패드나 프레임을 의복 안에 삽입하여 소재의 중력감을 지지하는 외형적 구조를 형상화함을 들 수 있다. 과거 복식의 구조적 프레임을 활용은 크리놀린이나 코르셋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외면화를 통하여 표현됨을 들 수 있다. 네 번째, 현실 도피적 부정적 환상을 표현한 현대 패션 디자인은 인체 실루엣을 은닉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와 인체 실루엣을 노출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로 양분화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인체 실루엣을 은닉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는 퍼나 충전재의 활용 또는 중첩을 통한 부피감을 부여함으로써 신체를 고려하지 않은 거대한 형태로 인체 본연의 실루엣을 은폐하거나 부분적으로 신체의 기능을 상실시키고 위치를 변형하도록 함을 들 수 있다. 두 번째로 인체 실루엣을 노출하기 위한 억압적 은폐는 인체 실루엣의 노출을 통한 신체의 은폐는 색상이나 문양, 몸에 밀착된 의복을 통하여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를 하나로 통합하거나, 내부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얇은 시스루소재를 통하여 외형적으로는 은폐되어 있지만, 내부적으로 신체의 실루엣이 인식될 수 있는 형태로 표출되었다. 이러한 문학적 환상성을 중심으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사례고찰을 통해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미적 특성은 첫째, 불확정성이다. 불확정성이란 의미의 혼동이나 모호성으로 절대적인 개념이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정체성이나 심리적인 내적 상태, 또는 외적 현상에 대한 이분화된, 양자택일이 아닌 상호 보완적 포용관계로 양면성에 대한 자유와 선택이 강조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불확정성은 비정형과 비대칭에서와 같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전혀 관련이 없는 부분에 접목 또는 여러 크기로 중첩하거나 인체 실루엣의 다원적 평면화처럼 의복과 인체 형상간의 고정관념을 일탈한 평면적인 구성을 통하여 불확정적인 미를 표출하였다. 또한, 과장을 통한 신체 실루엣의 확장, 신체의 돌출, 구조적 프레임의 전환과 모방은 내·외부의 공간감을 시각적으로 증폭시키거나 와해시킴으로써 형태의 모호성을 통한 불확정적인 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상호텍스트성이다. 어떤 하나의 주체가 독자적으로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여러 요소들이나 분야 간의 상호 교류 즉, 타자 사이와의 관계성에 의해 여러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상호텍스트성은 전자소재와 3D 프린팅 소재나 발광소재, 또는 건축적 구조의 모방과 프레임의 접목과 같이 과학, 건축 등의 다채로운 타 영역과의 접목을 통한 상호텍스트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복식을 차용하거여 접목하는 것은 과거와 현재라는 이분법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상호텍스트의 아름다움이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희성이다. 유희성이란 진지한 것 보다는 가벼움을 추구함으로써 재미와 웃음이 유발되고, 인간에게 현실에서의 일탈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허구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유희성은 환상성의 전반적인 표형 유형들에서 표출되는데, 이는 기존의 미적 조화나 규범이라고 인식되어 있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낯설음에서 오는 새로움을 창조하는 것으로 표출된다고 할 수 있으며, 유쾌한 감정에서 얻어지는 긍정적인 즐거움뿐만 아니라 괴기스러운 충격과 추함의 의외성에서 오는 즐거움까지 수용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해체성이다. 해체성이란 현실에 있는 기존에 존재하는 어떠한 사물을 분리, 절단, 조각 등과 같은 해체작업을 통하여 설득력 있는 원칙 아래 재구성하는 예술적 표현 방법의 하나이며, 파괴, 변화, 생성의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사물에 부여된 고유의 개념 및 절대적 이상미를 재구성함으로써 절충적이고 복합적인 새로운 결과물이 창조되고 관찰자로 하여금 다양하고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해체성은 인체 실루엣의 다원적 평면화를 통해 입체성을 무시하는 평면성, 또는 신체의 확장이나 왜곡과 같은 인체의 변형과 파괴를 통한 인체에 대한 사고방식의 해체, 비형식적 오브제의 접목과 같이 다른 차원에 속하는 사물들의 병존하면서 논리적 모순관계 의복을 분리하여 재구성함으로써 해체성이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의복 개념이 제시해온 대칭, 균형, 조화에 따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 비대칭, 불균형, 복잡성, 불완전성 등과 같은 탈중심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새로운 아름다움을 창조한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탈경계성이다. 탈경계성이란 단편적인 중심에서 벗어나 보다 광범위하고 다양한 관점을 열린 사고를 바탕으로 수용·통합·전환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함양한 어떠한 것을 창출해내는 것으로 기존의 경험을 통해 인식하고 있거나 과거에 규정되어진 방법의 경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탈경계성은 패션과 다른 분야와의 컨버전스를 통해 경계가 모호해지거나 또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하이테크놀러지의 융합과 같은 과학과의 접목, 건축과 같은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하여 표출되거나, 과거 복식의 차용과 같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타 문화의 속성을 이해하고, 절충하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와 과학 기술의 특허를 가지고 있는 회사와의 콜라보레이션 또한 탈경계성의 일환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서로간의 경계를 낮추고, 결합함으로써 각 장르간 또는 문화적인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자아낸다고 할 수 있으며, 패션 디자인의 개념의 전환을 통한 의복은 종전에 접할 수 없는 새로움을 함양하고 있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types of expression and examine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ashion images which are expressed fantasy of the main collections(New York, Milano, Paris, London) in the recent ten years based on defining the criteria of fantasy through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T...
This study considers types of expression and examine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ashion images which are expressed fantasy of the main collections(New York, Milano, Paris, London) in the recent ten years based on defining the criteria of fantasy through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ntasy mean all of fictional things which cannot be visually checked or felt in tactile way, or freely and sensorially generate the target which does not actually exist in the mind through internal experience based on human imagination. also, it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make visible not only what is can recognized by human eyes, but also of what is invisible, Further, it is a concept that is built when escaping out of the extent of reality agreed in actuality and that can be variably changed depending on the reality of the ag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actual condition of a human being’s life. It has plural and relative properties accompanied by the value of internal reality that has the unitary and absolute property on the extended line of reality. Second, the analytic standard of this study that is based on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means the middle point between reality and ideal, a separative fantasy by alienation from the ideal that produces a horrific atmosphere and which is externally strange and reality as the ideal pursued by human being is separated as an abnormal subject due to the limit that ideal faces in reality, the raptured fantasy towards human desire and ideal in which mental enjoyment and positive meaning are reflected as the ideal and desire pursued and longed for by a human being is realized, since the human being living in the real world creates something new and unfamiliar or a deviation of uniformed category. As the symbolic thing that can be recognized as a product of the real world is fused and re-created, the re-creative fantasy by blending of the ideal and reality which arouses a change in a familiar emotion, though unfamiliar, the thing which takes a negative meaning in the reality, a human being has drawn the instinctive desire they try to hide vile things they intend to conceal and hide in real world in four properties of reality, escaping a negative fantasy which is indicated by concealment and exposure of raiments. Third, the expression types of fantasy in modern fashion based on the criteria of fantasy through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is, first, a modern fashion design which expresses a raptured fantasy towards human desire and ideal. It is largely expressed as a fusion with high technology, utilizing a non-formal objet and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First, the convergence of high technology was classified into electronic materials, 3D printing materials, and illuminating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and 3D printing materials can be said to the expression of texture of a silhouette or materials which could not be embodied in raiment composition so far by inducing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clothes manipulated by a machine or human being or using 3D printing, out of a tailoring mode in the specific form by combining mechanical device in the fashion. Illuminating materials were expressed to the inducement of imaginary space that actually exists or not through an optical illusion by a light-emitting mechanical device on the internal/external part of clothes or disintegrating the concept of physical space or concentrating illumination on the specific part of clothes on the stage of a fashion show. Second, utilizing a non-formal objet can be subdivided into meaning of daily things or reversion of fashion item position,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of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Utilizing a non-formal objet can arouse fantasy to the public through strangeness or surprise by utilizing necessities of modern life to change the function or by converting the wearing position of small articles of fashion or, concretely, making an objet of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the appearance of animal. The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can be subdivided into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at utilizes a fake technique,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rough a perversion of the silhouette, a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a dual silhouette is combined.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at utilizes the fake technique attaches imaginary clothes, decorative factor, or image of physical body on basic clothes by printing or manual work. The fantasy arising from a dual combination is made by separating imaginary line for sewing line out of the clothes composition comprised of partial pattern of human body. The 2-dimensional complanation through a perversion of the silhouette can be exemplified by a flat form in this dimension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by inserting a filler of hard materials into the inside of the clothes. In the case of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dual silhouettes are combined, only the external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s considered to combine clothes and the silhouette of outline expressed in the shape of clothes is expressed in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such an outline is separated into 2 sections. Second, the modern fashion design that expresses separative fantasy by alienation of the ideal and realit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extension and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perversion of human body. First, while extension of the human body can be subdivided into extension of a silhouette through exaggeration, the emphasis of a partial factor of the human body, the extension of a silhouette through exaggeration embodied a gigantic modeling beauty through the extension of form and length or generated exaggerated volume exceeding general line through interposition of form by using repetition. In the case of emphasizing a partial human body factor, the partial factors of human body, such as hair, hands, breast, and so on replaced by fashion design to transcribe or emphasize the image so as to transcribe eyes and facial expression that can express human emotion or image on the clothes or to make them objet. Second,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can be subdivided into confinement of human body using string and that of human body using non-transparent and thick materials.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using string is expressed as splitting or binding the human body by using a belt, a tape used for decoration of fashion, or a rope used in daily life.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using non-transparent and thick materials expresses dull and obtuse image by changing the string volume of the texture of materials. Finally, the perversion of the human body can be categorized into a protrus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human body and atypical form and asymmetry. The protrusion of the internal factor of the human body prints the skeleton of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in the image of actual size or embodies the internal skeleton of the human body through a metallic decoration. In the case of protrusion of the external factor of the human body, the front face or the reverse face of the upper body or a part of the human body like shoulder were disposed by an interposition of pleat & materials or an artificial variation of materials to embody harmony of the human body. Atypical form or asymmetry can be exemplified by combining clothes composed of different silhouettes or materials or interposing the partial factor of clothes atypically or indiscriminately or composing an exaggerated form. Third, modern fashion design that expresses re-creative fantasy by blending the ideal and reality is expressed in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the past costumes,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First,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the past costumes can be exemplified by expressing in historical costumes or embodying an external silhouette, utilizing an Oriental figure or embroidery to print or expressing the image of an Oriental painting or blending image that includes a silhouette of the costumes of Occident and a decorative factor, or color, or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 atmosphere of the age. The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an be subdivided into utilizing an imitation or fram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or a structural frame of costumes in the past. In the case of utilizing imitation and frame of architectural structure, it can be the embodiment of the external structure that supports the gravity of materials by embodying the three-dimensional volume through the interposition of form embodied through non-parallel adhesion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through charateristics of hard and quite durable materials or adding pad or frame into clothes. The utiliz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of costumes in the past is exemplified by changing or externalizing the form of crinoline or corset. Fourth, expressing the reality escaping negative fantasy, modern fashion design can be subdivided into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silhouette of human body &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silhouette of human body. First,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can be to conceal the own silhouette of human body in gigantic form without considering the human body by granting volume through utilization or interposition of fur or filler or to partially lose the function of human body and to change position. Second, oppressive concealment to expose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s to integrate human body from head to foot in one by concealing human body through color, figure, clothes attached to the body through the exposure of silhouette of human body or to express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n an internally recognizable form, although externally concealed through thin see-through materials whose inside can be grasped. Fourth, considering the case of fantasy indicated in modern fashion on the basis of such literary fantas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indeterminacy in the first place. As confusion or ambiguity of meaning, indeterminacy is not an absolute concept. It can be a concept where freedom and selection of ambivalence are emphasized as mutually supplementary embracing relation instead of human identity or psychological inner state or dichotomous alternative on external phenomenon. Like an atypical form or asymmetry, the indeterminacy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connected to or interposed in diverse sizes with totally unrelated part, losing the own function or expressed indeterminate beauty through a plain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between clothes and form of the human body, like a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Further, the extension of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through exaggeration, the protrusion of human body,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an be said to express indeterminate beauty through ambiguity of form by visually amplifying or collap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Second, it is an intertextuality. One entity does not independently have intrinsic meaning, but several relation networks may be formed by a mutual exchange between several and diverse factors or areas, namely,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s. Intertextuality of fantasy as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show mutual text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diverse other areas, such as science, architecture, and so on - like electronic materials, 3D printing materials, illuminating materials, or imit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or the application of a frame. Further,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costumes in the past can be said to express beauty of mutual text by getting out of the dichotomous interpretation, past and present, and integrating them in one. Third, enjoyment. Enjoyment can be said to be fiction that causes fun and laughter and provides human beings with the means to deviate from reality by pursuing something light, rather than something serious. Enjoyment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expressed in overall types of expression of fantasy, which can be said to create novelty from strangeness out of the fixed idea recognized to be the existing aesthetic harmony or norm. It can be said to accept not only the positive enjoyment from the hilarious emotion, but even the enjoyment originating from a bizarre shock and an exception of ugliness. Fourth, deconstruction. deconstruction is one of the artistic expression methods which disintegrates something existing in reality by separating, severing, cutting, and carving it to reconstruct it under a persuasive principle. By reconstructing the own concept and absolute ideal beauty granted to things through such series of course like destruction, change, generation, the new eclectic, and complex results are created and the observer is given the possibility of diverse and new interpretations. The deconstruction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express as complanation that disregards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rough a multiple complanation of silhouette of human body or disintegration of the thinking method on the human body through a deformation and destruction of human body like an extension of perversion of the human body, split, and re-composition of co-existing and logical contradictory clothes of things which belong to other dimension like connection of non-formal objet. Deviating from the standard of beauty depending on symmetry, balance, harmony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concept of clothes, it can be said to create a new beauty on the basis of decentralizing thought like asymmetry, unbalance, complexity, incompleteness. Fifth. Non- territoriality. Non-territoriality can be said to be creating something that has a new value by accepting, integrating, converting on the basis of wider and diverse viewpoints out of a fragmentary center. It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that extends the boundary of the method recognized by the existing experience or defined in the past. Non-territoriality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be the aspect where boundary becomes obscure or is expanded to a new area through convergence of fashion and other areas. This can be said to be expressed through a connection of science, like the convergence of high technology, combination with other areas like architecture or it may be exposed by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of other culture in the cultural aspect, like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costumes in the past. Furthermore,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 & company with patent of scientific technology can be said to be realized as a part of a Non-territoriality. This can be the effect of maximizing cultural charateristics or advantages in each areas by lowering the boundary between each areaes and combining them. The clothes through conversion of the concept of fashion design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cultivating novelty which could not be contacted in the past.
This study considers types of expression and examines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fashion images which are expressed fantasy of the main collections(New York, Milano, Paris, London) in the recent ten years based on defining the criteria of fantasy through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ntasy mean all of fictional things which cannot be visually checked or felt in tactile way, or freely and sensorially generate the target which does not actually exist in the mind through internal experience based on human imagination. also, it have the characteristics which make visible not only what is can recognized by human eyes, but also of what is invisible, Further, it is a concept that is built when escaping out of the extent of reality agreed in actuality and that can be variably changed depending on the reality of the age,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actual condition of a human being’s life. It has plural and relative properties accompanied by the value of internal reality that has the unitary and absolute property on the extended line of reality. Second, the analytic standard of this study that is based on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means the middle point between reality and ideal, a separative fantasy by alienation from the ideal that produces a horrific atmosphere and which is externally strange and reality as the ideal pursued by human being is separated as an abnormal subject due to the limit that ideal faces in reality, the raptured fantasy towards human desire and ideal in which mental enjoyment and positive meaning are reflected as the ideal and desire pursued and longed for by a human being is realized, since the human being living in the real world creates something new and unfamiliar or a deviation of uniformed category. As the symbolic thing that can be recognized as a product of the real world is fused and re-created, the re-creative fantasy by blending of the ideal and reality which arouses a change in a familiar emotion, though unfamiliar, the thing which takes a negative meaning in the reality, a human being has drawn the instinctive desire they try to hide vile things they intend to conceal and hide in real world in four properties of reality, escaping a negative fantasy which is indicated by concealment and exposure of raiments. Third, the expression types of fantasy in modern fashion based on the criteria of fantasy through the theory of literary fantasy is, first, a modern fashion design which expresses a raptured fantasy towards human desire and ideal. It is largely expressed as a fusion with high technology, utilizing a non-formal objet and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First, the convergence of high technology was classified into electronic materials, 3D printing materials, and illuminating materials. Electronic materials and 3D printing materials can be said to the expression of texture of a silhouette or materials which could not be embodied in raiment composition so far by inducing the change in the concept of clothes manipulated by a machine or human being or using 3D printing, out of a tailoring mode in the specific form by combining mechanical device in the fashion. Illuminating materials were expressed to the inducement of imaginary space that actually exists or not through an optical illusion by a light-emitting mechanical device on the internal/external part of clothes or disintegrating the concept of physical space or concentrating illumination on the specific part of clothes on the stage of a fashion show. Second, utilizing a non-formal objet can be subdivided into meaning of daily things or reversion of fashion item position,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of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Utilizing a non-formal objet can arouse fantasy to the public through strangeness or surprise by utilizing necessities of modern life to change the function or by converting the wearing position of small articles of fashion or, concretely, making an objet of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on the appearance of animal. The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can be subdivided into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at utilizes a fake technique,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rough a perversion of the silhouette, a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a dual silhouette is combined. A 2-dimensional complanation that utilizes the fake technique attaches imaginary clothes, decorative factor, or image of physical body on basic clothes by printing or manual work. The fantasy arising from a dual combination is made by separating imaginary line for sewing line out of the clothes composition comprised of partial pattern of human body. The 2-dimensional complanation through a perversion of the silhouette can be exemplified by a flat form in this dimension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by inserting a filler of hard materials into the inside of the clothes. In the case of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dual silhouettes are combined, only the external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s considered to combine clothes and the silhouette of outline expressed in the shape of clothes is expressed in 3-dimensional complanation where such an outline is separated into 2 sections. Second, the modern fashion design that expresses separative fantasy by alienation of the ideal and reality can be largely categorized into extension and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perversion of human body. First, while extension of the human body can be subdivided into extension of a silhouette through exaggeration, the emphasis of a partial factor of the human body, the extension of a silhouette through exaggeration embodied a gigantic modeling beauty through the extension of form and length or generated exaggerated volume exceeding general line through interposition of form by using repetition. In the case of emphasizing a partial human body factor, the partial factors of human body, such as hair, hands, breast, and so on replaced by fashion design to transcribe or emphasize the image so as to transcribe eyes and facial expression that can express human emotion or image on the clothes or to make them objet. Second,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can be subdivided into confinement of human body using string and that of human body using non-transparent and thick materials.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using string is expressed as splitting or binding the human body by using a belt, a tape used for decoration of fashion, or a rope used in daily life. The confinement of the human body using non-transparent and thick materials expresses dull and obtuse image by changing the string volume of the texture of materials. Finally, the perversion of the human body can be categorized into a protrus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human body and atypical form and asymmetry. The protrusion of the internal factor of the human body prints the skeleton of the inside of the human body in the image of actual size or embodies the internal skeleton of the human body through a metallic decoration. In the case of protrusion of the external factor of the human body, the front face or the reverse face of the upper body or a part of the human body like shoulder were disposed by an interposition of pleat & materials or an artificial variation of materials to embody harmony of the human body. Atypical form or asymmetry can be exemplified by combining clothes composed of different silhouettes or materials or interposing the partial factor of clothes atypically or indiscriminately or composing an exaggerated form. Third, modern fashion design that expresses re-creative fantasy by blending the ideal and reality is expressed in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the past costumes,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First,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the past costumes can be exemplified by expressing in historical costumes or embodying an external silhouette, utilizing an Oriental figure or embroidery to print or expressing the image of an Oriental painting or blending image that includes a silhouette of the costumes of Occident and a decorative factor, or color, or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 atmosphere of the age. The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an be subdivided into utilizing an imitation or frame of an architectural structure or a structural frame of costumes in the past. In the case of utilizing imitation and frame of architectural structure, it can be the embodiment of the external structure that supports the gravity of materials by embodying the three-dimensional volume through the interposition of form embodied through non-parallel adhesion of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through charateristics of hard and quite durable materials or adding pad or frame into clothes. The utiliz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of costumes in the past is exemplified by changing or externalizing the form of crinoline or corset. Fourth, expressing the reality escaping negative fantasy, modern fashion design can be subdivided into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silhouette of human body &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silhouette of human body. First, oppressive concealment to conceal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can be to conceal the own silhouette of human body in gigantic form without considering the human body by granting volume through utilization or interposition of fur or filler or to partially lose the function of human body and to change position. Second, oppressive concealment to expose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s to integrate human body from head to foot in one by concealing human body through color, figure, clothes attached to the body through the exposure of silhouette of human body or to express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in an internally recognizable form, although externally concealed through thin see-through materials whose inside can be grasped. Fourth, considering the case of fantasy indicated in modern fashion on the basis of such literary fantas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indeterminacy in the first place. As confusion or ambiguity of meaning, indeterminacy is not an absolute concept. It can be a concept where freedom and selection of ambivalence are emphasized as mutually supplementary embracing relation instead of human identity or psychological inner state or dichotomous alternative on external phenomenon. Like an atypical form or asymmetry, the indeterminacy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connected to or interposed in diverse sizes with totally unrelated part, losing the own function or expressed indeterminate beauty through a plain composition deviating from the fixed idea between clothes and form of the human body, like a multi-dimensional complanation. Further, the extension of a silhouette of the human body through exaggeration, the protrusion of human body, conversion, and imitation of the structural frame can be said to express indeterminate beauty through ambiguity of form by visually amplifying or collap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Second, it is an intertextuality. One entity does not independently have intrinsic meaning, but several relation networks may be formed by a mutual exchange between several and diverse factors or areas, namely,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s. Intertextuality of fantasy as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show mutual text through the convergence with diverse other areas, such as science, architecture, and so on - like electronic materials, 3D printing materials, illuminating materials, or imita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or the application of a frame. Further,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costumes in the past can be said to express beauty of mutual text by getting out of the dichotomous interpretation, past and present, and integrating them in one. Third, enjoyment. Enjoyment can be said to be fiction that causes fun and laughter and provides human beings with the means to deviate from reality by pursuing something light, rather than something serious. Enjoyment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is expressed in overall types of expression of fantasy, which can be said to create novelty from strangeness out of the fixed idea recognized to be the existing aesthetic harmony or norm. It can be said to accept not only the positive enjoyment from the hilarious emotion, but even the enjoyment originating from a bizarre shock and an exception of ugliness. Fourth, deconstruction. deconstruction is one of the artistic expression methods which disintegrates something existing in reality by separating, severing, cutting, and carving it to reconstruct it under a persuasive principle. By reconstructing the own concept and absolute ideal beauty granted to things through such series of course like destruction, change, generation, the new eclectic, and complex results are created and the observer is given the possibility of diverse and new interpretations. The deconstruction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express as complanation that disregards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rough a multiple complanation of silhouette of human body or disintegration of the thinking method on the human body through a deformation and destruction of human body like an extension of perversion of the human body, split, and re-composition of co-existing and logical contradictory clothes of things which belong to other dimension like connection of non-formal objet. Deviating from the standard of beauty depending on symmetry, balance, harmony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concept of clothes, it can be said to create a new beauty on the basis of decentralizing thought like asymmetry, unbalance, complexity, incompleteness. Fifth. Non- territoriality. Non-territoriality can be said to be creating something that has a new value by accepting, integrating, converting on the basis of wider and diverse viewpoints out of a fragmentary center. It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that extends the boundary of the method recognized by the existing experience or defined in the past. Non-territoriality of fantasy shown in modern fashion can be said to be the aspect where boundary becomes obscure or is expanded to a new area through convergence of fashion and other areas. This can be said to be expressed through a connection of science, like the convergence of high technology, combination with other areas like architecture or it may be exposed by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of other culture in the cultural aspect, like utilizing partial features of costumes in the past. Furthermore, th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er & company with patent of scientific technology can be said to be realized as a part of a Non-territoriality. This can be the effect of maximizing cultural charateristics or advantages in each areas by lowering the boundary between each areaes and combining them. The clothes through conversion of the concept of fashion design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cultivating novelty which could not be contacted in the pa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