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Reality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원문보기
(요 약)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였고,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받는 실험군 16명,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어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울검사 척도(...
(요 약)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였고,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받는 실험군 16명,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어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울검사 척도(BDI), 재활동기 척도,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우울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5). 둘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재활동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셋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작업 참여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단, 하위 영역인 운동 기술은 치료 중재 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넷째, 우울과 재활동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 .05). 그러나 우울과 작업 참여, 재활동기와 작업 참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할 경우 뇌졸중 환자의 우울 감소와 재활동기, 작업 참여의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은 피로와 무능력함을 증가시키고, 동기를 저하시키며 기능적 능력을 감소시켜 직업 및 사회로의 복귀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중재 방법은 임상에서 적용하는데 접근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게임으로 재활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도록 뇌졸중 환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요 약)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4월까지였고,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받는 실험군 16명, 기존의 작업치료 중재 및 추가적으로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어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우울, 재활동기, 작업 참여를 비교하기 위하여 우울검사 척도(BDI), 재활동기 척도,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우울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05). 둘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재활동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셋째,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 집단이 작업치료 중재 집단에 비해 작업 참여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단, 하위 영역인 운동 기술은 치료 중재 후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5). 넷째, 우울과 재활동기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 .05). 그러나 우울과 작업 참여, 재활동기와 작업 참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 훈련을 적용할 경우 뇌졸중 환자의 우울 감소와 재활동기, 작업 참여의 향상에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울은 피로와 무능력함을 증가시키고, 동기를 저하시키며 기능적 능력을 감소시켜 직업 및 사회로의 복귀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중재 방법은 임상에서 적용하는데 접근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흥미와 동기를 유발하는 게임으로 재활에 적극 참여 할 수 있도록 뇌졸중 환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VR)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December 2014 to April 2015,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VR)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December 2014 to April 2015,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Six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VR program training intervention, six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additionally occupational therapy for total five weeks. BDI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cale and MOHO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 depress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Secon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Thir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occupational particip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Fourth,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ion(p> .05). However, depressi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 .05). If you apply with the VR programs and occupational therapy with these results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showed that the more effective.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fatigue and inability and decreased motivation and reduced functional ability, making it difficult return to the occupation and society. Intervention method of VR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asily accessible to clinical application and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game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will be able to give greater assistance to stroke patient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reality(VR) program on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for stroke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December 2014 to April 2015,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select the research targets. Sixteen patients with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VR program training intervention, sixteen patients with control group receive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additionally occupational therapy for total five weeks. BDI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cale and MOHO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pression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rapy interven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 depress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Secon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Third, VR program training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 occupational particip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group(p .05). Fourth,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ion(p> .05). However, depression, occupational particip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 .05). If you apply with the VR programs and occupational therapy with these results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in stroke patients with showed that the more effective. The depression increases the fatigue and inability and decreased motivation and reduced functional ability, making it difficult return to the occupation and society. Intervention method of VR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asily accessible to clinical application and installation is simple and the game to induce interest and motivat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ehabilitation will be able to give greater assistance to stroke pati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