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 체험활동이 집단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예측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관찰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분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측정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토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군산시 나운동 소재 B어린이집과 익산시 신동 A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반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여 총 12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숲 체험 활동을 주 2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선택활동을 제공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숲 체험 활동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
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 체험활동이 집단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예측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관찰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분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측정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토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군산시 나운동 소재 B어린이집과 익산시 신동 A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반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여 총 12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숲 체험 활동을 주 2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선택활동을 제공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숲 체험 활동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숲 체험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의 숲 체험 활동이 만 3세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 체험활동이 집단에 따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1-1)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예측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2)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관찰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3)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분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4)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측정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1-5)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토의하기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군산시 나운동 소재 B어린이집과 익산시 신동 A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반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여 총 12주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처치 기간 동안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숲 체험 활동을 주 2회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실외자유선택활동을 제공하는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숲 체험 활동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들에게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숲 체험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유아의 숲 체험 활동이 만 3세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구성요소별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숲 체험활동이 만 3세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effective the activities of children experiencing the forest ar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Research problems crea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scientific...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effective the activities of children experiencing the forest ar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Research problems crea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1-1)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expectation? 1-2)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observing? 1-3)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classifying? 1-4)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estimating? 1-5)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discussing?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30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15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5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at attended A nursery at Sindong in Ilsan and also B nursery located at Naun-dong in Gunsan-si for 12 week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guid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for 2 weeks,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guided to the free outdoor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order of preliminary examination, preview inspection, treatment, and follow-up examinati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testing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children in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activities for experiencing the forest. Data col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were analyzed through t-test in the use of SPSS program. The results derived from these study procedure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recorded a higher scor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As for details of changes in each composition of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it was turned out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had the scores of expecta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estimation, and discussion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the children's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effective the activities of children experiencing the forest ar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Research problems crea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1-1)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expectation? 1-2)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observing? 1-3)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classifying? 1-4)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estimating? 1-5) Do the activities experiencing the forest influence on the ability of children in discussing?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30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15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15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at attended A nursery at Sindong in Ilsan and also B nursery located at Naun-dong in Gunsan-si for 12 week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guided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for 2 weeks, while those in the control group were guided to the free outdoor activ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n order of preliminary examination, preview inspection, treatment, and follow-up examinati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testing examination was conducted on children in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activities for experiencing the forest. Data col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were analyzed through t-test in the use of SPSS program. The results derived from these study procedure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recorded a higher score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ren's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As for details of changes in each composition of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it was turned out that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had the scores of expecta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estimation, and discussion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represent that the children's activities of experiencing the forest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scientific research ability of children in the age of thre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