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된 1960년대 이후 도시 생태계의 파괴, 기후변화, 도시 열섬현상 등 각종 도시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 있던 많은 자연생태계를 훼손시켰다. 그 중 도시 생태계에 서식하는 조류의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그 중 철새는 계절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를 이동하는 중요한 새로, 개체 수가 감소했을 때 인위적인 회복이 어려워 철새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다. 우리나라의 주요 철새도래지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및 서해안을 대상으로 조류의 서식지 파괴 및 교란에 따라 조류의 수가 점차 감소되었고 많은 조류가 희귀종 또는 절멸위기종으로 파악되고 있다.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중간기착지점인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도시화로 인해 철새도래지가 급격히 훼손되거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도시 내 철새도래지는 조류의 개체 수 증진 및 도시 내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된 1960년대 이후 도시 생태계의 파괴, 기후변화, 도시 열섬현상 등 각종 도시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 있던 많은 자연생태계를 훼손시켰다. 그 중 도시 생태계에 서식하는 조류의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그 중 철새는 계절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를 이동하는 중요한 새로, 개체 수가 감소했을 때 인위적인 회복이 어려워 철새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다. 우리나라의 주요 철새도래지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및 서해안을 대상으로 조류의 서식지 파괴 및 교란에 따라 조류의 수가 점차 감소되었고 많은 조류가 희귀종 또는 절멸위기종으로 파악되고 있다.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중간기착지점인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도시화로 인해 철새도래지가 급격히 훼손되거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도시 내 철새도래지는 조류의 개체 수 증진 및 도시 내 생물종 다양성 증진에 있어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시지역에서도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설정하여 도시 단위에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정은 우리나라에서 도시화의 진행속도가 가장 빠르고 활발한 서울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서울시의 17개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한강 밤섬과 송파구 탄천은 도심속의 철새도래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강 밤섬은 안정적인 생태환경 유지를 위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송파구 탄천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외지 또는 제방에 자전거 및 보행도로 개설, 지하철 및 교량 공사 등에 의한 인위적 간섭에 심하게 노출되어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천 주변부에 있는 도로, 교량 등 각종 도시 인프라의 간섭으로부터 철새도래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탄천에 도래하는 조류에 대한 서식환경(생물상, 수환경, 물리적환경)요인을 고려한 서식모형을 제시하고 조류서식지와 주변환경을 통합한 서식지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설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천 조류 서식환경 회복을 위해 서식환경을 고려한 조류서식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행로를 최소화하고, 조류의 비간섭거리를 고려해 횃대, 인공섬, 징검다리, 식생완충대를 조성하였다. 셋째, 조류관찰대와 환경생태교육 장소를 제공해 송파구 주민을 위한 생태 교육 환경을 조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탄천 주변주에 있는 도로, 교량 등 각종 도시 인프라의 간섭으로부터 철새보호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탄천에 도래하는 조류에 대한 서식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생태환경을 구축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지역 주민을 위한 생태학습과 자연관찰 등 환경생태 교육장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탄천에 조류 서식환경 모형을 제시하고 탄천 조류서식지 복원 방안에 대한 설계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지속적인 생물 서식환경 모니터링과 조류생태복원을 위한 연관분야(조경, 토목, 해양, 수리, 생물학)에 대한 정보와 후속연구가 이어져 통합적인 조류생태복원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된 1960년대 이후 도시 생태계의 파괴, 기후변화, 도시 열섬현상 등 각종 도시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특히 도시지역에 있던 많은 자연생태계를 훼손시켰다. 그 중 도시 생태계에 서식하는 조류의 서식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그 중 철새는 계절에 따라 번식지와 월동지 사이를 이동하는 중요한 새로, 개체 수가 감소했을 때 인위적인 회복이 어려워 철새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다. 우리나라의 주요 철새도래지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및 서해안을 대상으로 조류의 서식지 파괴 및 교란에 따라 조류의 수가 점차 감소되었고 많은 조류가 희귀종 또는 절멸위기종으로 파악되고 있다. 철새들에게 매우 중요한 중간기착지점인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도시화로 인해 철새도래지가 급격히 훼손되거나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도시 내 철새도래지는 조류의 개체 수 증진 및 도시 내 생물종 다양성 증진에 있어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시지역에서도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설정하여 도시 단위에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정은 우리나라에서 도시화의 진행속도가 가장 빠르고 활발한 서울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서울시의 17개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한강 밤섬과 송파구 탄천은 도심속의 철새도래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한강 밤섬은 안정적인 생태환경 유지를 위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송파구 탄천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외지 또는 제방에 자전거 및 보행도로 개설, 지하철 및 교량 공사 등에 의한 인위적 간섭에 심하게 노출되어 개체 수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탄천 주변부에 있는 도로, 교량 등 각종 도시 인프라의 간섭으로부터 철새도래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탄천에 도래하는 조류에 대한 서식환경(생물상, 수환경, 물리적환경)요인을 고려한 서식모형을 제시하고 조류서식지와 주변환경을 통합한 서식지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설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탄천 조류 서식환경 회복을 위해 서식환경을 고려한 조류서식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보행로를 최소화하고, 조류의 비간섭거리를 고려해 횃대, 인공섬, 징검다리, 식생완충대를 조성하였다. 셋째, 조류관찰대와 환경생태교육 장소를 제공해 송파구 주민을 위한 생태 교육 환경을 조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탄천 주변주에 있는 도로, 교량 등 각종 도시 인프라의 간섭으로부터 철새보호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탄천에 도래하는 조류에 대한 서식환경 요인을 고려하여 안정적인 생태환경을 구축하고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지역 주민을 위한 생태학습과 자연관찰 등 환경생태 교육장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탄천에 조류 서식환경 모형을 제시하고 탄천 조류서식지 복원 방안에 대한 설계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지속적인 생물 서식환경 모니터링과 조류생태복원을 위한 연관분야(조경, 토목, 해양, 수리, 생물학)에 대한 정보와 후속연구가 이어져 통합적인 조류생태복원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