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서해는 남북한과 중국에 의해 둘러싸인 반폐쇄해로서 약 6억에 이르는 연안 인구가 의존하고 있는 이용도가 매우 높은 해역이다. 황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자원생물은 남•북한뿐만아니라 중국 사이를 왕래하는 경계왕래자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산자원의 이용은 주인이 없는 자원이라는 인식 하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로 황해의 수산자원 중 대부분의 주요 어종들은 고갈상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hang et al, 1993). 이는 첫째, 인구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로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고, 둘째,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른 각종 어획기술의 획기적 발달이 어획량의 ...
우리나라 서해는 남북한과 중국에 의해 둘러싸인 반폐쇄해로서 약 6억에 이르는 연안 인구가 의존하고 있는 이용도가 매우 높은 해역이다. 황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자원생물은 남•북한뿐만아니라 중국 사이를 왕래하는 경계왕래자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산자원의 이용은 주인이 없는 자원이라는 인식 하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로 황해의 수산자원 중 대부분의 주요 어종들은 고갈상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hang et al, 1993). 이는 첫째, 인구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로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고, 둘째,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른 각종 어획기술의 획기적 발달이 어획량의 남획을 뒷받침했으며, 셋째, 수산자원은 소유권적 특성상 개방자원이나 공유자원의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개인의 의한 자유로운 자원채취는 자원의 남용을 필요적으로 가져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im and Kwon, 2000). 수산자원의 고갈 위기에 직면한 세계 각국에서는, 수산자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여, 수산자원의 보호 및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관련 국제협약 체결도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도 2013년 해양수산부가 다시 설치된 사실에 비추어 알 수 있듯이 수산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우리나라 수산자원의 관리, 보전 그리고 남획방지, 적정 생산 등 많은 부분에서 수산자원에 대한 정확한 자원동태적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어업의 대상이 되는 수산자원의 합리적 관리 및 회복을 위해서는 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원의 현재 자원량 (Biomass, B)이 얼마인지를 알아야 하며, 나아가 대상 종이 최대로 서식 가능한 자원량인 환경수용량 (Carrying capacity, K)과 대상 종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취할 수 있는 최대 어획량인 잠재생산량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해역에 서식하는 어업대상종의 환경수용량과 잠재생산량은 물론, 전체 자원량 수준도 정확하게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자원평가 모델 및 수집자료의 추정치를 사용하여 세가지의 방법으로 서해의 어획대상 환경수용량과 잠재생산량을 추정하고, 세가지 방법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추정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사용가능한 정보 및 자료가 제한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우리나라 해역의 자원관리를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잠재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 서해는 남북한과 중국에 의해 둘러싸인 반폐쇄해로서 약 6억에 이르는 연안 인구가 의존하고 있는 이용도가 매우 높은 해역이다. 황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자원생물은 남•북한뿐만아니라 중국 사이를 왕래하는 경계왕래자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산자원의 이용은 주인이 없는 자원이라는 인식 하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로 황해의 수산자원 중 대부분의 주요 어종들은 고갈상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hang et al, 1993). 이는 첫째, 인구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로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고, 둘째,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른 각종 어획기술의 획기적 발달이 어획량의 남획을 뒷받침했으며, 셋째, 수산자원은 소유권적 특성상 개방자원이나 공유자원의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개인의 의한 자유로운 자원채취는 자원의 남용을 필요적으로 가져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im and Kwon, 2000). 수산자원의 고갈 위기에 직면한 세계 각국에서는, 수산자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전망하여, 수산자원의 보호 및 관리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관련 국제협약 체결도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도 2013년 해양수산부가 다시 설치된 사실에 비추어 알 수 있듯이 수산자원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우리나라 수산자원의 관리, 보전 그리고 남획방지, 적정 생산 등 많은 부분에서 수산자원에 대한 정확한 자원동태적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어업의 대상이 되는 수산자원의 합리적 관리 및 회복을 위해서는 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원의 현재 자원량 (Biomass, B)이 얼마인지를 알아야 하며, 나아가 대상 종이 최대로 서식 가능한 자원량인 환경수용량 (Carrying capacity, K)과 대상 종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취할 수 있는 최대 어획량인 잠재생산량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해역에 서식하는 어업대상종의 환경수용량과 잠재생산량은 물론, 전체 자원량 수준도 정확하게 모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자원평가 모델 및 수집자료의 추정치를 사용하여 세가지의 방법으로 서해의 어획대상 환경수용량과 잠재생산량을 추정하고, 세가지 방법의 비교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추정치를 제시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사용가능한 정보 및 자료가 제한된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우리나라 해역의 자원관리를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잠재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nnual biomass, the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ree methods. First, The aggregate production analysis (A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using surpluse production model to apply stand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nnual biomass, the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ree methods. First, The aggregate production analysis (A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using surpluse production model to apply standardized input data of catch and fishing efforts from 1966 to 2013yrs. Standardization methods for input data is exclution of fishing effort for aquaculture and inland fishery, and application for catching efficiency to gross tonnage. It was compared the estimated parameters by the surplus production from four different models, i.e., Fox model, CYP model, ASPIC model, Maximum entropy model. Second, population production analysis (P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each species, and then aggregate parameters. We selected major 35 species according to available data, and carrying capacity for major 35 species is estimatied by the Maximum entropy model based on surplus production model, and using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estics of previous papers and reports. Potential yield for major 35 species is estimated by using paper and report of stock assessment with each species, data of acceptable biological catch (ABC), and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pers and report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of other species excluded major 35 species are estimated by extrapolation method. Third, fishery production analysis (F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each fishery, and then aggregate parameters. We selected major 6 fisheries according to available data and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major 6 fishereis are estimatied by the Maximum entropy model based on surplus production model, and using data for stock assessment of target speci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of other fisheries excluded mojor 6 fisheries are estimated by extrapolation method.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are calculated as 1,045,769 mt and 218,304 mt by APA respectively, which reflects well population dynamic mechanism because used relatively few assumptions and parameters and, data form early stage of resourse development to curren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develop an efficient precautionary approach to fishery resource management under the data-deficient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nnual biomass, the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ree methods. First, The aggregate production analysis (A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using surpluse production model to apply standardized input data of catch and fishing efforts from 1966 to 2013yrs. Standardization methods for input data is exclution of fishing effort for aquaculture and inland fishery, and application for catching efficiency to gross tonnage. It was compared the estimated parameters by the surplus production from four different models, i.e., Fox model, CYP model, ASPIC model, Maximum entropy model. Second, population production analysis (P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each species, and then aggregate parameters. We selected major 35 species according to available data, and carrying capacity for major 35 species is estimatied by the Maximum entropy model based on surplus production model, and using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estics of previous papers and reports. Potential yield for major 35 species is estimated by using paper and report of stock assessment with each species, data of acceptable biological catch (ABC), and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pers and report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of other species excluded major 35 species are estimated by extrapolation method. Third, fishery production analysis (FPA) estimat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each fishery, and then aggregate parameters. We selected major 6 fisheries according to available data and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major 6 fishereis are estimatied by the Maximum entropy model based on surplus production model, and using data for stock assessment of target species.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of other fisheries excluded mojor 6 fisheries are estimated by extrapolation method.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are calculated as 1,045,769 mt and 218,304 mt by APA respectively, which reflects well population dynamic mechanism because used relatively few assumptions and parameters and, data form early stage of resourse development to current.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develop an efficient precautionary approach to fishery resource management under the data-deficient situ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