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의 초고속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도시화 현상으로 재난의 피해 및 규모는 보다 광범위해졌으며, 복잡한 양상으로 대형 재난사고가 발생할 위험요인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국가·사회기능의 마비는 물론, 인간의 생존권 자체를 위협하는 피해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최근 재난 통계를 확인해보면 2014년 한 해 동안 대설 및 집중호우 등 총 23회의 자연재해로 인해 2명의 인명피해와 7,691명의 이재민, 1,8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재난 발생 시 각종 재난현장에서 다수의 기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개별적인 현장지휘본부를 수립, 개별적인 통신채널 보유 등 독립적으로 활동함으로써 많은 혼선이 발생하고, 현장지휘 및 통합조정 등에 관한 부분으로 부처 간 현장지휘에 관한 이견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효과적인 재난현장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는 재난의 인위재난, 자연재난, 사회적 재난을 모두 포함하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원인의 범주 안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대응시스템과 재난현장대응의 핵심인 재난현장 지휘체계를 현 실정에 맞게 중점적으로 분석 및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대응 및 현장지휘체계에 관한 이론 조사를 위해 국내·외 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활용하였고, 미국의 현장지휘체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의 현장지휘체계와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국내·외 관련 법령, 학술자료,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미 ...
현대 사회의 초고속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도시화 현상으로 재난의 피해 및 규모는 보다 광범위해졌으며, 복잡한 양상으로 대형 재난사고가 발생할 위험요인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국가·사회기능의 마비는 물론, 인간의 생존권 자체를 위협하는 피해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최근 재난 통계를 확인해보면 2014년 한 해 동안 대설 및 집중호우 등 총 23회의 자연재해로 인해 2명의 인명피해와 7,691명의 이재민, 1,8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재난 발생 시 각종 재난현장에서 다수의 기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개별적인 현장지휘본부를 수립, 개별적인 통신채널 보유 등 독립적으로 활동함으로써 많은 혼선이 발생하고, 현장지휘 및 통합조정 등에 관한 부분으로 부처 간 현장지휘에 관한 이견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효과적인 재난현장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는 재난의 인위재난, 자연재난, 사회적 재난을 모두 포함하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원인의 범주 안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대응시스템과 재난현장대응의 핵심인 재난현장 지휘체계를 현 실정에 맞게 중점적으로 분석 및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대응 및 현장지휘체계에 관한 이론 조사를 위해 국내·외 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활용하였고, 미국의 현장지휘체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의 현장지휘체계와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국내·외 관련 법령, 학술자료,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미 불산 누출 사고와 세월호 침몰 사고의 사례연구를 통한 재난현장의 대응 지휘·협력체계 확립, 각 구성요소 간 관계 문제 등 현장지휘체계에 있어서 문제점 및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대 사회의 초고속 산업화와 과학기술의 발전, 그리고 도시화 현상으로 재난의 피해 및 규모는 보다 광범위해졌으며, 복잡한 양상으로 대형 재난사고가 발생할 위험요인들이 증가하였고, 이에 국가·사회기능의 마비는 물론, 인간의 생존권 자체를 위협하는 피해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최근 재난 통계를 확인해보면 2014년 한 해 동안 대설 및 집중호우 등 총 23회의 자연재해로 인해 2명의 인명피해와 7,691명의 이재민, 1,8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처럼 재난 발생 시 각종 재난현장에서 다수의 기관이 현장에 출동하여 개별적인 현장지휘본부를 수립, 개별적인 통신채널 보유 등 독립적으로 활동함으로써 많은 혼선이 발생하고, 현장지휘 및 통합조정 등에 관한 부분으로 부처 간 현장지휘에 관한 이견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효과적인 재난현장대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는 재난의 인위재난, 자연재난, 사회적 재난을 모두 포함하며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모든 원인의 범주 안에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재난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대응시스템과 재난현장대응의 핵심인 재난현장 지휘체계를 현 실정에 맞게 중점적으로 분석 및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대응 및 현장지휘체계에 관한 이론 조사를 위해 국내·외 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활용하였고, 미국의 현장지휘체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국내의 현장지휘체계와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국내·외 관련 법령, 학술자료, 연구보고서 등의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구미 불산 누출 사고와 세월호 침몰 사고의 사례연구를 통한 재난현장의 대응 지휘·협력체계 확립, 각 구성요소 간 관계 문제 등 현장지휘체계에 있어서 문제점 및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Scale and damage of disaster has been wider and risk factors of serious accident disasters has increased because of ultrahigh speed indust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technological advance and urbanization phenomenon, resulting in damage that has occurr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has thre...
Scale and damage of disaster has been wider and risk factors of serious accident disasters has increased because of ultrahigh speed indust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technological advance and urbanization phenomenon, resulting in damage that has occurr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has threatened the survival of human rights, as well as paralyzed in role of society and government. According to recent disaster statistics in Korea, two casualties, 7,691 victim and 180 billion property damage occurred by a total of 23 times disasters such as heavy snow and rain, during the past year 2014. Thus, effective disaster site maneuvers have not been solved since the confusion prevails that a number of agencies wheel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work separately such as making field command centers, having communication channels and so on in various disaster sites when calamities occur, and that different views about field command and integrated coordination among the agencies occu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and researches to bring up to date focusing on a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which is the core of disaster countermeasure systems and disaster response systems in order to cope with effectively and understand cardinal concept in the category of all causes that are able to lead to calamities including all disasters; artificial,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research reports are referred to investigate theoretical survey about disaster countermeasures and disaster site command systems. Literature investigation is conducted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aws, academical materials and research papers to deduce probl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USA and Korea of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This study also proposes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and problems of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such as establishing maneuver, command and cooperative system in disaster sites and relationship problems between each component part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inking of Sewol ferry and hydrofluoric gas leakage in Gumi.
Scale and damage of disaster has been wider and risk factors of serious accident disasters has increased because of ultrahigh speed indust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technological advance and urbanization phenomenon, resulting in damage that has occurr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and has threatened the survival of human rights, as well as paralyzed in role of society and government. According to recent disaster statistics in Korea, two casualties, 7,691 victim and 180 billion property damage occurred by a total of 23 times disasters such as heavy snow and rain, during the past year 2014. Thus, effective disaster site maneuvers have not been solved since the confusion prevails that a number of agencies wheel to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work separately such as making field command centers, having communication channels and so on in various disaster sites when calamities occur, and that different views about field command and integrated coordination among the agencies occur.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and researches to bring up to date focusing on a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which is the core of disaster countermeasure systems and disaster response systems in order to cope with effectively and understand cardinal concept in the category of all causes that are able to lead to calamities including all disasters; artificial,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In this study,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research reports are referred to investigate theoretical survey about disaster countermeasures and disaster site command systems. Literature investigation is conducted such as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laws, academical materials and research papers to deduce problems by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USA and Korea of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This study also proposes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and problems of disaster site command system such as establishing maneuver, command and cooperative system in disaster sites and relationship problems between each component part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inking of Sewol ferry and hydrofluoric gas leakage in Gumi.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