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교육을 위하여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인공 고관절 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앱을 활용한 환자 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 (...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교육을 위하여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인공 고관절 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앱을 활용한 환자 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 (SDLC :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에 따라 시스템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앱 개발 및 현장적용 가능성, 문헌고찰을 통해 앱 개발에 필요한 환경 분석, 앱 개발의 목적을 설정하고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PPT 교육 컨텐츠, 앱 인터페이스 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폰 앱을 개발 및 구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시까지 기존 교육방식인 안내책자와 동영상 교육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 후 첫 외래 방문시까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환자의 고관절 기능, 교육 만족도, 자가 간호 지식, 자가 간호 이행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은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간호를 목표로 설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교육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2.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2.52, p=.012).
2) 제 2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4.10, p=<.001).
3) 제 3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고관절 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의 고관절 기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4.39, p=.043).
4) 제 4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두 군의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7.52, p=.009).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은 환자의 교육 만족도,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고관절 기능,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컨텐츠로서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 개발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추후 인공 고관절 수술 외에도 다양한 수술 간호 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어 : 인공 고관절 치환술, 스마트폰 앱, 교육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교육을 위하여 스마트폰 앱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한 방법론적인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의 인공 고관절 수술을 위하여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교육 프로그램과의 효과를 비교 검증함으로써 앱을 활용한 환자 교육에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은 시스템 개발 생명 주기 (SDLC :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에 따라 시스템 계획,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5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앱 개발 및 현장적용 가능성, 문헌고찰을 통해 앱 개발에 필요한 환경 분석, 앱 개발의 목적을 설정하고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PPT 교육 컨텐츠, 앱 인터페이스 설계를 통하여 스마트 폰 앱을 개발 및 구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조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시까지 기존 교육방식인 안내책자와 동영상 교육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실험군에게는 입원시부터 퇴원 후 첫 외래 방문시까지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환자의 고관절 기능, 교육 만족도, 자가 간호 지식, 자가 간호 이행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은 문헌고찰과 요구도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간호를 목표로 설정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교육 내용을 구성하여 개발하였다.
2.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의 적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교육 만족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2.52, p=.012).
2) 제 2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가 간호 이행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Z=-4.10, p=<.001).
3) 제 3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고관절 기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군의 고관절 기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4.39, p=.043).
4) 제 4 가설 : “스마트폰 앱을 통하여 인공 고관절 수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높을 것이다.” 는 두 군의 자가 간호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어 지지되었다(F=7.52, p=.009).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앱은 환자의 교육 만족도,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이행, 고관절 기능, 인공 고관절 자가 간호 지식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 컨텐츠로서의 그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 고관절 치환술 환자 교육을 위한 스마트 폰 앱 개발 연구로서 그 의미가 있으며, 추후 인공 고관절 수술 외에도 다양한 수술 간호 중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