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70년대 청년문화와 90년대 신세대문화 비교 연구 : 문화주도층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원문보기


김미라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대중음악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 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년의 터울로 세대문화로서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1970년대 청년문화와 1990년대 신세대문화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문화를 같은 맥락에서 이해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소비력을 갖춘 세대들에 의해 주도된 두 문화는 그 결말에 차이점을 보인다. 사회적·정치적 억압이 ‘대마초 파동’으로 표면화되며 그 끝을 맞이한 청년문화는 짧지만 강한 생명력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뮤지션들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 1990년대 신세대문화는 90년대 중반에 나타난 아이돌 시스템이 고착화 되어 아이돌 발굴과 제작 시스템이 현재까지 대중음악계에 유지되고 있다. 1960년대 시작한 군사정권의 경제개발계획으로 공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1970년대는 베이비 붐 세대들의 대학 진학률이 증가했고 경제적 안정이 이루어졌으며 대학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문화가 형성되었다. 서울의 중심가에는 음악 감상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났고 70년대 청년들은 그 곳을 중심으로 모던포크 음악을 향유하며 기성세대와는 다른 감수성을 형성해 나갔으며 한국 대중음악사에 최초의 세대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1990년대 초 탈이념시대의 막이 열리고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상품 구매력이 막강한 세대는 문화적 혜택을 온 몸으로 받으며 신세대론을 촉발 시킨다. 이후 신세대문화는 소비문화와 결합하며 문화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게 된다. 두 문화는 기성세대의 문화에 반하는 하위문화로서 주류 시장의 진입에 성공했으며 새로운 감성과 감각을 지닌 세대는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그 다양한 스타일의 중심에는 70년대의 모던포크와 90년대 힙합문화가 있었는데 모던포크 문화는 청바지와 장발 등 외형적인 모습까지 수용하였고 90년대의 힙합문화는 교복문화에 얽매어 있던 10대들을 중심 스트리트 문화와 함께 급속히 퍼져갔다. 또한 싱어-송라이터의 등장으로 대중들에게 사회적 메시지를 던지며 정체성을 표현하기도 했고 때로는 그들과 동일시 하며 감수성을 형성하기도 했다. 그들은 70년대 음악감상실과 실얼롱문화라는 공동의 공간과 아이돌문화의 부흥으로 조직화된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two generation cultures, a gap of 20 years, including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and the new generation culture in 1990s and makes clear that the two generation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coherence. However, the two cultures driven by the generatio...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미라
학위수여기관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대중음악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 전공
지도교수 박기영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v, 78장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023758&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