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동일 저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가창영역 활동을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중학교 가창 수업과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교과서 편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과 음악과 총괄 목표를 비교하였고, 음악 수업 활동을 이끌어주는 중요한 매개물인 음악과 교재의 중요성과 가창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 중 동일한 저자의 음악교과서를 선...
본 연구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동일 저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가창영역 활동을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중학교 가창 수업과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교과서 편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과 음악과 총괄 목표를 비교하였고, 음악 수업 활동을 이끌어주는 중요한 매개물인 음악과 교재의 중요성과 가창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 중 동일한 저자의 음악교과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영역별 비중을 목차 중심으로 비교하였고, 동일 저자의 음악교과서의 가창곡들을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창곡들의 연주형태를 분석하고, 가창곡들 중 동일하게 수록된 제재곡들의 장르, 연주형태, 학습목표, 악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양종모, 김미숙 음악교과서는 2009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기악, 감상영역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르별 분석 결과, 2007·2009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민요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가창악곡 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장르에서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 모두 가창악곡 수가 감소하였다.
셋째, 가창곡의 연주형태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 음악교과서 모두 연주형태의 종류가 감소하였다.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연주형태는 제창이고,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주 형태는 부분2부 합창과 2부 합창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을 장르별로 분석한 결과,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 모두 우리나라 민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의 연주형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음악교과서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김미숙 음악교과서 2곡, 장기범 음악교과서 1곡의 연주형태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여섯째,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하게 수록된 제재곡들의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음악교과서는 2007 음악교과서에 비해 2009 음악교과서에서 학습목표가 자세 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미숙 음악교과서는 다른 두 저자의 음악교과서와는 달리 많은 곡에서 학습목표가 두 개씩 제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고, 김미숙 음악교과서의 민요는 신체표현을 유도하는 학습목표들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2007 음악교과서에서는 ‘-한다.’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면 2009 음악교과서에서는 ‘-할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장기범 음악교과서에서는 ‘노래 부를 수 있다.’ 라고 제시된 학습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다른 두 저자의 음악교과서보다 가창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노래 부를 수 있다.’ 라고 제시된 학습목표와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2007·2009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의 악보를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제재곡이 같은 악보로 수록된 경우가 있었다. 반면, 동일한 제재곡이지만 연주형태나 피아노 반주의 유무, 조성의 변화, 장구 악보의 유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되어 수록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동일 저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하여 가창영역 활동을 비교한다. 이를 통하여 중학교 가창 수업과 관련된 교과서의 내용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교과서 편찬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방향과 음악과 총괄 목표를 비교하였고, 음악 수업 활동을 이끌어주는 중요한 매개물인 음악과 교재의 중요성과 가창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 중 동일한 저자의 음악교과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영역별 비중을 목차 중심으로 비교하였고, 동일 저자의 음악교과서의 가창곡들을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가창곡들의 연주형태를 분석하고, 가창곡들 중 동일하게 수록된 제재곡들의 장르, 연주형태, 학습목표, 악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를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양종모, 김미숙 음악교과서는 2009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기악, 감상영역의 비중이 증가하였지만,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둘째, 장르별 분석 결과, 2007·2009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민요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가창악곡 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장르에서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 모두 가창악곡 수가 감소하였다.
셋째, 가창곡의 연주형태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 음악교과서 모두 연주형태의 종류가 감소하였다.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연주형태는 제창이고, 그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연주 형태는 부분2부 합창과 2부 합창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을 장르별로 분석한 결과, 세 저자의 음악교과서 모두 우리나라 민요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의 연주형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음악교과서에서는 변화가 없었고, 김미숙 음악교과서 2곡, 장기범 음악교과서 1곡의 연주형태 변화를 알 수 있었다.
여섯째, 2007·2009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동일하게 수록된 제재곡들의 학습목표를 분석한 결과, 양종모 음악교과서는 2007 음악교과서에 비해 2009 음악교과서에서 학습목표가 자세 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미숙 음악교과서는 다른 두 저자의 음악교과서와는 달리 많은 곡에서 학습목표가 두 개씩 제시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었고, 김미숙 음악교과서의 민요는 신체표현을 유도하는 학습목표들이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2007 음악교과서에서는 ‘-한다.’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면 2009 음악교과서에서는 ‘-할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장기범 음악교과서에서는 ‘노래 부를 수 있다.’ 라고 제시된 학습목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장기범 음악교과서는 다른 두 저자의 음악교과서보다 가창영역의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노래 부를 수 있다.’ 라고 제시된 학습목표와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일곱째, 양종모, 김미숙, 장기범의 2007·2009 음악교과서 동일 제재곡의 악보를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제재곡이 같은 악보로 수록된 경우가 있었다. 반면, 동일한 제재곡이지만 연주형태나 피아노 반주의 유무, 조성의 변화, 장구 악보의 유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되어 수록되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