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4 mm이하의 잔존골 높이를 보이는 상악 구치부에서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 Crestal Approach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in Maxillary Posterior Area with Less than 4 mm of Residual Bone Height원문보기
서론 : 상악 구치부에서 상악동 함기화로 인한 잔존골 높이의 감소는 임상가들에게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어려운 상황을 직면하게 한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용골의 확보를 위해, 임상적으로 치조정 접근법(Crestal approach)과 측방 접근법(Lateral approcah), 두 가지 방법의 상악동 거상술이 사용된다. 여러 연구에서 상악동 저에서 치조정...
서론 : 상악 구치부에서 상악동 함기화로 인한 잔존골 높이의 감소는 임상가들에게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어려운 상황을 직면하게 한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용골의 확보를 위해, 임상적으로 치조정 접근법(Crestal approach)과 측방 접근법(Lateral approcah), 두 가지 방법의 상악동 거상술이 사용된다. 여러 연구에서 상악동 저에서 치조정까지 잔존골 높이가 4-5 mm 이하인 경우, 측방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측방 접근법의 경우 치조정 접근법보다 기술적으로 어려워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술 후 불편감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치조정 접근법을 위한 여러 기구가 개발되었고, 이 기구들은 기존의 osteotome을 이용한 치조정 접근법보다 더 쉽고, 안전하며, 술 후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4 mm 이하의 잔존골 높이를 가진 상악 구치부에서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증례에 대해 평가하여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에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 및 임플란트를 식립한 10명의 환자에서 10개의 임플란트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잔존골 높이는 CT coronal view에서 stent의 근심, 중앙, 원심 부의 평균을 내어 측정하였다. Implant stability quotient(ISQ)는 임플란트 식립 시와 보철물 부하 전 각각 측정되었다. 치근단방사선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흡수 값을 측정하였고, panorama 방사선 사진을 통해 이식된 골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관찰 기간은 4개월에서 34개월로 평균 12.0 ± 9.4 개월 이였고, 관찰 기간동안 임상적으로 환자가 호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ISQ는 임플란트 식립 시 평균 63.4 ± 12.1, 보철물 부하 전 77.6 ± 5.8 이였다.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흡수는 평균 0.23 ± 0.18 mm였고, 파노라마 상에서 상악동 내에 이식된 골이 임플란트 fixture의 근단부까지 유지되는 양상 관찰되었다.
결론 : 상악동저의 피질골을 파절시키지 않고, drill을 통해 상악동 저의 피질골을 안전하게 삭제하여 상악동 막을 노출시켜줄 수 있는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은 4 mm 이하의 잔존골 높이에서도 환자, 술자 모두에게 장점을 줄 수 있는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 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서론 : 상악 구치부에서 상악동 함기화로 인한 잔존골 높이의 감소는 임상가들에게 임플란트 식립에 있어 어려운 상황을 직면하게 한다.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가용골의 확보를 위해, 임상적으로 치조정 접근법(Crestal approach)과 측방 접근법(Lateral approcah), 두 가지 방법의 상악동 거상술이 사용된다. 여러 연구에서 상악동 저에서 치조정까지 잔존골 높이가 4-5 mm 이하인 경우, 측방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측방 접근법의 경우 치조정 접근법보다 기술적으로 어려워 수술 시간이 길어지고, 술 후 불편감 또한 더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최근 치조정 접근법을 위한 여러 기구가 개발되었고, 이 기구들은 기존의 osteotome을 이용한 치조정 접근법보다 더 쉽고, 안전하며, 술 후 부작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4 mm 이하의 잔존골 높이를 가진 상악 구치부에서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증례에 대해 평가하여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 본 연구에는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 접근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 및 임플란트를 식립한 10명의 환자에서 10개의 임플란트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잔존골 높이는 CT coronal view에서 stent의 근심, 중앙, 원심 부의 평균을 내어 측정하였다. Implant stability quotient(ISQ)는 임플란트 식립 시와 보철물 부하 전 각각 측정되었다. 치근단방사선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흡수 값을 측정하였고, panorama 방사선 사진을 통해 이식된 골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관찰 기간은 4개월에서 34개월로 평균 12.0 ± 9.4 개월 이였고, 관찰 기간동안 임상적으로 환자가 호소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ISQ는 임플란트 식립 시 평균 63.4 ± 12.1, 보철물 부하 전 77.6 ± 5.8 이였다. 임플란트 주변 변연골 흡수는 평균 0.23 ± 0.18 mm였고, 파노라마 상에서 상악동 내에 이식된 골이 임플란트 fixture의 근단부까지 유지되는 양상 관찰되었다.
결론 : 상악동저의 피질골을 파절시키지 않고, drill을 통해 상악동 저의 피질골을 안전하게 삭제하여 상악동 막을 노출시켜줄 수 있는 crestal kit를 이용하여 치조정을 통한 상악동 거상술은 4 mm 이하의 잔존골 높이에서도 환자, 술자 모두에게 장점을 줄 수 있는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 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crease of residual bone height which results from the atrophy of the edentulous ridge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often limits the volume of bone available for implant placement. Two surgical techniques of sinus augmentation, crest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are used to inc...
The decrease of residual bone height which results from the atrophy of the edentulous ridge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often limits the volume of bone available for implant placement. Two surgical techniques of sinus augmentation, crest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are used to increase the dimension of available bone for implant placement.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with less than 4 mm of alveolar bone is present from the floor of the sinus to the alveolar crest, lateral approach is recommended with implant placement. However, lateral approach has been considered more technique sensitive and had mo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to crestal approach. Recently instruments for crestal approach have been developed and it is considered that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al kit is more easy and safe, has l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to crestal approach with osteotome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al kit with less than 4mm of residual bone height in maxillary posterior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 A 10 implants of 10 patients with less than 4 mm of residual bone height in maxillary posterior region are placed with sinus augmentation using CAS kit(Osstem Implant Co., Busan, Korea) and DASK(Dentium Advanced Sinus Kit, Dentium, Korea) i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Wonkwang dental hospital. Residual bone height was measured from the coronal plane of cone-beam CT. Implant stability quotient(ISQ) was measured right after implant placement, and before prosthesis loading respectively. The amount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 was measured on Periapical radiograph, and augmented bone was assessed on panorama view.
Results : Favorable result was obtain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in all patients. follow up period was 4 to 34 months(mean 12.0 ± 9.4 months),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discomfort on function, mobility of implant, inflammation of periodontal tissue around implant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 mean value of implant stability quotients(ISQ) of implants was 63.4 ± 12.1 right after implant placement, 77.6 ± 5.8 before prosthesis loading. The mean amount of around the implants was 0.23 ± 0.18 mm, and augmented bone in maxillary sinus was being maintained around apical of implant fixture on panorama view.
Conclusion : By using the crestal kit, which does not fracture the cortical bone of sinus floor but safely remove it with a drill and expose the sinus membrane,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with crestal approach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the patient with less than 4mm of residual bone height.
The decrease of residual bone height which results from the atrophy of the edentulous ridge and pneumatization of the maxillary sinus often limits the volume of bone available for implant placement. Two surgical techniques of sinus augmentation, crest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are used to increase the dimension of available bone for implant placement.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with less than 4 mm of alveolar bone is present from the floor of the sinus to the alveolar crest, lateral approach is recommended with implant placement. However, lateral approach has been considered more technique sensitive and had mo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to crestal approach. Recently instruments for crestal approach have been developed and it is considered that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al kit is more easy and safe, has les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compared to crestal approach with osteotome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sinus augmentation using crestal kit with less than 4mm of residual bone height in maxillary posterior region.
Materials and methods : A 10 implants of 10 patients with less than 4 mm of residual bone height in maxillary posterior region are placed with sinus augmentation using CAS kit(Osstem Implant Co., Busan, Korea) and DASK(Dentium Advanced Sinus Kit, Dentium, Korea) i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Wonkwang dental hospital. Residual bone height was measured from the coronal plane of cone-beam CT. Implant stability quotient(ISQ) was measured right after implant placement, and before prosthesis loading respectively. The amount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 was measured on Periapical radiograph, and augmented bone was assessed on panorama view.
Results : Favorable result was obtained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in all patients. follow up period was 4 to 34 months(mean 12.0 ± 9.4 months),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discomfort on function, mobility of implant, inflammation of periodontal tissue around implant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 mean value of implant stability quotients(ISQ) of implants was 63.4 ± 12.1 right after implant placement, 77.6 ± 5.8 before prosthesis loading. The mean amount of around the implants was 0.23 ± 0.18 mm, and augmented bone in maxillary sinus was being maintained around apical of implant fixture on panorama view.
Conclusion : By using the crestal kit, which does not fracture the cortical bone of sinus floor but safely remove it with a drill and expose the sinus membrane,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with crestal approach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for the patient with less than 4mm of residual bone heigh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