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한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에 적용, 해석함으로 유사 문법을 변별하는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밝히기 위해 화자 중심의 인지언어학의 ‘해석’ 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다시 영상도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 해석함으로 그 타당성을 밝힌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한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에 적용, 해석함으로 유사 문법을 변별하는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밝히기 위해 화자 중심의 인지언어학의 ‘해석’ 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다시 영상도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 해석함으로 그 타당성을 밝힌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에 대해 살펴본다. 인지언어학적인 ‘해석’의 개념과 투사된 세계로서의 ‘장면’, 또한 ‘해석’의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며, 이어 영상도식을 통해 언어의 의미가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거리] 개념을 설명한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을 기존의 ‘거리’ 개념에 적용하여 화자와 청자, 화자와 정보, 청자와 정보 사이에서 화자가 해석하는 [거리] 개념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것이 화자의 해석 아래 유사 문법의 선택을 결정하는 의미 자질임을 밝힌다. 화자는 본인의 인식 범위 안에서 화자와 대상(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한다. 또한 화자가 청자의 입장이 되어 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하기도 한다. 이때 화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그릇 도식으로 보고, 화자(청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원으로 도식화한다. 그리고 대상(청자 또는 정보)이 원 안에 들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거리] 개념 [가깝다]와 [멀다]로 해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해 낸 [거리] 개념을 직접 한국어 초급 문법 중 대표적인 유사 문법인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하여 [거리] 개념의 타당성을 보인다. {-어서}와 {-니까}는 [원인, 이유]의 의미를 갖는 유사 문법이다. {-어서}가 갖는 [공손성], 통사적 제약, [객관성], [정보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되고, {-니까}가 갖는 [친밀성], 통사적 제약 없음, [주관성], [정보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된다. {-겠다}와 {-을 것이다}는 [의지], [추측]의 의미 자질을 갖는 유사 문법이다. {-겠다}가 갖는 [참여 허락], [주관성], [현장성], [근거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되고, {-을 것이다}가 갖는 [참여 불가], [객관성], [비현장성], [근거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된다. 즉 [거리] 개념을 통한 해석에 있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는 각각 [멀다]와 [가깝다]의 의미를 지니고. 또한 {-겠다}와 {-을 것이다}는 각각 [가깝다]와 [멀다]의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를 통해 유사 문법 간의 변별성을 [거리] 개념인 [가깝다]와 [멀다]로 좀 더 명확하고 가시적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신체화(embodiment)에 기초한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에 적용, 해석함으로 유사 문법을 변별하는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의미 자질로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밝히기 위해 화자 중심의 인지언어학의 ‘해석’ 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다시 영상도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인지언어학적 [거리] 개념을 한국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 해석함으로 그 타당성을 밝힌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에 대해 살펴본다. 인지언어학적인 ‘해석’의 개념과 투사된 세계로서의 ‘장면’, 또한 ‘해석’의 다양한 개념들을 살펴보며, 이어 영상도식을 통해 언어의 의미가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개념화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거리] 개념을 설명한다.
3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인지언어학적 ‘해석’(construal)과 영상도식(image schema)을 기존의 ‘거리’ 개념에 적용하여 화자와 청자, 화자와 정보, 청자와 정보 사이에서 화자가 해석하는 [거리] 개념을 도출한다. 그리고 이것이 화자의 해석 아래 유사 문법의 선택을 결정하는 의미 자질임을 밝힌다. 화자는 본인의 인식 범위 안에서 화자와 대상(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한다. 또한 화자가 청자의 입장이 되어 청자와 정보 사이의 관계의 거리를 해석하기도 한다. 이때 화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그릇 도식으로 보고, 화자(청자)의 인식 범위를 하나의 원으로 도식화한다. 그리고 대상(청자 또는 정보)이 원 안에 들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거리] 개념 [가깝다]와 [멀다]로 해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해 낸 [거리] 개념을 직접 한국어 초급 문법 중 대표적인 유사 문법인 {-어서}와 {-니까}, {-겠다}와 {-을 것이다}에 적용하여 [거리] 개념의 타당성을 보인다. {-어서}와 {-니까}는 [원인, 이유]의 의미를 갖는 유사 문법이다. {-어서}가 갖는 [공손성], 통사적 제약, [객관성], [정보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되고, {-니까}가 갖는 [친밀성], 통사적 제약 없음, [주관성], [정보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된다. {-겠다}와 {-을 것이다}는 [의지], [추측]의 의미 자질을 갖는 유사 문법이다. {-겠다}가 갖는 [참여 허락], [주관성], [현장성], [근거 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가깝다]로 해석되고, {-을 것이다}가 갖는 [참여 불가], [객관성], [비현장성], [근거 미공유]의 변별적 의미는 [거리] 개념 [멀다]로 해석된다. 즉 [거리] 개념을 통한 해석에 있어 유사 문법 {-어서}와 {-니까}는 각각 [멀다]와 [가깝다]의 의미를 지니고. 또한 {-겠다}와 {-을 것이다}는 각각 [가깝다]와 [멀다]의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검증의 결과를 통해 유사 문법 간의 변별성을 [거리] 개념인 [가깝다]와 [멀다]로 좀 더 명확하고 가시적으로 표현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This research aims to draw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discriminating the similar grammar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ncept of [Distance] based on the
somat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and t...
This research aims to draw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discriminating the similar grammar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ncept of [Distance] based on the
somat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and to disclose the validity. The method fo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oriented cognitive linguistics is applied to disclose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this
shall be appeared as the image schema again. Also, the validity is
disclosed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The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construal) be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and the image schema are examined in the Chapter 2. Diverse Concepts of ‘scene’ as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and the projected world, also
‘interpretation’ are examined; subsequently the concept of [Distance]
is explained on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i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 through the image
schema. The concept of [Distance] that the speaker interpret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speaker and content and the listener and
content is drawn by apply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strual and
image schema examined earlier in the Chapter 3. And this is disclosed to
be the meaning features deciding the selection of similar grammar unde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The validity for the concept of [Distance] is shown by applying the
concept of [Distance] drawn in the Chapter 3 in th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being the representative similar grammar
out of beginning level grammar of Korean language directly in the
Chapter 4.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politeness] that the {-eoseo}
has, syntactic restriction, [objectivity] and [non-share of information]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intimacy] that the {-nikka} has, there is
no syntactic restriction, [subjectivity] and [information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permission of participation] that the
{-gedda} has, [subjectivity], [site] and [the basis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participation], [objectivity], [non-site] and
[non-share of basis]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Namely, the similar grammar, {-eoseo} and
{-nikka} has the meaning of [distant] and [close] respectively in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gedda} and
{-eul geotsida} have the meaning of [close] and [distant] respectively
This research aims to draw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discriminating the similar grammar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ncept of [Distance] based on the
somatization of cognitive linguistics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and to disclose the validity. The method fo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oriented cognitive linguistics is applied to disclose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as the meaning features; this
shall be appeared as the image schema again. Also, the validity is
disclosed by applying, interpret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cept of
[Distance] in the similar grammar of Korean languag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The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construal) bei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and the image schema are examined in the Chapter 2. Diverse Concepts of ‘scene’ as the concept of
cognitive linguistics ‘interpretation’ and the projected world, also
‘interpretation’ are examined; subsequently the concept of [Distance]
is explained on the premise that the meaning of language is
conceptualized based on the physical experience through the image
schema. The concept of [Distance] that the speaker interprets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speaker and content and the listener and
content is drawn by apply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construal and
image schema examined earlier in the Chapter 3. And this is disclosed to
be the meaning features deciding the selection of similar grammar under
the interpretation of speaker. The validity for the concept of [Distance] is shown by applying the
concept of [Distance] drawn in the Chapter 3 in the {-eoseo}, {-nikka},
{-gedda} and {-eul geotsida} being the representative similar grammar
out of beginning level grammar of Korean language directly in the
Chapter 4.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politeness] that the {-eoseo}
has, syntactic restriction, [objectivity] and [non-share of information]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intimacy] that the {-nikka} has, there is
no syntactic restriction, [subjectivity] and [information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the permission of participation] that the
{-gedda} has, [subjectivity], [site] and [the basis share]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close as the concept of [Distance], the discriminative meaning of [impossibility of participation], [objectivity], [non-site] and
[non-share of basis] is appeared as changed to be distant as the
concept of [Distance]. Namely, the similar grammar, {-eoseo} and
{-nikka} has the meaning of [distant] and [close] respectively in the
interpretation through the concept of [Distance], also, the {-gedda} and
{-eul geotsida} have the meaning of [close] and [distant] respec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