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부들이 얼마나 농업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 사회 건강 조사 코호트에 참여한 경북 고령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되었다. 개인 면접 조사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인적 특성, 농작업 특성과 Harrell이 고안한 위험인식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농업인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부들이 얼마나 농업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 사회 건강 조사 코호트에 참여한 경북 고령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되었다. 개인 면접 조사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인적 특성, 농작업 특성과 Harrell이 고안한 위험인식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농업인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을 보정한 다변량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농업 위헙 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은, 성별, 연령, 결혼 여부, 농업시작 연령과 종사기간, 농약 중독 등의 요인들이 위험인식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고연령일수록 위험인식이 높았으며 경제적 이윤을 위해서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농작업 특성 요인인 농업 시작 연령과 종사기간에서의 교차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서 위험인식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농작업 요인들에서 농업 시작 연령이 높아질수록 위험인식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사 기간이 길수록 위험 인식이 높았다. 또한 농약 중독을 경험한 사람들의 경우 위험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농약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 보다 낮은 위험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군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사일에 대한 위험 인식과 그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 하였다. 이러한 위험 인식을 평가하는 것은 재해 예방의 첫 걸음이며 향후 농업 재해 위험 관리와 평가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부들이 얼마나 농업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 사회 건강 조사 코호트에 참여한 경북 고령군 지역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 되었다. 개인 면접 조사 형태로 실시하였으며, 인적 특성, 농작업 특성과 Harrell이 고안한 위험인식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농업인의 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을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농업 위헙 인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은, 성별, 연령, 결혼 여부, 농업시작 연령과 종사기간, 농약 중독 등의 요인들이 위험인식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고연령일수록 위험인식이 높았으며 경제적 이윤을 위해서 위험을 감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성의 경우 여성보다 농작업 특성 요인인 농업 시작 연령과 종사기간에서의 교차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 여성의 경우에서 위험인식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더불어 농작업 요인들에서 농업 시작 연령이 높아질수록 위험인식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종사 기간이 길수록 위험 인식이 높았다. 또한 농약 중독을 경험한 사람들의 경우 위험인식이 높았다. 그러나 농약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 보다 낮은 위험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고령군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사일에 대한 위험 인식과 그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 하였다. 이러한 위험 인식을 평가하는 것은 재해 예방의 첫 걸음이며 향후 농업 재해 위험 관리와 평가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perception of farming by farmers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perception of farm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eople who were over 40 years old living in Goryeong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perception of farming by farmers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perception of farm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eople who were over 40 years old living in Goryeong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Cohort study from 2011 to 2014.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Demographic and farming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Harrell's survey questions were used to determine risk perception.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armer's risk perception of farming, Chi-Squar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Results: Factor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starting-age, period of farming, and pesticide poisoning greatly influenced their risk perception of farming. For females, as they aged, they had higher risk perception and tended to take higher risks for economic profit. The starting age and period of farming in mal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Among various factors, when the period of farming was logner, the score for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was higher. And when the starting age of farming was older, risk perception was lower. People who had experienced pesticide poisoning also had higher level of risk perception. Farmers who used agricultural pesticides had low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who did not use pesticides.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by people over 40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Goryeo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To reduce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the first step is to prevent disaster. This study can also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regard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agricultural disaster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perception of farming by farmers in Korea and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perception of farm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eople who were over 40 years old living in Goryeong of South Korea. They participated in a Cohort study from 2011 to 2014.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Demographic and farming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Harrell's survey questions were used to determine risk perception.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armer's risk perception of farming, Chi-Squar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Results: Factor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starting-age, period of farming, and pesticide poisoning greatly influenced their risk perception of farming. For females, as they aged, they had higher risk perception and tended to take higher risks for economic profit. The starting age and period of farming in mal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females. Among various factors, when the period of farming was logner, the score for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was higher. And when the starting age of farming was older, risk perception was lower. People who had experienced pesticide poisoning also had higher level of risk perception. Farmers who used agricultural pesticides had lower risk perception than those who did not use pesticides.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by people over 40 years old who were living in Goryeong and factors affecting their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To reduce risk perception about farming, the first step is to prevent disaster. This study can also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regard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agricultural disast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