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 연구 원문보기


함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고미술사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나무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 속에 아주 뿌리 깊이 자리 잡은 나무로, 소나무 문화를 창출해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나무이다. 現存하는 소나무 그림들과 소나무에 대한 여러 문헌 기록들을 보면, 오랜 세월동안 소나무는 畵材로서 꾸준히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현존하는 기년작으로서는 조선시대 최초의 단독 소나무 그림인 고려대박물관 소장의 謙齋 鄭敾(1676-1759)의 <社稷老松圖>가 등장하였고, 이 작품을 비롯한 ‘소나무 단독 그림’과 ‘松下人物圖’등 다양한 양상의 소나무 그림들이 활발히 제작되었다. 유독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18세기에서 19세기 초에, 소나무 그림의 제작 수가 많았던 점, 조선 초·중기에는 주로 산수화에서 소나무 도상을 볼 수 있었다면, 조선 후기에는 다양한 畵目에서 소나무가 단독 주제로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조선 후기에는 臥遊의 대상이 산수에서 소나무로 확대되어, 문인들의 자화상이자 초상화로의 기능까지 대신했던 제재였다. 동시에 소나무는 은일, 혹은 은거를 추구하기 위한 문인들의 寓意 대상이 되었던 것이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소나무 문화’ 아래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소나무에 대한 가치가 남달랐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 소나무에 대한 이와 같은 실질적인 관심이 그림으로 드러나게 되었던 것은 생태적 특성에서 기인한 상징성들에 당시 문인들이 주목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의 상징으로는 隱者의 삶을 지향하는 은일, 군자를 나타내는 지조와 절개, 축수를 기원하는 의미의 장수, 그리고 王木으로서의 특징인 왕조의 정통성 강조에 있음을 밝혔다.
이렇듯 조선 후기에 소나무 그림이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동시에 多作이 이루어지게 된 제작 배경으로는, 먼저 조선 후기에 소나무와 관련된 唐·宋代 詩意圖의 유행과 『芥子園畵傳』과 《千古最盛帖》, 《萬古奇觀帖》등 畵譜의 영향 아래에서 송하인물도가 집중 조명되었던 것이라고 보았다. 두 번째는 市隱을 하고자 했던 경화세족의 隱居地 조성을 배경으로 은일과 은거의 실천을 표방하는 대상으로서 소나무를 삼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는 정원문화의 성행, 姜希顔(1417-1464)의 『養花小錄』 등 원예서적의 출현, 그리고 소나무 분재 완상 등의 문인들의 원예취미 성행으로 인해 우리나라 소나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는 점이다. 이 같은 배경을 통해서 면밀한 관찰과 사생이 행해졌고, 그 이치를 깨달아 허구의 소나무가 아니라 작가별로 개성 있는 우리나라의 소나무를 그린 것이다. 조선 후기의 정원문화를 통해서 정원수로서의 소나무와 분재로서의 소나무를 조성한 문인들은 소나무를 가까이에서 완상할 수 있었으므로, 더 쉽게 소나무가 그들의 우의 대상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英祖(재위 1724-1776)와 正祖(재위 1776-1800)의 社稷壇 복원 사업과 사직대제 親行 등의 행보들을 통해서 사직노송에 국가 번영의 상징을 부여하였고, 이에 직접 사직단에서 사직노송을 보고 그린 정선의 <사직노송도>가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 후기만의 독특한 제재이자, 조선 최초의 단독 소나무 그림으로 그 기록이 남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후기 소나무 그림의 제작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 주제별로 유형을 분류했는데, 소나무 단독 주제 유형, 소나무와 인물 주제 유형, 그리고 소나무와 화조영모 주제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우의 대상이자 五君子로서의 소나무로 인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배경 없이 단독 소나무[獨松圖]를 그린 노송도류의 경우, 문인 자신을 의탁하고 투영하는 제재였다. 실제로 소나무를 다작한 작가들 중 사군자보다는 소나무 그림을 더 선호하여 그리는 경향이 짙었다.
조선 후기 회화의 특징으로 송하인물도의 ...

주제어

#소나무 그림 사직노송도 정선 무송도 독송도 송하인물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함은혜
학위수여기관 고려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고고미술사학과
지도교수 邊英燮
발행연도 2016
총페이지 iv, 321 p.
키워드 소나무 그림 사직노송도 정선 무송도 독송도 송하인물도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4187759&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