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자가면역 표피하물집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한 제 4형 콜라겐 면역조직화학염색의 유용성 The value of type IV collage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oimmune subepidermal원문보기
목적 자가면역 표피하물집질환(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의 감별진단을 위한 제 4형 콜라겐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방법 물집유사천포창 24예, 선IgA물집피부병 1예, 후천성표피박리증 2예, 물집전신홍반루푸스 1예를 포함한 총 28예의 AISBDs로 진단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보관중인 ...
목적 자가면역 표피하물집질환(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의 감별진단을 위한 제 4형 콜라겐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방법 물집유사천포창 24예, 선IgA물집피부병 1예, 후천성표피박리증 2예, 물집전신홍반루푸스 1예를 포함한 총 28예의 AISBDs로 진단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보관중인 파라핀 포매된 상태의 조직을 사용하여 제 4형 콜라겐 면역화학조직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표피하물집에서 제 4형 콜라겐의 염색의 위치(천장 혹은 바닥)를 분류하였다. 결과 표피하물집 부위에서는 연구 대상 총 28예 중 물집유사천포창(24예), 선IgA물집피부병(1예)은 모두 표피하물집의 바닥쪽에서 제 4형 콜라겐에 대한 염색이 관찰되었다. 후천물집표피박리증(2예)의 경우 천장 쪽에 선상의 염색이 관찰되었으며, 바닥 쪽에서는 미세한 과립상의 염색이 관찰되었다. 물집전신홍반루푸스(1예)는 표피하물집의 천장 쪽에 뚜렷하게 선상으로 염색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바닥 쪽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표피하물집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제 4형 콜라겐 염색은 간단하고 유용한 진단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적 자가면역 표피하물집질환(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의 감별진단을 위한 제 4형 콜라겐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HC)의 유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방법 물집유사천포창 24예, 선IgA물집피부병 1예, 후천성표피박리증 2예, 물집전신홍반루푸스 1예를 포함한 총 28예의 AISBDs로 진단된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보관중인 파라핀 포매된 상태의 조직을 사용하여 제 4형 콜라겐 면역화학조직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표피하물집에서 제 4형 콜라겐의 염색의 위치(천장 혹은 바닥)를 분류하였다. 결과 표피하물집 부위에서는 연구 대상 총 28예 중 물집유사천포창(24예), 선IgA물집피부병(1예)은 모두 표피하물집의 바닥쪽에서 제 4형 콜라겐에 대한 염색이 관찰되었다. 후천물집표피박리증(2예)의 경우 천장 쪽에 선상의 염색이 관찰되었으며, 바닥 쪽에서는 미세한 과립상의 염색이 관찰되었다. 물집전신홍반루푸스(1예)는 표피하물집의 천장 쪽에 뚜렷하게 선상으로 염색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바닥 쪽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표피하물집질환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제 4형 콜라겐 염색은 간단하고 유용한 진단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ype IV collagen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 Methods Paraffin-embedded blocks of skin biopsies were selected from 28 patients wi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ype IV collagen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 Methods Paraffin-embedded blocks of skin biopsies were selected from 28 patients with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eases. Among these 28 cases, 24 patients exhibited bullous pemphigoid (BP), 2 exhibited epidermolysis bullosa acquisita (EBA), 1 exhibited linear immunoglobulin A dermatosis (LAD), and 1 exhibited bullou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BSLE). Sections were stained for type IV collagen and examin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ype IV collagen in the subepidermal blister. Results Type IV collagen positivity was observed on the base of the subepidermal blister in patients with BP (24 of 24 cases) and LAD (1 of 1 case). Staining was observed on the roof of the blister in patients with EBA (2 of 2 cases) and BSLE (1 of 1 case), and irregular staining was also observed on the base in EBA patients. Conclusions Type IV collagen IHC staining is a simple and useful diagnostic technique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ISBD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ype IV collagen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ing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AISBDs). Methods Paraffin-embedded blocks of skin biopsies were selected from 28 patients with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eases. Among these 28 cases, 24 patients exhibited bullous pemphigoid (BP), 2 exhibited epidermolysis bullosa acquisita (EBA), 1 exhibited linear immunoglobulin A dermatosis (LAD), and 1 exhibited bullous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BSLE). Sections were stained for type IV collagen and examin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ype IV collagen in the subepidermal blister. Results Type IV collagen positivity was observed on the base of the subepidermal blister in patients with BP (24 of 24 cases) and LAD (1 of 1 case). Staining was observed on the roof of the blister in patients with EBA (2 of 2 cases) and BSLE (1 of 1 case), and irregular staining was also observed on the base in EBA patients. Conclusions Type IV collagen IHC staining is a simple and useful diagnostic technique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ISBDs.
Keyword
#Collagen type IV Bullous pemphigoid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Epidermolysis bullosa acquisita Bullous skin diseases Immunohistochemistry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호열
학위수여기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의학과 피부과학 전공
지도교수
박혜진
발행연도
2017
총페이지
iv, 25 p.
키워드
Collagen type IV Bullous pemphigoid Autoimmune subepidermal bullous disorders Epidermolysis bullosa acquisita Bullous skin diseases Immunohistochemist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