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을 대상으로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나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한 후 생태적 관리방법을 통한 합리적 보전관리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고문헌 분석과 식생구조 특성파악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고문헌, 고지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경관요소를 분류하여 당시 식생경관을 추론하였다.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존식생, 군집분류,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을 대상으로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나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한 후 생태적 관리방법을 통한 합리적 보전관리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고문헌 분석과 식생구조 특성파악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고문헌, 고지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경관요소를 분류하여 당시 식생경관을 추론하였다.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존식생, 군집분류,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지수를 조사·분석하였다. 고문헌을 분석한 결과, 구룡계곡의 지형적 경관은 치악산에 둘러 쌓여있는 골짜기경관과 계곡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경관 요소들로는 계곡과 구룡사 주변으로 철쭉과 진달래(두견화)가 피어 있었고 푸른 잔디와 흰 바위가 깔려 있으며, 구룡사 주변으로 전나무와 소나무가 위치하였다. 특히 구룡계곡 입구부는 황장금표와 함께 금강소나무림이 길가를 덮고 있는 경관을 묘사하고 있었다. 주요 식생경관을 유추해보면 구룡계곡 진입부는 소나무경관, 구룡사 주변으로는 소나무-전나무 경관, 구룡계곡은 낙엽활엽수경관이 주요 식생경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룡계곡의 식생현황으로 현존식생 조사결과, 자연식생(87.2%)은 소나무림, 소나무-낙엽활엽수림, 소나무-졸참나무림, 졸참나무림, 버드나무-신나무림,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되었다. 인공식생(5%)은 잣나무림, 전나무림, 전나무-소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기타지역(7.8%)은 자연형 하천, 쉼터, 야영장, 종교시설로 구분되었다. 군집분류를 위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을 분석 결과, 5개의 군집(낙엽활엽수군집, 소나무군집, 소나무-전나무군집, 전나무군집, 잣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별 상대우점치와 종다양도,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Ⅰ(낙엽활엽수군집)에서 우점종은 졸참나무였으나 서어나무와 경쟁 단계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군집Ⅱ(소나무군집)는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높은 우점을 보였지만,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출현빈도가 낮았다. 아교목층에서 상대우점치가 높은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의 우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되었으므로 향후, 참나무류군집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예상되었다. 군집Ⅲ(소나무-전나무군집)은 소나무, 전나무가 우점 하였으며 아교목층에서 팥배나무와 층층나무와 같은 낙엽활엽수와 혼효, 생육하는 현황이었다. 군집Ⅳ(전나무군집)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군집 경관유지가 예상되었다. 군집Ⅴ(잣나무군집) 또한 잣나무가 높은 우점을 차지하였으므로 잣나무군집 유지가 예상되었다. 5개의 군집에서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1.1500∼1.4319로 모든 군집에서 안정된 식생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별 유사도지수는 7.09∼65.33%로 군집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군집별 종수 및 개체수 단위면적 100㎡당 21∼50종, 61∼144개체수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우량적 자연자원의 역사․문화적 경관유지를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구룡계곡의 식생관리 방안에 있어서는 낙엽활엽수군집은 자연적 경관을 보존하기 위하여 현존식생을 유지하는 자연순응적 천이유도관리지역(293,238㎡)으로 설정하였다. 소나무-전나무군집, 전나무군집은 식생경관 유지를 위한 소극적 밀도관리지역(19,397㎡)으로 설정하여 아교목층 낙엽활엽수의 소극적 제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및 우량자원 보호를 위하여 낙엽활엽수 제거 및 주요 피복식물인 조릿대를 제거하는 등 치수 보호를 통한 후계림 양성을 위한 집중적인 보전 관리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보전관리구역은 구룡계곡내 총 105,472㎡로서 그 가운데 집중관리지역을 설정하였다. 이는 생태적 천이진행에 따른 소나무 하층식생 관리지역(84,029㎡)과 조릿대 피복에 따른 소나무 치수 보전 관리지역(21,443㎡)이다. 소나무 하층식생 관리지역은 아교목층의 졸참나무 및 신갈나무 제거 관리로서 단위면적 100㎡당 4∼6주, 평균흉고직경은 7.1cm이었다. 소나무치수 보전관리지역에서는 조릿대피복율 및 소나무 치수 개체수와 생육현황의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조릿대 제거관리가 시급히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소나무식생은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지켜야 할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을 대상으로 고문헌 및 고지도에 나타나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한 후 생태적 관리방법을 통한 합리적 보전관리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고문헌 분석과 식생구조 특성파악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적으로 고문헌, 고지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경관요소를 분류하여 당시 식생경관을 추론하였다.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존식생, 군집분류,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지수를 조사·분석하였다. 고문헌을 분석한 결과, 구룡계곡의 지형적 경관은 치악산에 둘러 쌓여있는 골짜기경관과 계곡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경관 요소들로는 계곡과 구룡사 주변으로 철쭉과 진달래(두견화)가 피어 있었고 푸른 잔디와 흰 바위가 깔려 있으며, 구룡사 주변으로 전나무와 소나무가 위치하였다. 특히 구룡계곡 입구부는 황장금표와 함께 금강소나무림이 길가를 덮고 있는 경관을 묘사하고 있었다. 주요 식생경관을 유추해보면 구룡계곡 진입부는 소나무경관, 구룡사 주변으로는 소나무-전나무 경관, 구룡계곡은 낙엽활엽수경관이 주요 식생경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룡계곡의 식생현황으로 현존식생 조사결과, 자연식생(87.2%)은 소나무림, 소나무-낙엽활엽수림, 소나무-졸참나무림, 졸참나무림, 버드나무-신나무림, 낙엽활엽수림으로 구분되었다. 인공식생(5%)은 잣나무림, 전나무림, 전나무-소나무림으로 구분되었으며, 기타지역(7.8%)은 자연형 하천, 쉼터, 야영장, 종교시설로 구분되었다. 군집분류를 위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을 분석 결과, 5개의 군집(낙엽활엽수군집, 소나무군집, 소나무-전나무군집, 전나무군집, 잣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별 상대우점치와 종다양도, 유사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Ⅰ(낙엽활엽수군집)에서 우점종은 졸참나무였으나 서어나무와 경쟁 단계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군집Ⅱ(소나무군집)는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높은 우점을 보였지만,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출현빈도가 낮았다. 아교목층에서 상대우점치가 높은 졸참나무와 같은 참나무류의 우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되었으므로 향후, 참나무류군집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예상되었다. 군집Ⅲ(소나무-전나무군집)은 소나무, 전나무가 우점 하였으며 아교목층에서 팥배나무와 층층나무와 같은 낙엽활엽수와 혼효, 생육하는 현황이었다. 군집Ⅳ(전나무군집)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군집 경관유지가 예상되었다. 군집Ⅴ(잣나무군집) 또한 잣나무가 높은 우점을 차지하였으므로 잣나무군집 유지가 예상되었다. 5개의 군집에서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1.1500∼1.4319로 모든 군집에서 안정된 식생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별 유사도지수는 7.09∼65.33%로 군집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군집별 종수 및 개체수 단위면적 100㎡당 21∼50종, 61∼144개체수가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우량적 자연자원의 역사․문화적 경관유지를 위한 식생관리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하였다. 구룡계곡의 식생관리 방안에 있어서는 낙엽활엽수군집은 자연적 경관을 보존하기 위하여 현존식생을 유지하는 자연순응적 천이유도관리지역(293,238㎡)으로 설정하였다. 소나무-전나무군집, 전나무군집은 식생경관 유지를 위한 소극적 밀도관리지역(19,397㎡)으로 설정하여 아교목층 낙엽활엽수의 소극적 제거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및 우량자원 보호를 위하여 낙엽활엽수 제거 및 주요 피복식물인 조릿대를 제거하는 등 치수 보호를 통한 후계림 양성을 위한 집중적인 보전 관리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보전관리구역은 구룡계곡내 총 105,472㎡로서 그 가운데 집중관리지역을 설정하였다. 이는 생태적 천이진행에 따른 소나무 하층식생 관리지역(84,029㎡)과 조릿대 피복에 따른 소나무 치수 보전 관리지역(21,443㎡)이다. 소나무 하층식생 관리지역은 아교목층의 졸참나무 및 신갈나무 제거 관리로서 단위면적 100㎡당 4∼6주, 평균흉고직경은 7.1cm이었다. 소나무치수 보전관리지역에서는 조릿대피복율 및 소나무 치수 개체수와 생육현황의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조릿대 제거관리가 시급히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소나무식생은 역사문화자원으로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를 통하여 지켜야 할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인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Guryong Valley in Chiak National P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plant landscape element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vestigate current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and suggest reasonal cons...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Guryong Valley in Chiak National P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plant landscape element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vestigate current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and suggest reasonal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Main researches were ancient literature analysis and plant structure features. Ancient literature and ancient map were analyzed, plant landscape elements were categorized and plant landscape was deduced at those times. Current plant, community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species and its populatio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were searched and analyzed to comprehend nature of plant landscape. As a result of analyzing ancient literatur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in Guyong valley were canyon landscape and valley surrounded in Mt. Chiak. Plant landscape factors were as followe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Azalea spread around valley and Guyong temple. Especially, entrance zones of Guyong valley were written 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Hence, it was estimated that entry of Guyong valley w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community landscape. There were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community landscape around uyong temple, and the dominant plant landscape of Guyong valley was Deciduous broadleaved. As for current vegetation result, 87.2% of plant was natural plant : Pinus densiflora forest, Pinus densiflora -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Salix-Acer ginnala forest,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5% of plant was artificial plant. : White pine forest, Abies holophylla forest, and Abies holophylla forest-Pinus densiflora forest. 7.8% was others like natural streams, shelters, camp sites, and relig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for community classification, five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 Abies holophylla community, Abies holophyll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were classified. In community Ⅰ(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dominant species was Quercus serrata but it was judged to compete with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Ⅱ (Pinus densifora community) was highly dominant in tree layer, but it rarely appeared in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So, it was expected to be turned into Quercus community. In community Ⅲ (Pinus densiflora - Abies holophylla),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were dominant, but it would be mixed species forest during transient procedure. In community Ⅳ, it was expected for Abies holophylla community to be kept. In community Ⅴ, Pinus koraiensis was dominant and it would also be expected for Pinus koraiensis community landscape to be kept. According to species diversity index by Shannon, the index was 1.1500~1.4319. It meaned all communities had stable plant structure. The index of similarity by communities was 7.09~65.33%. Each community had 32.2 species and 547.2 trees / 10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lant management plan for conservation of crucial resourc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 plant management in Guyog valle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was selected as nature adaptive succession inducement management area (293,238㎡) maintained actual vegetation to preserve natural landscape. Pinus densiflora - Pinus abies community, Pinus abies community were chosen as passive density management area (19,397㎡) for maintaining forest landscape and passive management method by eliminating broadleaved trees in understory was suggested. To maintain landscape and conserve crucial resourc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classified as concent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for fostering next generation forest through conserving seedlings like eliminating broadleaved trees and Sasa borealis, main covering plant. Thes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reas occupied total 105,472㎡ within Guyong valley. Among those, some centralized management areas were chosen. They were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orest management area (84,029㎡) caused by succession and Pinus densiflora seedling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21,443㎡) caused by covering Sasa borealis.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lora management area needed to be managed by eliminating Quercus serrata and Quercus mongolica in understory. They were 4∼6 trees / 100㎡ and their average diameter was 7.1 ㎝. In Pinus densiflora seedling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Sasa borealis covering ratio and the number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should remain constant level, monitoring of growing status should be continuous, and eliminating and managing Sasa borealis should immediately be done. Likewis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is a historically cultural heritage to preserve with sustainable interest and survey. Efficient management method through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should be made.
Key words: Hwang Jang Kum Pyo, Pine forest, History culture landscape, next generation forest,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Guryong Valley in Chiak National Park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plant landscape element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vestigate current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and suggest reasonal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Main researches were ancient literature analysis and plant structure features. Ancient literature and ancient map were analyzed, plant landscape elements were categorized and plant landscape was deduced at those times. Current plant, community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species and its populatio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were searched and analyzed to comprehend nature of plant landscape. As a result of analyzing ancient literatur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in Guyong valley were canyon landscape and valley surrounded in Mt. Chiak. Plant landscape factors were as followe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Azalea spread around valley and Guyong temple. Especially, entrance zones of Guyong valley were written 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Hence, it was estimated that entry of Guyong valley w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community landscape. There were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community landscape around uyong temple, and the dominant plant landscape of Guyong valley was Deciduous broadleaved. As for current vegetation result, 87.2% of plant was natural plant : Pinus densiflora forest, Pinus densiflora -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forest, Quercus serrata forest, Salix-Acer ginnala forest,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5% of plant was artificial plant. : White pine forest, Abies holophylla forest, and Abies holophylla forest-Pinus densiflora forest. 7.8% was others like natural streams, shelters, camp sites, and religion facilities.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for community classification, five communities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 Abies holophylla community, Abies holophylla community,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were classified. In community Ⅰ(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dominant species was Quercus serrata but it was judged to compete with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Ⅱ (Pinus densifora community) was highly dominant in tree layer, but it rarely appeared in sub-tree layer and shrub layer. So, it was expected to be turned into Quercus community. In community Ⅲ (Pinus densiflora - Abies holophylla), Pinus densiflora and Abies holophylla were dominant, but it would be mixed species forest during transient procedure. In community Ⅳ, it was expected for Abies holophylla community to be kept. In community Ⅴ, Pinus koraiensis was dominant and it would also be expected for Pinus koraiensis community landscape to be kept. According to species diversity index by Shannon, the index was 1.1500~1.4319. It meaned all communities had stable plant structure. The index of similarity by communities was 7.09~65.33%. Each community had 32.2 species and 547.2 trees / 10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lant management plan for conservation of crucial resource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For plant management in Guyog valley,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was selected as nature adaptive succession inducement management area (293,238㎡) maintained actual vegetation to preserve natural landscape. Pinus densiflora - Pinus abies community, Pinus abies community were chosen as passive density management area (19,397㎡) for maintaining forest landscape and passive management method by eliminating broadleaved trees in understory was suggested. To maintain landscape and conserve crucial resourc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classified as concent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for fostering next generation forest through conserving seedlings like eliminating broadleaved trees and Sasa borealis, main covering plant. Thes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reas occupied total 105,472㎡ within Guyong valley. Among those, some centralized management areas were chosen. They were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orest management area (84,029㎡) caused by succession and Pinus densiflora seedling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21,443㎡) caused by covering Sasa borealis.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lora management area needed to be managed by eliminating Quercus serrata and Quercus mongolica in understory. They were 4∼6 trees / 100㎡ and their average diameter was 7.1 ㎝. In Pinus densiflora seedling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Sasa borealis covering ratio and the number of Pinus densiflora seedling should remain constant level, monitoring of growing status should be continuous, and eliminating and managing Sasa borealis should immediately be done. Likewis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is a historically cultural heritage to preserve with sustainable interest and survey. Efficient management method through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should be made.
Key words: Hwang Jang Kum Pyo, Pine forest, History culture landscape, next generation forest, conservation management a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