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2개교와 충청남도 보령시 2개교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1, 2학년의 남녀 청소년 8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2월 중에 학교의 동의를 구하고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2개교와 충청남도 보령시 2개교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1, 2학년의 남녀 청소년 8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2월 중에 학교의 동의를 구하고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와 Amos Version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 자아탄력성,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초통계량 및 정규분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설정된 2개의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가 정보제공을 많이 하고 물적 지원 역할을 잘하고 전통전수를 적게 할수록 청소년들은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가 물적 지원을 잘하고, 전통전수를 적게 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자신감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버지가 일상생활에서 역할은 적게 수행하고 정보제공은 많이 하고, 여가생활에 많이 참여할수록 청소년들은 난이도가 높은 과제에 대해 선호성을 보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잘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아버지가 청소년 자녀에게 물적 지원을 잘 할수록 청소년들은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지니고 감정조절이 향상되었고, 아버지가 물적 지원을 잘하고 정보제공을 많이 할수록 흥미와 관심이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청소년들이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많이 가질수록,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이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많이 가질수록,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자신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들이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과제난이도에 대한 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인정되었다.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버지가 여가 및 일상생활, 정보제공, 훈육에 참여, 학습지원, 전통전수, 물적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녀양육에 참여하게 되면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도 하지만,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내고 감정을 잘 조절하는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게 되어, 간접적으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나타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버지가 자녀들과 여가 및 일상생활을 함께 하고, 자녀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적절한 훈육방식을 취하며, 학업을 지원하고 전통을 전수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적지원을 해주며 양육을 수행하는 아버지는 자녀의 성장발달에 관심을 갖고 아버지됨(fathering)을 잘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아버지를 통하여 관심을 받고 자란 자녀들은 인지적인 학습 자극에 더 많이 노출되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되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아버지의 역할수행의 적극적인 참여는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버지의 지나친 학업적 개입 및 관여나 활동 등은 오히려 자녀의 학업성취에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부분에 주의를 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자녀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 학업지원을 해야 하며, 자녀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그들의 물적 및 심리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에 해당하는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이었음을 증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다양한 역할수행 및 양육참여정도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주요 예측변인이며 동시에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예측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의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아버지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역할수행을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면 학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고, 또한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연결되는 심리적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환경적 변인 특히,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적 변인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업과 관련된 상담 및 진로지도, 그리고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2개교와 충청남도 보령시 2개교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1, 2학년의 남녀 청소년 8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1~2월 중에 학교의 동의를 구하고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와 Amos Version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 자아탄력성,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기초통계량 및 정규분포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설정된 2개의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가 정보제공을 많이 하고 물적 지원 역할을 잘하고 전통전수를 적게 할수록 청소년들은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버지가 물적 지원을 잘하고, 전통전수를 적게 할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자신감을 드러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버지가 일상생활에서 역할은 적게 수행하고 정보제공은 많이 하고, 여가생활에 많이 참여할수록 청소년들은 난이도가 높은 과제에 대해 선호성을 보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잘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아버지가 청소년 자녀에게 물적 지원을 잘 할수록 청소년들은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지니고 감정조절이 향상되었고, 아버지가 물적 지원을 잘하고 정보제공을 많이 할수록 흥미와 관심이 다양해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청소년들이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많이 가질수록,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이 긍정적 미래지향성을 많이 가질수록,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자신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청소년들이 감정조절을 잘하고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과제난이도에 대한 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인정되었다.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자아탄력성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아버지가 여가 및 일상생활, 정보제공, 훈육에 참여, 학습지원, 전통전수, 물적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녀양육에 참여하게 되면 직접적으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도 하지만,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을 이겨내고 감정을 잘 조절하는 자아탄력성을 높여주게 되어, 간접적으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게 되는 효과를 나타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버지가 자녀들과 여가 및 일상생활을 함께 하고, 자녀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적절한 훈육방식을 취하며, 학업을 지원하고 전통을 전수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물적지원을 해주며 양육을 수행하는 아버지는 자녀의 성장발달에 관심을 갖고 아버지됨(fathering)을 잘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아버지를 통하여 관심을 받고 자란 자녀들은 인지적인 학습 자극에 더 많이 노출되고 정서적으로도 안정되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아버지의 역할수행의 적극적인 참여는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하여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버지의 지나친 학업적 개입 및 관여나 활동 등은 오히려 자녀의 학업성취에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부분에 주의를 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자녀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 학업지원을 해야 하며, 자녀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그들의 물적 및 심리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성에 해당하는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이었음을 증명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버지의 다양한 역할수행 및 양육참여정도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주요 예측변인이며 동시에 자아탄력성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예측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의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즉, 아버지의 적절하고 효과적인 역할수행을 도울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면 학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고, 또한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연결되는 심리적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중요한 환경적 변인 특히,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적 변인을 동시에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업과 관련된 상담 및 진로지도, 그리고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role performance,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figure out how the adolescent’s self-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oward this e...
The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role performance,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figure out how the adolescent’s self-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oward this end, the study designated the following research assignments. First, do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does self-resili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order to complete the research assignm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801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ho are in their first year and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s, two located in Daejeon and the other two in Boryeong-si in Chungcheongnam-do.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consent from the schools and visitations from January to February in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SPSS Version 19 and Amos Version 18. Elementary statistics and normal distribu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appropriateness of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wo designated mediation models was compared and verified.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more information and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s and the less tradition they transmit, the higher self-regulation efficacy adolescents feel. It also indicates that the more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 and the less traditional they transmit, adolescents turned out to have confidence in self-efficacy. The study shows that the less role performance on the part of fathers in everyday life and the more information fathers provide and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e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dolescents exert. In the meantime, as for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on adolescent’s self-resilience, the more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 to their adolescent children, the higher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nd self-regulation adolescents indicate. The more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 fathers provide,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develop. As for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resili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the higher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dolescents have, the hig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y exhibit. In addition,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have, the higher self-regulation efficacy among academic self-efficacies they have. In addition, the more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dolescents have, the hig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y exhibit.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develop, the more confidence they have.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more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adolescents have,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exhibit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asks. Second,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were recognized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shows that father’s role performance had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at it has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self-resilience. That is, if fathers take part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by performing various roles such as leisure and daily activities, provision of information, participation in child-raising, academic support, traditional transmission and material support, it sometimes directly leads to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and as it leads to higher self-resilience enabling adolescents to overcome study-related stress and adjust emotions, it indirectly contributes to improving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generated. First, father’s role performance mostly has a positive role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Father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everyday life along with their childre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ir children, offer appropriate training, implement academic support and transmit tradition in addition to provision of various material support and child-rearing based on interest in children’s growth are considered to be good at fathering. Since children who have been raised based on this fathering are expected to be more exposed to cognitive academic stimulation and have more emotional stability, which leads to a higher possibility of exercising academic self-efficacy, father’s proactive participation in role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an essential variable for enhance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However, attentions need to be paid to the fact that father’s excessive academic intervention, involvement or activities might result in adverse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t a time of development of interest in education for children and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 to children. Accordingly, mater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need to be given children based on communications. Second, the study proved that self-resilience pertain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bility was an important variable at a time of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father’s diversified role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re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s for self-resilience on the part of adolescents and that the self-resilience is an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 f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that can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Hence, two approaches need to be applied in order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That is, i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fathers perform their roles in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way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adolescent’s self-resilience are developed, they are expected to reduce difficulties caused by study and contribute to exercising a higher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is focused on figuring out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self-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examining how self-resilience generates mediation effects in the course of father’s role performance influencing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is, the study has become an important material that helps explain the psychological process where father’s role performance is connected to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making it possible for fathers to perform their roles, which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variable for adolescent’s growth. The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significant data that can be used in academic consultations, guidance counseling, parental consultation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im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role performance, adolescent’s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figure out how the adolescent’s self-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Toward this end, the study designated the following research assignments. First, do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self-resilience have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Second, does self-resilience play a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In order to complete the research assignm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801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ho are in their first year and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s, two located in Daejeon and the other two in Boryeong-si in Chungcheongnam-do.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consent from the schools and visitations from January to February in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use of SPSS Version 19 and Amos Version 18. Elementary statistics and normal distribution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appropriateness of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wo designated mediation models was compared and verified.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more information and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s and the less tradition they transmit, the higher self-regulation efficacy adolescents feel. It also indicates that the more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 and the less traditional they transmit, adolescents turned out to have confidence in self-efficacy. The study shows that the less role performance on the part of fathers in everyday life and the more information fathers provide and the more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he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preference for difficult tasks adolescents exert. In the meantime, as for the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on adolescent’s self-resilience, the more material support fathers provide to their adolescent children, the higher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nd self-regulation adolescents indicate. The more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 fathers provide,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develop. As for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resili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the higher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dolescents have, the hig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y exhibit. In addition,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have, the higher self-regulation efficacy among academic self-efficacies they have. In addition, the more positive future-orientedness adolescents have, the highe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y exhibit. The more interest adolescents develop, the more confidence they have. Th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more emotional self-regulation ability adolescents have, the higher self-efficacy they exhibit with regard to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asks. Second, mediation effects of self-resilience were recognized in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shows that father’s role performance had direct effects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at it has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self-resilience. That is, if fathers take part in bringing up their children by performing various roles such as leisure and daily activities, provision of information, participation in child-raising, academic support, traditional transmission and material support, it sometimes directly leads to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and as it leads to higher self-resilience enabling adolescents to overcome study-related stress and adjust emotions, it indirectly contributes to improving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generated. First, father’s role performance mostly has a positive role i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Fathers wh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everyday life along with their childre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ir children, offer appropriate training, implement academic support and transmit tradition in addition to provision of various material support and child-rearing based on interest in children’s growth are considered to be good at fathering. Since children who have been raised based on this fathering are expected to be more exposed to cognitive academic stimulation and have more emotional stability, which leads to a higher possibility of exercising academic self-efficacy, father’s proactive participation in role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an essential variable for enhance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However, attentions need to be paid to the fact that father’s excessive academic intervention, involvement or activities might result in adverse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t a time of development of interest in education for children and provision of academic support to children. Accordingly, mater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need to be given children based on communications. Second, the study proved that self-resilience pertain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bility was an important variable at a time of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father’s diversified role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aring are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s for self-resilience on the part of adolescents and that the self-resilience is an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 for adolescent’s self-resilience that can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Hence, two approaches need to be applied in order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part of adolescents. That is, if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help fathers perform their roles in an appropriate and effective way and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improve adolescent’s self-resilience are developed, they are expected to reduce difficulties caused by study and contribute to exercising a higher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is focused on figuring out effects of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self-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examining how self-resilience generates mediation effects in the course of father’s role performance influencing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is, the study has become an important material that helps explain the psychological process where father’s role performance is connected to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adolesc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making it possible for fathers to perform their roles, which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variable for adolescent’s growth. The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significant data that can be used in academic consultations, guidance counseling, parental consultation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