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중요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이야기하거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Losh & Capps, 2003). 본 연구는 건청 대학생과 보청기착용 또는 인공와우이식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화 산출에서 세 집단 간의 총 T-unit 수, 이야기 문법 산출률과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 산출률, 완전한 일화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한 이야기평가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배경, 계기사건, 시도, 결과, 내적반응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개구리 이야기’는 배경 12개, 계기사건 5개, 시도 13개, 결과 15개, 내적반응 10개의 총 55개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다. 완전한 일화 수는 계기사건, 시도, 결과를 포함한 하나의 일화를 구성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첫째, 총 T-unit 수에서 건청 집단과 청각장애 집단의 차이가 없었고, 세 집단 모두 비관련 T-unit은 산출되지 않았다. 둘째, 총 이야기 문법 산출률은 보청기착용 대학생 집단과 인공와우이식 대학생 집단이 건청 대학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아 청각장애 대학생 집단은 건청 집단에 비해 낮은 이야기 구성 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어 이야기 문법 산출에서는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이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 구성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셋째, 각 이야기 문법 요소별 산출률의 결과를 살펴보면, 배경과 계기사건 산출률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시도, 결과 및 내적반응에서 건청 집단이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산출률을 보였다.세 집단 모두 시도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어 이야기를 산출하는 반면, 배경, 계기사건 및 내적반응의 사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내적반응의 경우 매우 낮은 산출률을 보였다. 넷째, 완전한 일화 수를 살펴보면, 보청기 집단과 인공 ...
이야기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중요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이야기하거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Losh & Capps, 2003). 본 연구는 건청 대학생과 보청기착용 또는 인공와우이식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화 산출에서 세 집단 간의 총 T-unit 수, 이야기 문법 산출률과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 산출률, 완전한 일화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한 이야기평가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배경, 계기사건, 시도, 결과, 내적반응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개구리 이야기’는 배경 12개, 계기사건 5개, 시도 13개, 결과 15개, 내적반응 10개의 총 55개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다. 완전한 일화 수는 계기사건, 시도, 결과를 포함한 하나의 일화를 구성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첫째, 총 T-unit 수에서 건청 집단과 청각장애 집단의 차이가 없었고, 세 집단 모두 비관련 T-unit은 산출되지 않았다. 둘째, 총 이야기 문법 산출률은 보청기착용 대학생 집단과 인공와우이식 대학생 집단이 건청 대학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아 청각장애 대학생 집단은 건청 집단에 비해 낮은 이야기 구성 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어 이야기 문법 산출에서는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이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 구성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셋째, 각 이야기 문법 요소별 산출률의 결과를 살펴보면, 배경과 계기사건 산출률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시도, 결과 및 내적반응에서 건청 집단이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산출률을 보였다.세 집단 모두 시도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어 이야기를 산출하는 반면, 배경, 계기사건 및 내적반응의 사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내적반응의 경우 매우 낮은 산출률을 보였다. 넷째, 완전한 일화 수를 살펴보면, 보청기 집단과 인공 와우 집단이 건청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능력을 보였다. 이는 보청기 집단과 인공 와우 집단이 건청 집단 보다 짜임새 있는 일화를 구성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 대학생이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이 건청 대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이며, 낮은 이야기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짜임새 있는 완전한 일화를 구성하는데 낮은 수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청각 보조장치에 따른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은 이야기산출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이는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들의 특성처럼 인공와우를 이식한 시기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야기는 사람들이 생활하면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중요하게 사용할 뿐만 아니라 경험을 이야기하거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본적인 수단이 된다(Losh & Capps, 2003). 본 연구는 건청 대학생과 보청기착용 또는 인공와우이식 청각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발화 산출에서 세 집단 간의 총 T-unit 수, 이야기 문법 산출률과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 산출률, 완전한 일화수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한 이야기평가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배경, 계기사건, 시도, 결과, 내적반응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개구리 이야기’는 배경 12개, 계기사건 5개, 시도 13개, 결과 15개, 내적반응 10개의 총 55개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로 이루어졌다. 완전한 일화 수는 계기사건, 시도, 결과를 포함한 하나의 일화를 구성한 것으로 정의하였다. 첫째, 총 T-unit 수에서 건청 집단과 청각장애 집단의 차이가 없었고, 세 집단 모두 비관련 T-unit은 산출되지 않았다. 둘째, 총 이야기 문법 산출률은 보청기착용 대학생 집단과 인공와우이식 대학생 집단이 건청 대학생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아 청각장애 대학생 집단은 건청 집단에 비해 낮은 이야기 구성 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어 이야기 문법 산출에서는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이 비슷한 수준의 이야기 구성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셋째, 각 이야기 문법 요소별 산출률의 결과를 살펴보면, 배경과 계기사건 산출률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시도, 결과 및 내적반응에서 건청 집단이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산출률을 보였다.세 집단 모두 시도와 결과에 많은 비중을 두어 이야기를 산출하는 반면, 배경, 계기사건 및 내적반응의 사용 비율은 상대적으로 적었고, 내적반응의 경우 매우 낮은 산출률을 보였다. 넷째, 완전한 일화 수를 살펴보면, 보청기 집단과 인공 와우 집단이 건청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능력을 보였다. 이는 보청기 집단과 인공 와우 집단이 건청 집단 보다 짜임새 있는 일화를 구성하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 대학생이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이 건청 대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이며, 낮은 이야기 구성요소를 연결하여 짜임새 있는 완전한 일화를 구성하는데 낮은 수행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청각 보조장치에 따른 보청기 집단과 인공와우 집단은 이야기산출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이는 본 연구에 포함된 대상자들의 특성처럼 인공와우를 이식한 시기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en normal undergraduate students (NH), 10 with hearing aid (HA), and 10 with cochlear implant (CI)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narrated the picture book 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en normal undergraduate students (NH), 10 with hearing aid (HA), and 10 with cochlear implant (CI)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narrated the picture book without words, “Frog, where are you.” The narrative was assessed in the area of story grammars with total Terminable units in words (T-unit), the usage ratio of story grammar, the usage ratio of sub-types of story grammar and the number of complete episode. Fifty-five story grammars in “The frog story” are composed of 5 sub-types which are 12 settings, 5 initiating events, 13 attempts, 15 consequences, and 10 internal responses. One complete episode should include initiating event, attempt, and conseque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total number of T-unit among the three groups. Similar numbers of sentences are produced by three groups. Any unrelated T-unit which could interrupt the natural flow of narratives was not produced in the any of three group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NH, HA, and CI in the usage ratioof story grammar. HA and CI demonstrated the lower performance than NH. Third,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of the usage ratio of setting and initiating event among three groups, while the higher usage ratios attempt, consequence, and internal response were shown in NH compared to HA and CI. All three groups mostly used attempt and consequence rather than setting, initiating event, and internal response. Fourth, the numbers of complete episode of HA and CI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NH which means that two groups with hearing impairment do not have sufficient ability to make well-organized episodes. In conclusio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hows lower performance in composing story grammar than normal undergraduate students, but the types of hearing aid does not influence on making complete narra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ramma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en normal undergraduate students (NH), 10 with hearing aid (HA), and 10 with cochlear implant (CI)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participants narrated the picture book without words, “Frog, where are you.” The narrative was assessed in the area of story grammars with total Terminable units in words (T-unit), the usage ratio of story grammar, the usage ratio of sub-types of story grammar and the number of complete episode. Fifty-five story grammars in “The frog story” are composed of 5 sub-types which are 12 settings, 5 initiating events, 13 attempts, 15 consequences, and 10 internal responses. One complete episode should include initiating event, attempt, and consequenc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total number of T-unit among the three groups. Similar numbers of sentences are produced by three groups. Any unrelated T-unit which could interrupt the natural flow of narratives was not produced in the any of three group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NH, HA, and CI in the usage ratioof story grammar. HA and CI demonstrated the lower performance than NH. Third, there was no considerable difference of the usage ratio of setting and initiating event among three groups, while the higher usage ratios attempt, consequence, and internal response were shown in NH compared to HA and CI. All three groups mostly used attempt and consequence rather than setting, initiating event, and internal response. Fourth, the numbers of complete episode of HA and CI were considerably lower than those of NH which means that two groups with hearing impairment do not have sufficient ability to make well-organized episodes. In conclusio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shows lower performance in composing story grammar than normal undergraduate students, but the types of hearing aid does not influence on making complete narrativ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