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군 및 개별 사육방식이 모돈의 분만성적과 사고 발생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using Type of Group or Individual Stall on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Occurrence Rate of Accident in Sows원문보기
군 및 개별 사육방식이 모돈의 분만성적과 사고 발생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1,112두와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763두를 대상으로 자돈의 총산, 미라, 체미, 기형 그리고 모돈의 지제사고와 유산관련 기록을 분석하였다. 군 사육방식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의 평균 총산 두수는 각각 11.6두와 12.2두로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의 총산 두수가 유...
군 및 개별 사육방식이 모돈의 분만성적과 사고 발생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1,112두와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763두를 대상으로 자돈의 총산, 미라, 체미, 기형 그리고 모돈의 지제사고와 유산관련 기록을 분석하였다. 군 사육방식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의 평균 총산 두수는 각각 11.6두와 12.2두로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의 총산 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군 사육방식 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 중 평균 미라 두수는 각각 0.38와 0.51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미라형태의 자돈이 더 많았다(p<0.05). 하지만 미라를 제외한 총산 두수는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의 경우가 여전히 더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군 사육방식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각각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 중 체중미달 두수는 0.02와 0.04로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더 많은 체미를 발생시켰다(p<0.05). 그러나 기형 자돈의 경우는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분만하였다(p<0.05). 그리고 체중미달 자돈과 기형 자돈을 포함한 생존 자돈수는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보다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에서 더 높았다(p<0.01). 군 사육방식에서 모돈의 지제사고율은 2.7%이었고 개별 사육방식에서의 모돈의 지제사고율은 1.3%이었다. 지제사고는 개별 사육방식보다 군 사육방식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은 유산 발생이 전혀 없었으나 군 사육방식에서는 평균 0.8%로 1% 가깝게 나타나 군 사육방식에서는 유산도 빈번히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볼 때 모돈을 군 사육방식의 형태보다 개별 사육형태로 사육하는 것이 모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국내 모돈 사육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개별 사육방식이 다른 사육방식보다 모돈의 신체적,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지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군 및 개별 사육방식이 모돈의 분만성적과 사고 발생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1,112두와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되고 있는 모돈 763두를 대상으로 자돈의 총산, 미라, 체미, 기형 그리고 모돈의 지제사고와 유산관련 기록을 분석하였다. 군 사육방식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의 평균 총산 두수는 각각 11.6두와 12.2두로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의 총산 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군 사육방식 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 중 평균 미라 두수는 각각 0.38와 0.51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미라형태의 자돈이 더 많았다(p<0.05). 하지만 미라를 제외한 총산 두수는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의 경우가 여전히 더 높게 나타났다(p<0.01). 그리고 군 사육방식과 개별 사육방식에서 각각 사육된 모돈이 생산한 자돈 중 체중미달 두수는 0.02와 0.04로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더 많은 체미를 발생시켰다(p<0.05). 그러나 기형 자돈의 경우는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이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보다 유의하게 더 많이 분만하였다(p<0.05). 그리고 체중미달 자돈과 기형 자돈을 포함한 생존 자돈수는 군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보다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에서 더 높았다(p<0.01). 군 사육방식에서 모돈의 지제사고율은 2.7%이었고 개별 사육방식에서의 모돈의 지제사고율은 1.3%이었다. 지제사고는 개별 사육방식보다 군 사육방식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개별 사육방식에서 사육된 모돈은 유산 발생이 전혀 없었으나 군 사육방식에서는 평균 0.8%로 1% 가깝게 나타나 군 사육방식에서는 유산도 빈번히 나타나는 결과를 얻었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볼 때 모돈을 군 사육방식의 형태보다 개별 사육형태로 사육하는 것이 모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국내 모돈 사육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개별 사육방식이 다른 사육방식보다 모돈의 신체적,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지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sows when housed either in groups with electronic sow feeders or stalls. The experiments had 1,112 heads or 763 heads of sow,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born piglet numbers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1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sows when housed either in groups with electronic sow feeders or stalls. The experiments had 1,112 heads or 763 heads of sow,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born piglet numbers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11.6 heads or 12.2 heads, respectively(p<0.01). The average mummy born piglet numbers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0.38 heads or 0.51 heads, respectively(p<0.05). The average piglet numbers of body weight deficiency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0.02 heads or 0.04 heads, respectively(p<0.05). And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s produced more the average live born piglets including piglets of body weight deficiency and malformation per litter than group housed sows(p<0.01).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s had less occurrence rate of leg disease and abortion rate than group housed sows. Taken together, we take a view that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 ha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group housed sows. Moreover, we have to investigate concer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individual stall typ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s of sows when housed either in groups with electronic sow feeders or stalls. The experiments had 1,112 heads or 763 heads of sow, respectively. The average total born piglet numbers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11.6 heads or 12.2 heads, respectively(p<0.01). The average mummy born piglet numbers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0.38 heads or 0.51 heads, respectively(p<0.05). The average piglet numbers of body weight deficiency per litter of group housing or individual housing were 0.02 heads or 0.04 heads, respectively(p<0.05). And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s produced more the average live born piglets including piglets of body weight deficiency and malformation per litter than group housed sows(p<0.01).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s had less occurrence rate of leg disease and abortion rate than group housed sows. Taken together, we take a view that the sows housed in individual stall ha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group housed sows. Moreover, we have to investigate concer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individual stall typ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