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중 실화영화의 특성과 사회적 의미에 관한 연구 : <도가니>, <디어리스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Significance of Korean and Chinese Documentary Films : Based on the movies "Silenced" and "Dearest"원문보기
현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한 영화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몰랐던 것들과 사회적 메시지를 받고 확인하게 된다. 즉 실화영화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 진다. 사실 실화영화는 지금까지 명확한 장르영화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대중들의 계속된 관심을 받고 좋은 반응을 얻으며 잘 알려진 영화 장르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화영화들은 진실한 사회생활과 날카로운 현실을 묘사함으로써 놀랍고 의아한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로서 한·중 양국 실화영화의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관객들에게 실화라는 정보가 공명을 일으키고 강조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는지, 또 그것이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강렬하게 느끼고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구성되는 요소로 그 구성 기법을 정리하여 사실재현 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지는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한·중 실화영화 각자 표현기법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한·중 양국의 사실 재현 방식으로 표현된 대표적인 작품<도가니>(熔爐, Silenced)와 <디어리스트>(親愛的, Dearest)를 통해 실화영화의 특성과 정보를 표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두 영화에 나타난 서사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가 사회에 미친 영향의 현실적인 면에서는 실화영화에 반영되는 ‘진실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중 양국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화영화를 각색한 관념에 대해 각자의 세 가지 차이점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양국 실화영화가 단순하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가 아니고 실제 사건, 실존 인물과 실제 배경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들을 갖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실화영화는 사실 재현 방식의 특징을 통해 대중들은 정확한 메시지를 받고 몰랐던 것을 알게 되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국의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름으로 인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도 발견하였다. 한국 실화영화는 일반적으로 유형의 틀 안에서 스토리텔링을 하는 모식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중국 실화영화의 서사 구조의 모식은 제작자 개인 창작의 특색을 충분히 발휘해서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실화영화는 사실적인 표현에 따라서 감정적 ...
현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한 영화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몰랐던 것들과 사회적 메시지를 받고 확인하게 된다. 즉 실화영화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 진다. 사실 실화영화는 지금까지 명확한 장르영화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대중들의 계속된 관심을 받고 좋은 반응을 얻으며 잘 알려진 영화 장르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화영화들은 진실한 사회생활과 날카로운 현실을 묘사함으로써 놀랍고 의아한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로서 한·중 양국 실화영화의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관객들에게 실화라는 정보가 공명을 일으키고 강조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는지, 또 그것이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강렬하게 느끼고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구성되는 요소로 그 구성 기법을 정리하여 사실재현 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지는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한·중 실화영화 각자 표현기법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한·중 양국의 사실 재현 방식으로 표현된 대표적인 작품<도가니>(熔爐, Silenced)와 <디어리스트>(親愛的, Dearest)를 통해 실화영화의 특성과 정보를 표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두 영화에 나타난 서사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가 사회에 미친 영향의 현실적인 면에서는 실화영화에 반영되는 ‘진실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중 양국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화영화를 각색한 관념에 대해 각자의 세 가지 차이점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양국 실화영화가 단순하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가 아니고 실제 사건, 실존 인물과 실제 배경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들을 갖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실화영화는 사실 재현 방식의 특징을 통해 대중들은 정확한 메시지를 받고 몰랐던 것을 알게 되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국의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름으로 인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도 발견하였다. 한국 실화영화는 일반적으로 유형의 틀 안에서 스토리텔링을 하는 모식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중국 실화영화의 서사 구조의 모식은 제작자 개인 창작의 특색을 충분히 발휘해서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실화영화는 사실적인 표현에 따라서 감정적 소구를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사회적 범죄사건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한·중 양국 실화영화를 각색한 관념은 상이한 부분이 있고, 그에 대한 세 가지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화영화는 실제사건을 소재로 사회의 비윤리적인 측면을 드러내고 또 삶 속에 무거운 부분들을 영화로 더 사실적으로 접근하게 만들었다. 또한 한·중 양국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사회적 영향을 지니는 실화영화의 차이점도 현저하게 드러난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 실화영화 비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한·중 양국 영화 비교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 데에 의미가 있다. 실화영화가 현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영화 장르로 확립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한·중 영화 비교 연구 및 실화 영화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현실을 바탕으로 제작된 한 영화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몰랐던 것들과 사회적 메시지를 받고 확인하게 된다. 즉 실화영화는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 진다. 사실 실화영화는 지금까지 명확한 장르영화로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대중들의 계속된 관심을 받고 좋은 반응을 얻으며 잘 알려진 영화 장르가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실화영화들은 진실한 사회생활과 날카로운 현실을 묘사함으로써 놀랍고 의아한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나 문화콘텐츠로서 한·중 양국 실화영화의 어떤 특성들이 있는지, 관객들에게 실화라는 정보가 공명을 일으키고 강조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는지, 또 그것이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강렬하게 느끼고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한·중 양국 실화영화에 구성되는 요소로 그 구성 기법을 정리하여 사실재현 방식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어지는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한·중 실화영화 각자 표현기법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한·중 양국의 사실 재현 방식으로 표현된 대표적인 작품<도가니>(熔爐, Silenced)와 <디어리스트>(親愛的, Dearest)를 통해 실화영화의 특성과 정보를 표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두 영화에 나타난 서사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분석하였다. 또한 영화가 사회에 미친 영향의 현실적인 면에서는 실화영화에 반영되는 ‘진실함’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중 양국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화영화를 각색한 관념에 대해 각자의 세 가지 차이점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양국 실화영화가 단순하게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가 아니고 실제 사건, 실존 인물과 실제 배경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들을 갖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실화영화는 사실 재현 방식의 특징을 통해 대중들은 정확한 메시지를 받고 몰랐던 것을 알게 되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국의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름으로 인한 새로운 인식과 정보도 발견하였다. 한국 실화영화는 일반적으로 유형의 틀 안에서 스토리텔링을 하는 모식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중국 실화영화의 서사 구조의 모식은 제작자 개인 창작의 특색을 충분히 발휘해서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었다. 셋째, 실화영화는 사실적인 표현에 따라서 감정적 소구를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사회적 범죄사건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한·중 양국 실화영화를 각색한 관념은 상이한 부분이 있고, 그에 대한 세 가지 원인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화영화는 실제사건을 소재로 사회의 비윤리적인 측면을 드러내고 또 삶 속에 무거운 부분들을 영화로 더 사실적으로 접근하게 만들었다. 또한 한·중 양국 사회 제도와 영화제작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사회적 영향을 지니는 실화영화의 차이점도 현저하게 드러난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 실화영화 비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한·중 양국 영화 비교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 데에 의미가 있다. 실화영화가 현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영화 장르로 확립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한·중 영화 비교 연구 및 실화 영화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We come to receive and confirm long-time unknown things and social messages through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That is, the film based on actual events is produced by reflecting the actual events of the time. In fact,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have not been positioned as a clear-cut genre film...
We come to receive and confirm long-time unknown things and social messages through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That is, the film based on actual events is produced by reflecting the actual events of the time. In fact,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have not been positioned as a clear-cut genre film up to now but continued to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gained good response from them and become the well-known film genre. And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rouse amazing and incredulous feelings by portraying the genuine social life and the sharp reality. But few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what characteristics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have, how the information of actual events should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m and be emphasized and what social meaning they have. This study is conducted out of the necessity for analysis of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First, this study adopted the reconstruction technique as the one comprising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investigated whether they were concretely expressed through the method of realistic reconstruction and made a comparison of their expressive techniques between both countries. Seco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at and , the representative cinematic works of Korea and China expressed in a method of realistic reconstruction, expressed their characteristic and information. A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found in both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In realistic terms of the effect of films on society, it discussed the veracity mirrored in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nd it examined three differences in the idea of adapting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the method of film produ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in both Korea and China were not simply the ones produced based on the true story but equipped with three component elements such as the actual events, the actual characters and the actual backgrou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w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due to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film-making system between both countries.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produced in Korea has a story-telling type in the framework of the type, whereas those in China have the type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has a characteristic of the producer's individual cre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could come to deliver the emotional appeal to viewers in accordance with their realistic expression and assisted them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social criminal events on society. In conclusion,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exhibited the unethical aspect of society with actual events as their material and made heavy parts in life more realistically accessible to viewers. And it was found that owning to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film-making system between both countries,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social effect of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new model of comparison between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and provides basic material for their comparison of both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Korean and Chinese film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films based on actual events.電影作為一種傳播媒介, 是現代科學技術發明的產物, 也是一門視覺和聽覺的現代藝術. 它始終充斥着社會大眾的生活, 人們喜愛電影, 關注電影, 研究電影, 同時也在時時刻刻反思電影. 而近些年來, 出現了一種特殊的電影類型, 也就是本文所研究的紀實電影,即根據真實事件所改編的電影. 事實上, 紀實題材電影並非韓中兩國獨創, 早前就已經出現過根據現實生活中發生的真實事件或以現實人物為原型改變的電影. 本文之所以選取韓中兩國紀實電影作為研究對象, 是因為近段時間兩國這一類型電影的成批出現, 從文化產業內容來說,著實已經成為了一種電影發展現象. 而這些影片被導演與編劇生動地體現在大銀幕前, 呈現出了獨具一格的電影風采, 它不是一蹴而就的娛樂, 而是在盡力還原犯罪懸疑事件同時, 更多是帶給觀眾事件之外的社會思考和情感訴求以及對社會未來發展的美好願望展現時代精神. 然而, 迄今為止, 對這一獨特電影類型的研究可以参考的資料并不多, 希望通過本研究可以對一些相關的問題作出尽可能客觀的梳理和回答. 本研究首先對韓中兩國關於紀實電影構成要素進行了梳理,并分別對韓國中國各自的改編理念進行了對比分析.其次,以兩國紀實題材電影為例, 梳理了此類型電影的特性以及它的表現形式, 接著對兩部電影在敘事結構方面共同點和差異性各自進行了比較. 再次, 在此類型電影的現實主義立場上, 高度評價了其產生的社會意義和積極影響. 由此得出了以下結論. 第一, 韓中兩國紀實電影的構成要素由真實事件, 實存人物和真實背景必要條件組成, 三者缺一不可. 人們透過對紀實題材電影再現方式的特征分析, 從而感受到了影片所傳達的價值觀念, 并獲得對社會的認知與理解. 第二, 兩國在此類影片創作上有較大差異. 中國傾向於淡化真實事件中的爭議性, 而韓國傾向於強化; 中國的改編並不對影片進行明確的類型化劃分,而韓國則是傾向於在類型框架里講述故事; 中國影片更多地從國家立場出發, 而韓國則強調個體敘述. 第三, 紀實題材電影取材於真實生活, 具備強烈且有力批判力量, 其應對社會現實的態度和反應現實的視角, 產生了巨大的社會現實主義意義并贏得了崇高的社會聲譽. 最後, 紀實電影直面社會現實生活, 兼顧生活中的沉重, 讓觀眾通過影片認識現實生活中的諸多複雜性問題, 增進了對社會的認知和理解, 肯定真善美, 鞭撻假醜惡, 提供社會正能量, 最後也做到了價值統一. 在這裡值得注意的是, 由於韓中兩國不同社會制度和電影製作體質的制約, 在此類電影的改編觀念上的差異性十分明顯, 但這種觀念的不同與碰撞, 也將會為紀實題材電影的發展帶來新的契機.
We come to receive and confirm long-time unknown things and social messages through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That is, the film based on actual events is produced by reflecting the actual events of the time. In fact,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have not been positioned as a clear-cut genre film up to now but continued to receive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gained good response from them and become the well-known film genre. And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rouse amazing and incredulous feelings by portraying the genuine social life and the sharp reality. But few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bout what characteristics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have, how the information of actual events should be delivered to the audience to resonate with them and be emphasized and what social meaning they have. This study is conducted out of the necessity for analysis of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First, this study adopted the reconstruction technique as the one comprising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investigated whether they were concretely expressed through the method of realistic reconstruction and made a comparison of their expressive techniques between both countries. Seco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that and , the representative cinematic works of Korea and China expressed in a method of realistic reconstruction, expressed their characteristic and information. A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found in both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In realistic terms of the effect of films on society, it discussed the veracity mirrored in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nd it examined three differences in the idea of adapting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a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the method of film production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in both Korea and China were not simply the ones produced based on the true story but equipped with three component elements such as the actual events, the actual characters and the actual backgrou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ew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due to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film-making system between both countries.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produced in Korea has a story-telling type in the framework of the type, whereas those in China have the type of narrative structure which has a characteristic of the producer's individual cre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could come to deliver the emotional appeal to viewers in accordance with their realistic expression and assisted them in understanding the effect of social criminal events on society. In conclusion,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exhibited the unethical aspect of society with actual events as their material and made heavy parts in life more realistically accessible to viewers. And it was found that owning to a difference in the social system and film-making system between both countries, there was a remarkable difference in the social effect of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a new model of comparison between films based on actual events of Korea and China and provides basic material for their comparison of both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Korean and Chinese film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films based on actual events.電影作為一種傳播媒介, 是現代科學技術發明的產物, 也是一門視覺和聽覺的現代藝術. 它始終充斥着社會大眾的生活, 人們喜愛電影, 關注電影, 研究電影, 同時也在時時刻刻反思電影. 而近些年來, 出現了一種特殊的電影類型, 也就是本文所研究的紀實電影,即根據真實事件所改編的電影. 事實上, 紀實題材電影並非韓中兩國獨創, 早前就已經出現過根據現實生活中發生的真實事件或以現實人物為原型改變的電影. 本文之所以選取韓中兩國紀實電影作為研究對象, 是因為近段時間兩國這一類型電影的成批出現, 從文化產業內容來說,著實已經成為了一種電影發展現象. 而這些影片被導演與編劇生動地體現在大銀幕前, 呈現出了獨具一格的電影風采, 它不是一蹴而就的娛樂, 而是在盡力還原犯罪懸疑事件同時, 更多是帶給觀眾事件之外的社會思考和情感訴求以及對社會未來發展的美好願望展現時代精神. 然而, 迄今為止, 對這一獨特電影類型的研究可以参考的資料并不多, 希望通過本研究可以對一些相關的問題作出尽可能客觀的梳理和回答. 本研究首先對韓中兩國關於紀實電影構成要素進行了梳理,并分別對韓國中國各自的改編理念進行了對比分析.其次,以兩國紀實題材電影為例, 梳理了此類型電影的特性以及它的表現形式, 接著對兩部電影在敘事結構方面共同點和差異性各自進行了比較. 再次, 在此類型電影的現實主義立場上, 高度評價了其產生的社會意義和積極影響. 由此得出了以下結論. 第一, 韓中兩國紀實電影的構成要素由真實事件, 實存人物和真實背景必要條件組成, 三者缺一不可. 人們透過對紀實題材電影再現方式的特征分析, 從而感受到了影片所傳達的價值觀念, 并獲得對社會的認知與理解. 第二, 兩國在此類影片創作上有較大差異. 中國傾向於淡化真實事件中的爭議性, 而韓國傾向於強化; 中國的改編並不對影片進行明確的類型化劃分,而韓國則是傾向於在類型框架里講述故事; 中國影片更多地從國家立場出發, 而韓國則強調個體敘述. 第三, 紀實題材電影取材於真實生活, 具備強烈且有力批判力量, 其應對社會現實的態度和反應現實的視角, 產生了巨大的社會現實主義意義并贏得了崇高的社會聲譽. 最後, 紀實電影直面社會現實生活, 兼顧生活中的沉重, 讓觀眾通過影片認識現實生活中的諸多複雜性問題, 增進了對社會的認知和理解, 肯定真善美, 鞭撻假醜惡, 提供社會正能量, 最後也做到了價值統一. 在這裡值得注意的是, 由於韓中兩國不同社會制度和電影製作體質的制約, 在此類電影的改編觀念上的差異性十分明顯, 但這種觀念的不同與碰撞, 也將會為紀實題材電影的發展帶來新的契機.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