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건설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면서 재해 예방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해경험에 관련된 사항을 항목별로 재해 발생 이전의 안전 의식과 사고 발생에 따른 간접적 원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의식의 향상을 통한 안전관리 활동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3곳의 건설현장 근로자 350명 중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며 재해예방활동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설재해의 간접적 원인 중 정신적(의식, 교육) 건강 정도가 어느 정도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추적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사례분석을 토대로 재해는 간접적 원인 또는 직접적 원인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간접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 간의 ...
본 논문은 건설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면서 재해 예방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해경험에 관련된 사항을 항목별로 재해 발생 이전의 안전 의식과 사고 발생에 따른 간접적 원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의식의 향상을 통한 안전관리 활동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3곳의 건설현장 근로자 350명 중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며 재해예방활동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설재해의 간접적 원인 중 정신적(의식, 교육) 건강 정도가 어느 정도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추적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사례분석을 토대로 재해는 간접적 원인 또는 직접적 원인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간접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 간의 인과관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간접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인적 상해 등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충분히 재해나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평범하지 않은 사건을 의미하는 아차사고는 현장의 분위기나 사회학적인 요인 등 주위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경험이 안전의식과 판단에 어떠한 정확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하고자 연구모형을 재설정하였고 종합적으로 분석된 결과를 가지고 안전의식 및 활동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해발생의 직접적 원인에 비해 간접적 원인이 건설 근로자의 재해발생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가늠해 봄으로써 사고발생의 대한 직접적 원인보다 간접적 원인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고 안전사고와 관련된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에서는 물리적 환경 이외에 개인의 신체・의식적원인과 교육적 원인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은 건설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면서 재해 예방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해경험에 관련된 사항을 항목별로 재해 발생 이전의 안전 의식과 사고 발생에 따른 간접적 원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안전의식의 향상을 통한 안전관리 활동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3곳의 건설현장 근로자 350명 중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재해 발생의 근본적 주체이며 재해예방활동의 궁극적인 대상이 되는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설재해의 간접적 원인 중 정신적(의식, 교육) 건강 정도가 어느 정도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추적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사례분석을 토대로 재해는 간접적 원인 또는 직접적 원인만으로도 발생할 수 있고 간접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 간의 인과관계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는 가정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간접적 원인과 직접적 원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가설적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어떤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인적 상해 등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충분히 재해나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평범하지 않은 사건을 의미하는 아차사고는 현장의 분위기나 사회학적인 요인 등 주위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데 이러한 경험이 안전의식과 판단에 어떠한 정확성을 가지는지를 규명하고자 연구모형을 재설정하였고 종합적으로 분석된 결과를 가지고 안전의식 및 활동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해발생의 직접적 원인에 비해 간접적 원인이 건설 근로자의 재해발생의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가늠해 봄으로써 사고발생의 대한 직접적 원인보다 간접적 원인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하였고 안전사고와 관련된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해 현장에서는 물리적 환경 이외에 개인의 신체・의식적원인과 교육적 원인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ays to improve safety control activities for enhancing safety cognition. This is 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on safety cognition of construction workers and indirect causes leading to the accident. This is done with the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who a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ays to improve safety control activities for enhancing safety cognition. This is 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on safety cognition of construction workers and indirect causes leading to the accident. This is done with the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who are the first subjects to the accident and ones directly related to the accident prevention by going through each item in relation to the accident experiences. To accomplish this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done with total 294 workers out of 350 workers working in three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areas. Afterwards, positive research is done. With the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who are the actual subjects of accident prevention accident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level of mental healthiness (cognition, education), one of the indirect causes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influence accidents. Based on the exemplary analysis, this study has set a hypothesis research model for defining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and direct causes. This is made by summarizing all the assumptions that accidents can happen from direct or indirect causes as well as tha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and direct causes. What is more, industrial accidents, which left no damages of human life but may have led to accidents of disasters, are affected by various surrounding factors such as atmosphere at site or social factors. This study re-set the research model to define how such experiences provide the accurate information to safety cognition and determination. It discusses about ways to improve safety cognition and activities based on result obtain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To conclude, by estimating the influence of indirect causes on possibilities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compared to the direct causes, it was found out from the research that proportion of indirect causes was higher than that of direct causes. Therefore, it was turned out that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to safety accidents, educational causes as well as physical and cognitive causes of each individual inclu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s vit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ays to improve safety control activities for enhancing safety cognition. This is based on statistical analyses on safety cognition of construction workers and indirect causes leading to the accident. This is done with the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who are the first subjects to the accident and ones directly related to the accident prevention by going through each item in relation to the accident experiences. To accomplish this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done with total 294 workers out of 350 workers working in three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 areas. Afterwards, positive research is done. With the workers in construction sites, who are the actual subjects of accident prevention accidents,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level of mental healthiness (cognition, education), one of the indirect causes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influence accidents. Based on the exemplary analysis, this study has set a hypothesis research model for defining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and direct causes. This is made by summarizing all the assumptions that accidents can happen from direct or indirect causes as well as tha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and direct causes. What is more, industrial accidents, which left no damages of human life but may have led to accidents of disasters, are affected by various surrounding factors such as atmosphere at site or social factors. This study re-set the research model to define how such experiences provide the accurate information to safety cognition and determination. It discusses about ways to improve safety cognition and activities based on result obtained from the comprehensive analysis. To conclude, by estimating the influence of indirect causes on possibilities of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s compared to the direct causes, it was found out from the research that proportion of indirect causes was higher than that of direct causes. Therefore, it was turned out that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related to safety accidents, educational causes as well as physical and cognitive causes of each individual includ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s vita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