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중의 대부분이 중국인 학습자이고 일반 목적보다는 특수 목적의 학습이 두드러지며 그 중에 취업 목적이 높은 편이다. 이런 추세에 본고는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기존 비즈니스 교재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하여 보충하고 향후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직장 생활에서 한국어로 원활하게 소통함으로써 비즈니스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기존에 조사된 현재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비즈니스 한국어의 과목 개설 현황과 사용 교재 현황 등을 파악하였고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중국 4년제 대학교의 비즈니스 한국어에 관련 과정이 개설되는 시기는 중급 이상 단계가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가 많이 있으므로 활용도와 구입 난이도에 따라 6권을 선택하여 교재의 현황을 파악한다. 현재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좋은 점, 사용할 때의 불편한 점, 그리고 학습자가 어떠한 교재를 원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그렇지만 예비 취업자로서의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어떠한 업무를 하는지에 대해 모호한 인식만 있으므로 중한 무역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비즈니스맨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의 중요도에 대한 견해와 비즈니스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재가 어떤지를 알아보기를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선의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분석 기준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특성에 부합하는 기준을 추가하여 본고의 분석 항목을 구성하였고 크게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중급 이상의 중국인 학습자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다음에 중한 무역 회사에서 다니고 있는 중국인 작장인 30명(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언어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개선하는 데 각 언어 영역의 비중을 적당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앞의 교재 분석 결과와 설문 조사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기본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습자 중심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사진과 삽화를 적당하게 배열하여 컬러 인쇄를 이용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일으킨다. 세 번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영역에 대한 내용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야 한다. 네 번째, 회사 내에서 상사와 동료, 그리고 고객들과의 대화와 회의, 브리핑 등 말하기 상황이 많으므로 문자와 발음을 같이 제시하고 발음을 연습시킬 수 있도록 듣기 ...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중의 대부분이 중국인 학습자이고 일반 목적보다는 특수 목적의 학습이 두드러지며 그 중에 취업 목적이 높은 편이다. 이런 추세에 본고는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기존 비즈니스 교재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하여 보충하고 향후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직장 생활에서 한국어로 원활하게 소통함으로써 비즈니스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기존에 조사된 현재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비즈니스 한국어의 과목 개설 현황과 사용 교재 현황 등을 파악하였고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중국 4년제 대학교의 비즈니스 한국어에 관련 과정이 개설되는 시기는 중급 이상 단계가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가 많이 있으므로 활용도와 구입 난이도에 따라 6권을 선택하여 교재의 현황을 파악한다. 현재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좋은 점, 사용할 때의 불편한 점, 그리고 학습자가 어떠한 교재를 원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그렇지만 예비 취업자로서의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어떠한 업무를 하는지에 대해 모호한 인식만 있으므로 중한 무역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비즈니스맨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의 중요도에 대한 견해와 비즈니스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재가 어떤지를 알아보기를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선의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분석 기준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특성에 부합하는 기준을 추가하여 본고의 분석 항목을 구성하였고 크게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중급 이상의 중국인 학습자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다음에 중한 무역 회사에서 다니고 있는 중국인 작장인 30명(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언어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개선하는 데 각 언어 영역의 비중을 적당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앞의 교재 분석 결과와 설문 조사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기본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습자 중심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사진과 삽화를 적당하게 배열하여 컬러 인쇄를 이용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일으킨다. 세 번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영역에 대한 내용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야 한다. 네 번째, 회사 내에서 상사와 동료, 그리고 고객들과의 대화와 회의, 브리핑 등 말하기 상황이 많으므로 문자와 발음을 같이 제시하고 발음을 연습시킬 수 있도록 듣기 CD 및 워크북 등을 개발하여 바쁜 일정 속에서도 어디서나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째, 학습자가 교실 내에서 실제 비즈니스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그 상황에 대한 기본 표현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과제 및 활동을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 여섯 번째,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여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 번째, 업무나 비즈니스 상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 번째, 교재 단원 구성을 설펴보면, 학습 과제를 알려주는 도입으로 시작하여 학습 내용을 전개하여 학습시키고, 이어서 학습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연습을 통해 배운 지식을 여러 상황에 적용해 보거나 잘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더 보충해 보는 것으로 마무리를 해야 한다. 아홉 번째, 비즈니스 상황 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회사 문화나 직장 예절과 같은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단순한 학습자 요구 분석과 달리 현지 사용 교재에 대해 분석하여 교재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와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를 결합하여 그 조사 결과를 반영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 효과적인 업무 처리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그렇지만 비즈니스 한국어 분석 교재의 선정과 설문 조사 대상의 선정은 일반화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 확실히 말할 수 없다. 앞으로 비즈니스 교육 현장과 업무 현장에서 다양한 실태 조사를 하고 이 조사를 근거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도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업무 현장에서도 직장인의 업무 처리 효율과 더 원활한 인계관계를 형성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의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중의 대부분이 중국인 학습자이고 일반 목적보다는 특수 목적의 학습이 두드러지며 그 중에 취업 목적이 높은 편이다. 이런 추세에 본고는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기존 비즈니스 교재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하여 보충하고 향후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 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직장 생활에서 한국어로 원활하게 소통함으로써 비즈니스 현장에 적응할 수 있는 데 도움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기존에 조사된 현재 중국 4년제 대학교에서 비즈니스 한국어의 과목 개설 현황과 사용 교재 현황 등을 파악하였고 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중국 4년제 대학교의 비즈니스 한국어에 관련 과정이 개설되는 시기는 중급 이상 단계가 일반적이다. 또한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가 많이 있으므로 활용도와 구입 난이도에 따라 6권을 선택하여 교재의 현황을 파악한다. 현재 재학 중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사용하고 있는 교재의 좋은 점, 사용할 때의 불편한 점, 그리고 학습자가 어떠한 교재를 원하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그렇지만 예비 취업자로서의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어떠한 업무를 하는지에 대해 모호한 인식만 있으므로 중한 무역회사에서 일하고 있는 비즈니스맨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의 중요도에 대한 견해와 비즈니스 업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재가 어떤지를 알아보기를 바탕으로 향후 교재 개선의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분석 기준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특성에 부합하는 기준을 추가하여 본고의 분석 항목을 구성하였고 크게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중급 이상의 중국인 학습자 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실태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다음에 중한 무역 회사에서 다니고 있는 중국인 작장인 30명(남녀 각 15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현장에서 한국어의 사용 빈도와 한국어 언어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반영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개선하는 데 각 언어 영역의 비중을 적당하게 조절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앞의 교재 분석 결과와 설문 조사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해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기본 모형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습자 중심의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두 번째, 사진과 삽화를 적당하게 배열하여 컬러 인쇄를 이용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호기심을 일으킨다. 세 번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는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영역에 대한 내용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야 한다. 네 번째, 회사 내에서 상사와 동료, 그리고 고객들과의 대화와 회의, 브리핑 등 말하기 상황이 많으므로 문자와 발음을 같이 제시하고 발음을 연습시킬 수 있도록 듣기 CD 및 워크북 등을 개발하여 바쁜 일정 속에서도 어디서나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째, 학습자가 교실 내에서 실제 비즈니스 상황을 예측할 수 있고 그 상황에 대한 기본 표현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과제 및 활동을 교재에 반영해야 한다. 여섯 번째,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하여 교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 번째, 업무나 비즈니스 상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덟 번째, 교재 단원 구성을 설펴보면, 학습 과제를 알려주는 도입으로 시작하여 학습 내용을 전개하여 학습시키고, 이어서 학습 내용을 정리한 다음에 연습을 통해 배운 지식을 여러 상황에 적용해 보거나 잘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더 보충해 보는 것으로 마무리를 해야 한다. 아홉 번째, 비즈니스 상황 내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회사 문화나 직장 예절과 같은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단순한 학습자 요구 분석과 달리 현지 사용 교재에 대해 분석하여 교재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와 실제 비즈니스 현장에서 일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를 결합하여 그 조사 결과를 반영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들은 비즈니스 현장에서 더 효과적인 업무 처리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기대된다. 그렇지만 비즈니스 한국어 분석 교재의 선정과 설문 조사 대상의 선정은 일반화가 될 수 있는지 없는지 확실히 말할 수 없다. 앞으로 비즈니스 교육 현장과 업무 현장에서 다양한 실태 조사를 하고 이 조사를 근거로 하여 교육 현장에서도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업무 현장에서도 직장인의 업무 처리 효율과 더 원활한 인계관계를 형성시킬 수 있는 비즈니스 한국어의 후속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Most of the learners who learn Korean are Chinese learners, and special purpose learning is more common than general purpose. In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used at Chinese four - year universitie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quantitative ...
Most of the learners who learn Korean are Chinese learners, and special purpose learning is more common than general purpose. In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used at Chinese four - year universitie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s of existing business textbook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future business Korean textbooks.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business scene by communicating smoothly in Korean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existing data, it is found that the period of opening the relevant courses in the business Korean language at Chinese four-year universities is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It is common. Also, because there are a lot of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by Chinese universities, 6 book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and difficulty of purchasing, and the status of the textbooks is grasped. Korean learner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will find out what they are using, what is inconvenient, and what kind of materials they want. However, since learners as preliminary employees are ambiguous about what they do in the business scene, businesspeople who work in a medium-sized trading company should be aware of the frequency of use of Korean language in the business scene and their opinions 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I will try to find ways to improve the textbooks based on learning what kind of textbooks can be helpful for business affairs. Based on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analytical criterion is divided into 'type' and 'content' by adding criteria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business Korean textbook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for 15 Chinese learners and 15 Chinese learners, we conducted a survey of 30 Chinese characters (15 male and 15 female)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ability were investigated. And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of each language area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improve business Korean textbooks reflect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ext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the basic model of the business Korean textbook was suggested by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this study.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er-centered teaching materials. Second, arrange pictures and illustrations appropriately to make use of color printing, attracting learners' interest and curiosity. Third, Business Korean textbooks should be balanced with respect to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areas. Fourth, in the company, there will be a lot of situations such as conversations, meetings, briefings, etc. with the boss and his colleagues and customers in the company. He developed the listening CD and workbook so that he could present the letter and pronunciation together and practice pronunciation. Learning. Fifth, the learner should be able to grasp the actual work situation in the classroom and reflect the task activity that can fully utilize the basic expression of the situation in the textbook. Sixt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considering languag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done. Seventh, learning should be done to help understand business situations or work. Eighth, the basic unit of textbook is unit. If you look at the composition of the unit, you can start by introducing the learning task, develop the learning contents, organize the learning contents, and finally apply the learned contents to various situations or supplement the deficient parts It finishes by seeing. Ninth, we need to provide cultural common sense and business etiquett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business situ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situation of textbooks by analyzing local teaching materials, unlike simple learner needs analysi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business Korean textbooks reflecting the results of surveys of actual workers in actual business sites. It is also expected that Korean learners can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business process and smooth communication in the business scene.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business Korean analysis textbook and the selection of the questionnaire can not be sure whether it is generalization or not.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business Korean will be continued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various surveys on the business scene in the future.
Most of the learners who learn Korean are Chinese learners, and special purpose learning is more common than general purpose. In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siness Korean textbooks used at Chinese four - year universitie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ontents of existing business textbook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future business Korean textbooks. In addition,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adapt to the business scene by communicating smoothly in Korean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existing data, it is found that the period of opening the relevant courses in the business Korean language at Chinese four-year universities is intermediate level or higher. It is common. Also, because there are a lot of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by Chinese universities, 6 book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and difficulty of purchasing, and the status of the textbooks is grasped. Korean learner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will find out what they are using, what is inconvenient, and what kind of materials they want. However, since learners as preliminary employees are ambiguous about what they do in the business scene, businesspeople who work in a medium-sized trading company should be aware of the frequency of use of Korean language in the business scene and their opinions 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I will try to find ways to improve the textbooks based on learning what kind of textbooks can be helpful for business affairs. Based on the criteria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 analytical criterion is divided into 'type' and 'content' by adding criteria that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business Korean textbook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business Korean textbooks for 15 Chinese learners and 15 Chinese learners, we conducted a survey of 30 Chinese characters (15 male and 15 female)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ability were investigated. And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of each language area should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improve business Korean textbooks reflect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ext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the basic model of the business Korean textbook was suggested by suggesting the improvement plan of this study.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arner-centered teaching materials. Second, arrange pictures and illustrations appropriately to make use of color printing, attracting learners' interest and curiosity. Third, Business Korean textbooks should be balanced with respect to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areas. Fourth, in the company, there will be a lot of situations such as conversations, meetings, briefings, etc. with the boss and his colleagues and customers in the company. He developed the listening CD and workbook so that he could present the letter and pronunciation together and practice pronunciation. Learning. Fifth, the learner should be able to grasp the actual work situation in the classroom and reflect the task activity that can fully utilize the basic expression of the situation in the textbook. Sixth,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considering languag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done. Seventh, learning should be done to help understand business situations or work. Eighth, the basic unit of textbook is unit. If you look at the composition of the unit, you can start by introducing the learning task, develop the learning contents, organize the learning contents, and finally apply the learned contents to various situations or supplement the deficient parts It finishes by seeing. Ninth, we need to provide cultural common sense and business etiquett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business situa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situation of textbooks by analyzing local teaching materials, unlike simple learner needs analysi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business Korean textbooks reflecting the results of surveys of actual workers in actual business sites. It is also expected that Korean learners can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business process and smooth communication in the business scene. However, the selection of the business Korean analysis textbook and the selection of the questionnaire can not be sure whether it is generalization or not.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business Korean will be continued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various surveys on the business scene in the fut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