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원문보기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변화에 적응하며 다양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다. 정보를 선별하고 조직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 장면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학습 방법 및 사고 과정, 행동 등을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초인지(metacognition) 능력이 필요하며, 초인지 전략(metacognitive strategies)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해가는 전략이다. 초인지 전략은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초등학생에 해당하는 연령대에 가장 발달한다(Ghetti, Lyons, Lazzarin, & Cornoldi, 2008; Karably & Zabrucky, 2009; Roderer & Roebers, 2010).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초인지 전략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수준에서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목표점검활동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를 조절하고 통제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연관성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여 스스로 학습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목표점검활동을 통해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도록 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인지 전략의 계획(...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변화에 적응하며 다양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다. 정보를 선별하고 조직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 장면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학습 방법 및 사고 과정, 행동 등을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초인지(metacognition) 능력이 필요하며, 초인지 전략(metacognitive strategies)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해가는 전략이다. 초인지 전략은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초등학생에 해당하는 연령대에 가장 발달한다(Ghetti, Lyons, Lazzarin, & Cornoldi, 2008; Karably & Zabrucky, 2009; Roderer & Roebers, 2010).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초인지 전략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수준에서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목표점검활동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를 조절하고 통제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연관성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여 스스로 학습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목표점검활동을 통해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도록 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인지 전략의 계획(planning), 점검(monitoring), 조절(regulating) 단계에 따라 학생들이 목표 설정, 목표 실천, 목표 점검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목표점검활동을 설계하였다. 활동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을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배부하였으며 활동 방법에 대한 안내 및 적응 기간을 거친 뒤, 12주 동안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의 한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통제 집단 29명과 실험 집단 29명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처치 기간 동안 목표점검활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두 집단의 담임교사는 실험 기간 동안 학습 진도, 학습 자료 및 교수 방법 등을 수시 협의하여 동일하게 투입하였다. 두 집단에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검증한 뒤,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의 활동 기록장 및 설문지를 분석하여 결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별로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지조절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조절 영역에 대해 세부 요인별 통계분석을 추가로 실시한 결과 초인지 전략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과목 점수의 평균을 학업성취도로 사용하였는데,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국어와 사회 과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활동 기록장 분석 결과 학생들의 목표 달성 비율에서 과목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목표 달성 비율이 높았던 국어와 사회 과목에서 긍정적 효과가 드러난 것으로 해석되었다.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의 활동 기록장 및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활동 기록장에 나타난 학생들의 활동 수행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활동에 참여한 정도, 목표를 달성한 정도, 자기평가의 실시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느낀 목표점검활동의 유용성, 성공 및 실패 요인, 장단점 등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보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에게 초인지 전략을 학습시킬 도구로써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목표점검활동은 활동 방법만 익히면 기록장의 흐름에 따라 용이하게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과별 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초등 교육의 특성에 따라 특정 과목에 국한된 활동이 아니라 다양한 학습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점검활동은 초등학생의 학습에서 초인지 전략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초인지 전략을 구체화시킨 활동을 설계하고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초인지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전략임을 검증하였다. 자기조절학습에서 초인지 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Zimmerman, 1986), 본 연구에서는 초인지 전략을 구체적인 활동으로 설계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초인지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밝혔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 초인지 전략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초인지 전략이 특정 교과에서뿐만 아니라 범교과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개별 교과의 수업에 초인지 전략을 적용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특정 수업 시간에만 한정된 활동이 아니라 하루 동안의 다양한 학습 장면에서 초인지 전략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초인지적 사고를 함양하여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초인지 전략의 범교과적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초인지 전략이 교과를 아울러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중요한 것은 변화에 적응하며 다양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다. 정보를 선별하고 조직하며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학습 장면에서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신의 학습 방법 및 사고 과정, 행동 등을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초인지(metacognition) 능력이 필요하며, 초인지 전략(metacognitive strategies)이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과정을 계획하고 점검하며 조절해가는 전략이다. 초인지 전략은 훈련을 통해 개발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초등학생에 해당하는 연령대에 가장 발달한다(Ghetti, Lyons, Lazzarin, & Cornoldi, 2008; Karably & Zabrucky, 2009; Roderer & Roebers, 2010).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초인지 전략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수준에서 초인지 전략을 연습할 수 있는 목표점검활동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인지 전략은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사고를 조절하고 통제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연관성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 목표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하여 스스로 학습 과정을 조절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목표점검활동을 통해 초인지 전략을 활용하도록 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초인지 전략의 계획(planning), 점검(monitoring), 조절(regulating) 단계에 따라 학생들이 목표 설정, 목표 실천, 목표 점검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목표점검활동을 설계하였다. 활동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을 제작하여 학생들에게 배부하였으며 활동 방법에 대한 안내 및 적응 기간을 거친 뒤, 12주 동안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의 한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통제 집단 29명과 실험 집단 29명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처치 기간 동안 목표점검활동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두 집단의 담임교사는 실험 기간 동안 학습 진도, 학습 자료 및 교수 방법 등을 수시 협의하여 동일하게 투입하였다. 두 집단에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검증한 뒤, 실험 처치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독립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의 활동 기록장 및 설문지를 분석하여 결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요인별로는 동기조절과 행동조절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인지조절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인지조절 영역에 대해 세부 요인별 통계분석을 추가로 실시한 결과 초인지 전략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과목 점수의 평균을 학업성취도로 사용하였는데,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학업성취도가 통제집단의 학업성취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는 국어와 사회 과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활동 기록장 분석 결과 학생들의 목표 달성 비율에서 과목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목표 달성 비율이 높았던 국어와 사회 과목에서 긍정적 효과가 드러난 것으로 해석되었다.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의 활동 기록장 및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활동 기록장에 나타난 학생들의 활동 수행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활동에 참여한 정도, 목표를 달성한 정도, 자기평가의 실시 여부를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느낀 목표점검활동의 유용성, 성공 및 실패 요인, 장단점 등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보충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인지 전략을 활용한 목표점검활동이 초등학생에게 초인지 전략을 학습시킬 도구로써 활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목표점검활동은 활동 방법만 익히면 기록장의 흐름에 따라 용이하게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과별 통합 및 교육과정 재구성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초등 교육의 특성에 따라 특정 과목에 국한된 활동이 아니라 다양한 학습 장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목표점검활동은 초등학생의 학습에서 초인지 전략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될 수 있으며, 본 연구는 초인지 전략을 구체화시킨 활동을 설계하고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초인지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는 전략임을 검증하였다. 자기조절학습에서 초인지 전략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Zimmerman, 1986), 본 연구에서는 초인지 전략을 구체적인 활동으로 설계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초인지 전략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밝혔으며,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 초인지 전략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초인지 전략이 특정 교과에서뿐만 아니라 범교과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개별 교과의 수업에 초인지 전략을 적용한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특정 수업 시간에만 한정된 활동이 아니라 하루 동안의 다양한 학습 장면에서 초인지 전략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초인지적 사고를 함양하여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초인지 전략의 범교과적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초인지 전략이 교과를 아울러 능동적인 학습을 위한 중요한 전략적 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What is important for learners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i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e and utilize diverse knowledge. It is important that the learners actively lead their learning in the learning scene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organize and utilize a large amount of inform...
What is important for learners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i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e and utilize diverse knowledge. It is important that the learners actively lead their learning in the learning scene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organize and utiliz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For this, metacognition is needed because it can help learners to recognize and control their own learning method, thinking process, and behavior. Also, metacognitive strategies that learners plan, monitor, and regulate their own learning process are needed.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developed through training and are most developed in elementary school age in Korea(Ghetti, Lyons, Lazzarin, & Cornoldi, 2008; Karably & Zabrucky, 2009; Roderer & Roebers, 20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by suggesting the activity to practice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Goal-monitoring activity is designed to apply students to practice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that they regulates and controls learners’ thinking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y can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re the ability to control the learning process on its own using various strategies to achieve learning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that is designed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goal-monitoring activity has been designed, which enables students to set, practice and monitor their own goal cyclically according to 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ng stage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Students were instructed on how to perform activitie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and performed the goal-monitoring activity for 12 wee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9 control groups and 29 experimental groups. Teachers of both groups made the same progress with learning progres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Both groups were tested pre-tes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ollowed by post-test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tudents' activity logbook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motive control and behavior control by sub-facto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control areas. Cognitive control areas include cognitive strategy factors and metacognitive strategy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acognitive strategy factors as a result of detailed factor analysis for cognitive control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mean of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 scores was used as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in the Korean and the social studi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of mathematics and science. Analysis of the activity logbooks revealed that percentage of goals achieved was different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e Korean and social studies subjects with high goal achievement. Activity logbook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goal, and whether the self-evalua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ogbooks. In addition, the usefulness,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that the students felt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These analyses were supplemented with discussion of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firm tha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ollowing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used as a tool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metacognitive strategies. This activity has been designed to be easy to follow by writing logbooks.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various learning scenes because it is not an activity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It is useful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frequently happen. Therefore, the goal-monitoring activity can be a tool to naturally acquir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that embodied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n activity and applied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In self-regulated learning, metacognitive strategies play an important role(Zimmerman, 1986).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by designing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as the specific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at they can be useful for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applied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cross-curricular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apply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o the lessons of the individual subject,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ies in various learning scenes of the day instead of only the activities of the specific cla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by improving metacognitive think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one of important strategic learn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ive learning regardless of subject matter.
What is important for learners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is the ability to adapt to change and utilize diverse knowledge. It is important that the learners actively lead their learning in the learning scene in order to develop the ability to select, organize and utilize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For this, metacognition is needed because it can help learners to recognize and control their own learning method, thinking process, and behavior. Also, metacognitive strategies that learners plan, monitor, and regulate their own learning process are needed.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developed through training and are most developed in elementary school age in Korea(Ghetti, Lyons, Lazzarin, & Cornoldi, 2008; Karably & Zabrucky, 2009; Roderer & Roebers, 20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by suggesting the activity to practice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Goal-monitoring activity is designed to apply students to practice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are related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that they regulates and controls learners’ thinking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y can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re the ability to control the learning process on its own using various strategies to achieve learning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that is designed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at are the effect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the goal-monitoring activity has been designed, which enables students to set, practice and monitor their own goal cyclically according to 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ng stage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Students were instructed on how to perform activities during the adaptation period and performed the goal-monitoring activity for 12 wee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9 control groups and 29 experimental groups. Teachers of both groups made the same progress with learning progress,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Both groups were tested pre-tes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followed by post-test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students' activity logbook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s of motive control and behavior control by sub-facto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control areas. Cognitive control areas include cognitive strategy factors and metacognitive strategy facto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tacognitive strategy factors as a result of detailed factor analysis for cognitive control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mean of Korean, social studies,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 scores was used as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jects in the Korean and the social studi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jects of mathematics and science. Analysis of the activity logbooks revealed that percentage of goals achieved was different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e Korean and social studies subjects with high goal achievement. Activity logbook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used for analyzing the results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ctivity,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goal, and whether the self-evaluation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logbooks. In addition, the usefulness,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nd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goal-monitoring activity that the students felt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These analyses were supplemented with discussion of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firm tha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ollowing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the goal-monitoring activity based on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used as a tool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earn metacognitive strategies. This activity has been designed to be easy to follow by writing logbooks. In addition, it can be used in various learning scenes because it is not an activity limited to specific subjects. It is useful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frequently happen. Therefore, the goal-monitoring activity can be a tool to naturally acquire metacognitive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ear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that embodied metacognitive strategies in an activity and applied i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promote self-regulated learning. In self-regulated learning, metacognitive strategies play an important role(Zimmerman, 1986).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by designing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as the specific activit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at they can be useful for improvi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applied not only individually but also cross-curricular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apply the metacognitive strategies to the lessons of the individual subject,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utilize metacognitive strategies in various learning scenes of the day instead of only the activities of the specific cla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by improving metacognitive thinking. And it was confirmed that metacognitive strategies can be one of important strategic learn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tive learning regardless of subject mat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