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
최근 ‘제4차 산업혁명’이 세계적인 화두로 논의되고 있다.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물리적 공간에 제약받지 않는 사물인터넷의 기술이 미래의 도시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혁신적 변화는 지능형(AI)기술 등과 연계하여 안전관리분야에서도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세월호 사고 등 크고 작은 사고들이 발생하면서 안전관리에 대한 규정이 법 전반에 걸쳐 강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고시 제2016-16호‘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가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지만 사회 전반의 제도적문제 등의 해결 없이 제대로 된 안전관리가 될 것인지 의문이 있다. 안전관리자의 중복선임, 위탁관리의 문제, 저임금, 전문 인력 부족 및 안전관리의 의식 결여 등의 현실 속에서는 안전관리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기안전 관리는 안전관리자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현행 전기안전관리 제도는 전기사업과 공급, 공사계획의 인가 및 신고, 전기설비의 유지관리 등과 관련된 검사 및 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 등은 ‘전기사업법’, 전력설계 및 감리는 ‘전력기술관리법’, 전기공사와 관련된 안전에 대해서는 ‘전기공사업법’, 전기용품에 관해서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등 전기안전 관련기관이 분산되어 있다. 안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전기안전관리와 관련된 법령의 분산을 한데 모아 ‘전기안전관리법’의 제정이 필요하며 ‘전기안전관리법’은 에너지저장장치(ESS)나 에너지 프로슈머(energy ...
저자 | 조영태 |
---|---|
학위수여기관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전기공학전공 |
지도교수 | 김진오 |
발행연도 | 2018 |
총페이지 | vii, 63 p. |
키워드 | 전기공학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4698331&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