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요한계시록 12장을 신화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종말적 전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요한계시록이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해석적 전통들 가운데 서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락마다 세 모티프들을 중첩 사용하여 종말적 거룩한 전쟁을 기술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신화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요한이 왜 세 모티프를 각 단락(계 12:1-6, 7-12, 13-17)마다 중첩 사용하여 교회와 사탄 간의 ...
그동안 요한계시록 12장을 신화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종말적 전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요한계시록이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해석적 전통들 가운데 서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락마다 세 모티프들을 중첩 사용하여 종말적 거룩한 전쟁을 기술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신화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요한이 왜 세 모티프를 각 단락(계 12:1-6, 7-12, 13-17)마다 중첩 사용하여 교회와 사탄 간의 종말적 전쟁을 기술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모티프를 중첩 사용한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을 다음과 같이 살펴볼 것이다.
제1부에서는 신약의 구약 사용 방법론을 살펴보고 요한계시록 12장에 등장하는 세 모티프를 연구한 학자들의 연구사를 개괄하여 기여 및 한계를 짚어 본다. 특히 요한계시록은 인용보다는 암시(allusion)의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기에 여기서는 암시의 4가지 판별 기준을 토대로 분석할 것이다.
제2부와 3부에서는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 나타난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을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째, 여자-뱀 후손 간의 대결 구도 모티프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는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는 ‘여자의 후손’을 개인적 의미의 메시아와 집합적 의미의 하나님 백성으로 본다. 지금까지는 창세기 3:15의 선언을 원복음으로 이해하여 메시아를 통해서만 성취될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연구를 통해 이 예언이 하나님의 백성을 통해서도 재현되고 당대에 성취되어 왔음을 규명할 것이다.
둘째, 세 모티프들은 독립적인 관계가 아닌 중요한 신학적 주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3:15에서 시작된 여자의 후손과 뱀의 후손 간에 대결 구도가 민족적 차원으로 발전한 것이 출애굽 모티프이며, 이 대결 구도 가운데 거룩한 용사이신 하나님이 개입할 경우 거룩한 전쟁 모티프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티프 상호 간의 관계를 통해 각 모티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모티프들을 연결시켜 주는 개념은 바로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 그리고 ‘하나님의 계명 순종’이다.
제4부에서는 2부와 3부의 연구를 토대로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거룩한 전쟁 신학이 무엇인가를 다룬다. 여기서는 당시 로마 황제 숭배라는 위기로 인해 핍박과 순교의 상황 가운데 있는 교회 공동체를 향해 요한이 세 모티프의 렌즈로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점에서 세 모티프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해석하는데 다음과 같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첫째, 요한계시록 12:9는 여자의 후손인 메시아가 뱀의 후손인 사탄을 쳐서 승리하였음을 선언함으로써 창세기 3:15의 성취를 보여준다. 이 승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계 12:11). 메시아가 사탄의 머리를 쳐서 이미 승리한 전쟁이지만, 지상에 있는 교회 공동체는 아직 남아 있는 두 짐승과 싸워야 한다. 전자는 기독론적 관점에서 거룩한 전쟁을 묘사하며 후자는 교회론적 관점에서 사탄과 영적 전쟁을 기술한다. 요한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 여자의 후손을 메시아와 하나님 백성으로 보는 해석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둘째, 요한계시록 12:17은 사탄과 싸우는 교회를 향해 ‘여자의 후손의 남은 자들’로 지칭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공동체’로 제시한다. 여기서 ‘하나님의 계명 순종’은 사탄과 싸우는 중요한 전쟁 무기에 해당한다. 요한은 지상에서 사탄과 남은 전쟁을 싸워야 하는 교회 공동체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함으로 싸워야 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세 모티프는 요한계시록 12장에서 제시하는 전쟁 신학의 뼈대를 이루며 이러한 전쟁 신학은 이방 신화의 전통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요소들이다. 결론적으로 논자는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 연구를 통해 요한계시록 12장이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해석적 전통 가운데 있으며 창세기 3:15의 거대한 구속의 역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를 다룰 것이다. 이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단편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전통을 통해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그동안 요한계시록 12장을 신화적 관점에서 해석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접근은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종말적 전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한계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요한계시록이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해석적 전통들 가운데 서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단락마다 세 모티프들을 중첩 사용하여 종말적 거룩한 전쟁을 기술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신화적 해석의 한계를 극복하고 요한이 왜 세 모티프를 각 단락(계 12:1-6, 7-12, 13-17)마다 중첩 사용하여 교회와 사탄 간의 종말적 전쟁을 기술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모티프를 중첩 사용한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을 다음과 같이 살펴볼 것이다.
제1부에서는 신약의 구약 사용 방법론을 살펴보고 요한계시록 12장에 등장하는 세 모티프를 연구한 학자들의 연구사를 개괄하여 기여 및 한계를 짚어 본다. 특히 요한계시록은 인용보다는 암시(allusion)의 방법을 대부분 사용하기에 여기서는 암시의 4가지 판별 기준을 토대로 분석할 것이다.
제2부와 3부에서는 구약(HB & LXX)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 나타난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을 다음과 같이 고찰한다.
첫째, 여자-뱀 후손 간의 대결 구도 모티프를 암시적으로 사용하는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는 ‘여자의 후손’을 개인적 의미의 메시아와 집합적 의미의 하나님 백성으로 본다. 지금까지는 창세기 3:15의 선언을 원복음으로 이해하여 메시아를 통해서만 성취될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의 연구를 통해 이 예언이 하나님의 백성을 통해서도 재현되고 당대에 성취되어 왔음을 규명할 것이다.
둘째, 세 모티프들은 독립적인 관계가 아닌 중요한 신학적 주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창세기 3:15에서 시작된 여자의 후손과 뱀의 후손 간에 대결 구도가 민족적 차원으로 발전한 것이 출애굽 모티프이며, 이 대결 구도 가운데 거룩한 용사이신 하나님이 개입할 경우 거룩한 전쟁 모티프로 발전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티프 상호 간의 관계를 통해 각 모티프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세 모티프들을 연결시켜 주는 개념은 바로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 그리고 ‘하나님의 계명 순종’이다.
제4부에서는 2부와 3부의 연구를 토대로 요한계시록 12장이 제시하는 거룩한 전쟁 신학이 무엇인가를 다룬다. 여기서는 당시 로마 황제 숭배라는 위기로 인해 핍박과 순교의 상황 가운데 있는 교회 공동체를 향해 요한이 세 모티프의 렌즈로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이 점에서 세 모티프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해석하는데 다음과 같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시한다.
첫째, 요한계시록 12:9는 여자의 후손인 메시아가 뱀의 후손인 사탄을 쳐서 승리하였음을 선언함으로써 창세기 3:15의 성취를 보여준다. 이 승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계 12:11). 메시아가 사탄의 머리를 쳐서 이미 승리한 전쟁이지만, 지상에 있는 교회 공동체는 아직 남아 있는 두 짐승과 싸워야 한다. 전자는 기독론적 관점에서 거룩한 전쟁을 묘사하며 후자는 교회론적 관점에서 사탄과 영적 전쟁을 기술한다. 요한은 구약과 초기 유대교 문헌에서 여자의 후손을 메시아와 하나님 백성으로 보는 해석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둘째, 요한계시록 12:17은 사탄과 싸우는 교회를 향해 ‘여자의 후손의 남은 자들’로 지칭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계명을 지키는 공동체’로 제시한다. 여기서 ‘하나님의 계명 순종’은 사탄과 싸우는 중요한 전쟁 무기에 해당한다. 요한은 지상에서 사탄과 남은 전쟁을 싸워야 하는 교회 공동체가 바로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함으로 싸워야 함을 강조한다.
이와 같이 세 모티프는 요한계시록 12장에서 제시하는 전쟁 신학의 뼈대를 이루며 이러한 전쟁 신학은 이방 신화의 전통으로는 해석될 수 없는 요소들이다. 결론적으로 논자는 세 모티프의 중첩 사용 연구를 통해 요한계시록 12장이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해석적 전통 가운데 있으며 창세기 3:15의 거대한 구속의 역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를 다룰 것이다. 이 연구는 요한계시록 12장을 단편적으로 이해하지 않고 구약과 초기 유대교의 전통을 통해 통합적으로 볼 수 있는 신학적 기초를 제공한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interpret Revelation 12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was destined to face limitations in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what the apocalyptic war presented in Revelation 12 would look like. The reason for it lies not only in the fact that th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interpret Revelation 12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was destined to face limitations in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what the apocalyptic war presented in Revelation 12 would look like. The reason for it lies not only in the fact that the Book of Revelation stands in the midst of interpretive traditions of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but also in description of apocalyptic, holy war using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in an overlapped mann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mythical interpretations and to identify why John seeks to describe the apocalyptic war between the church and the satan by the use of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Revelation 12:1-6, 7-12, 13-17).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take a look into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used the three motifs in an overlapped manner as described below.
Part 1 examines the methodology of interpreting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New Testament, outlines the history of researches conducted by scholars who studied the three motifs in Revelation 12 and summariz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In particular, Revelation uses allusion rather than citation, so analysis will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of differentiation.
Part 2 and 3 examine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that are seen in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Old Testament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make an implicit use of the motif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regard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s an individual meaning and the God’s people in the collective sense. So far, we have understood the declaration in Genesis 3:15 as protoevangelium and something to be fulfilled through the Messiah only. In this vein, this paper will estab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this prophecy was reproduced through the God's people and was fulfilled in their time as well.
Second, the three motifs are closely linked to important theological topics instead of being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It is the Exodus motif that develop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into the ethnic level, and into a holy war if God, the divine warrior, intervenes in this confrontation.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se motifs reveal that they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e concept of links these three motifs is 'God's salvation and judgment' and ‘obedience to the God's commandment.'
Part 4 deals with the holy war theology presented in Revelation 12 according to the study in Part 2 and 3.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what message John is trying to convey through the lens of the three motifs to the church community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martyrdom caused by the crisis of Roman emperor worship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three overlapping motifs presents the following new insights in interpreting Revelation 12:
First, Revelation 12:9 shows the fulfillment of Genesis 3:15 by declaring that the Messiah, the woman’s descendant, defeated and triumphed over the Satan, the serpent’s descendant. This triumph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Revelation 12:11). It was a foregone victory of the Messiah upon hitting the satan’s head but the church community on earth must fight still against the remaining two beasts. The former describes the holy war from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while the latter depicts the Satan and a spiritual warfare from an ecclesiastical perspective. John follows the interpretive tradition that views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nd the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Second, Revelation 12:17 refers to the church fighting against the Satan not only as the "remnants of the woman’s offspring" but also as the "community that keeps the God’s commandments". 'Obeying God's commandments' in this context is an important weapon to fight against the Satan with. John emphasizes that the Church community destined to fight the remaining wars against the Satan on earth should fight by testifying Jesus Christ.
As such, the three motifs constitute the framework of war theology in Revelation 12 and this holy war c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alien mythology. In conclusion, Revelation 12 stands in the midst of the interpretiv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sm through research into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enormous history of redemption of Genesis 3:15 has developed.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theological basis that could give a comprehensive of Revelation 12 instead of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it through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c tradition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interpret Revelation 12 from a mythological perspective. This approach was destined to face limitations in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what the apocalyptic war presented in Revelation 12 would look like. The reason for it lies not only in the fact that the Book of Revelation stands in the midst of interpretive traditions of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but also in description of apocalyptic, holy war using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in an overlapped mann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aims to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mythical interpretations and to identify why John seeks to describe the apocalyptic war between the church and the satan by the use of three motifs in each paragraph (Revelation 12:1-6, 7-12, 13-17).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take a look into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used the three motifs in an overlapped manner as described below.
Part 1 examines the methodology of interpreting the Old Testament based on the New Testament, outlines the history of researches conducted by scholars who studied the three motifs in Revelation 12 and summarizes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In particular, Revelation uses allusion rather than citation, so analysis will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ur criteria of differentiation.
Part 2 and 3 examine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that are seen in the Old Testament (HB & LXX)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as described below.
First, the Old Testament and the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make an implicit use of the motif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regard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s an individual meaning and the God’s people in the collective sense. So far, we have understood the declaration in Genesis 3:15 as protoevangelium and something to be fulfilled through the Messiah only. In this vein, this paper will establish through the study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that this prophecy was reproduced through the God's people and was fulfilled in their time as well.
Second, the three motifs are closely linked to important theological topics instead of being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It is the Exodus motif that develop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woman's offspring and the serpent's offspring into the ethnic level, and into a holy war if God, the divine warrior, intervenes in this confrontation. The mutual relationships among these motifs reveal that they are organically interconnected. The concept of links these three motifs is 'God's salvation and judgment' and ‘obedience to the God's commandment.'
Part 4 deals with the holy war theology presented in Revelation 12 according to the study in Part 2 and 3.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hed light on what message John is trying to convey through the lens of the three motifs to the church community in the midst of persecution and martyrdom caused by the crisis of Roman emperor worship at that time. In this respect, the study of three overlapping motifs presents the following new insights in interpreting Revelation 12:
First, Revelation 12:9 shows the fulfillment of Genesis 3:15 by declaring that the Messiah, the woman’s descendant, defeated and triumphed over the Satan, the serpent’s descendant. This triumph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crucifixion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Revelation 12:11). It was a foregone victory of the Messiah upon hitting the satan’s head but the church community on earth must fight still against the remaining two beasts. The former describes the holy war from a christological perspective while the latter depicts the Satan and a spiritual warfare from an ecclesiastical perspective. John follows the interpretive tradition that views the woman’s offspring as the Messiah and the God's people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Second, Revelation 12:17 refers to the church fighting against the Satan not only as the "remnants of the woman’s offspring" but also as the "community that keeps the God’s commandments". 'Obeying God's commandments' in this context is an important weapon to fight against the Satan with. John emphasizes that the Church community destined to fight the remaining wars against the Satan on earth should fight by testifying Jesus Christ.
As such, the three motifs constitute the framework of war theology in Revelation 12 and this holy war could not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dition of alien mythology. In conclusion, Revelation 12 stands in the midst of the interpretiv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sm through research into the overlapped use of the three motifs. I would like to deal with how the enormous history of redemption of Genesis 3:15 has developed. This study finds its meaning in that it provides a theological basis that could give a comprehensive of Revelation 12 instead of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it through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udaic traditions.
주제어
#요한계시록 12장 창세기 3장 15절 출애굽 모티프 거룩한 전쟁 모티프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