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 방안 -관광업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ing the Syllab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Vietnamese Students with Occupational purpose -Focusing on Tourism Industry-원문보기
최근 베트남 관광객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관광 가이드나 관광업에 대한 교육적인 측면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베트남인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학습자 층과 학습 목적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려고 한국학과에 다니는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했고, 특히 관광 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관광업 종사를 희망하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 강의는 학습자의 수요에 맞추어 관광객의 수요에 맞추어 기존의 관광 가이드나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바람과 맞물려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한국(어)학 교육에서 대학교의 교육 목적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은 김종숙(2017: 16)에서 알 수 있다. 단순히 학문을 배우기보다는 실무를 목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큰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는 비서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한 베- 베 한 통역 한국어, 한 베- 베 한 번역 한국어, 무역 한국어, 관광 한국어, 한국학 연구원 한국어, 교수법 교사 한국어가 포함된다. 그 과목 중에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은 주로 관광 가이드용 한국어 교육과정이며 관광 가이드로서 관광지 안내 업무를 중점적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한다. 따라서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현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국학과 대학생 그리고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내용을 배열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며 연구 대상 범위를 정한 후 연구 방법 및 순서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에 관련된 기존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논의 중에 관광업을 위한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관광 한국어 교육 개념, 그리고 각각의 교육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관광업 종사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 및 특징을 규정해보았다. 또한, 관광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현존 교재를 선정 분석하였다. 제3장은 순서대로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의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두 번째는 현재 베트남인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동안 한국인 대상 관광업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직업 목적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내용 요구를 확인하였다. 또한, 2장에서의 분석한 관광 한국어 교재 내용의 특징을 고려하여 3장에서의 실제 사례로 주목하고 있는 해당 교육 내용에서 학습자의 ...
최근 베트남 관광객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관광 가이드나 관광업에 대한 교육적인 측면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베트남인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학습자 층과 학습 목적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려고 한국학과에 다니는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했고, 특히 관광 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관광업 종사를 희망하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 강의는 학습자의 수요에 맞추어 관광객의 수요에 맞추어 기존의 관광 가이드나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바람과 맞물려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한국(어)학 교육에서 대학교의 교육 목적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은 김종숙(2017: 16)에서 알 수 있다. 단순히 학문을 배우기보다는 실무를 목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큰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는 비서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한 베- 베 한 통역 한국어, 한 베- 베 한 번역 한국어, 무역 한국어, 관광 한국어, 한국학 연구원 한국어, 교수법 교사 한국어가 포함된다. 그 과목 중에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은 주로 관광 가이드용 한국어 교육과정이며 관광 가이드로서 관광지 안내 업무를 중점적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한다. 따라서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현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국학과 대학생 그리고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내용을 배열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며 연구 대상 범위를 정한 후 연구 방법 및 순서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에 관련된 기존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논의 중에 관광업을 위한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관광 한국어 교육 개념, 그리고 각각의 교육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관광업 종사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 및 특징을 규정해보았다. 또한, 관광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현존 교재를 선정 분석하였다. 제3장은 순서대로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의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두 번째는 현재 베트남인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동안 한국인 대상 관광업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직업 목적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내용 요구를 확인하였다. 또한, 2장에서의 분석한 관광 한국어 교재 내용의 특징을 고려하여 3장에서의 실제 사례로 주목하고 있는 해당 교육 내용에서 학습자의 요구 분석 토대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근거하고 3장의 요구 분석으로 파악한 특성을 바탕으로 교수요목 설계 방침 설정, 교육 목적 및 목표 설정, 교수요목 유형 설정, 교육 내용의 범주 선정, 교수요목의 선정과 배열, 교수요목 제안 등을 순서대로 단계를 따르도록 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앞의 논의를 살펴본 뒤 교육 현황과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할 교수요목의 성과와 한계점을 통해 앞으로의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베트남 학습자, 관광업 종사자, 교수요목 설계 방안
최근 베트남 관광객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반면, 관광 가이드나 관광업에 대한 교육적인 측면은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베트남인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학습자 층과 학습 목적도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려고 한국학과에 다니는 학습자 수가 급속히 증가했고, 특히 관광 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관광업 종사를 희망하는 학생들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 강의는 학습자의 수요에 맞추어 관광객의 수요에 맞추어 기존의 관광 가이드나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바람과 맞물려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베트남의 한국(어)학 교육에서 대학교의 교육 목적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은 김종숙(2017: 16)에서 알 수 있다. 단순히 학문을 배우기보다는 실무를 목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큰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알수 있다. 여기에는 비서 한국어, 비즈니스 한국어, 한 베- 베 한 통역 한국어, 한 베- 베 한 번역 한국어, 무역 한국어, 관광 한국어, 한국학 연구원 한국어, 교수법 교사 한국어가 포함된다. 그 과목 중에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은 주로 관광 가이드용 한국어 교육과정이며 관광 가이드로서 관광지 안내 업무를 중점적으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한다. 따라서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기 어렵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현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한국학과 대학생 그리고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의 교수요목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의 다섯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내용을 배열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며 연구 대상 범위를 정한 후 연구 방법 및 순서에 대해 논의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에 관련된 기존 논문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재까지 이루어진 논의 중에 관광업을 위한 직업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련한 연구를 검토해 보았다. 제2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직업 목적 한국어 교육과 관광 한국어 교육 개념, 그리고 각각의 교육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관광업 종사자를 위한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 및 특징을 규정해보았다. 또한, 관광 한국어 교재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현존 교재를 선정 분석하였다. 제3장은 순서대로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는 직업 목적 관광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의 관광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도록 한다. 두 번째는 현재 베트남인 관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그동안 한국인 대상 관광업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직업 목적 관광업 종사자의 학습 내용 요구를 확인하였다. 또한, 2장에서의 분석한 관광 한국어 교재 내용의 특징을 고려하여 3장에서의 실제 사례로 주목하고 있는 해당 교육 내용에서 학습자의 요구 분석 토대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해야 할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부분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근거하고 3장의 요구 분석으로 파악한 특성을 바탕으로 교수요목 설계 방침 설정, 교육 목적 및 목표 설정, 교수요목 유형 설정, 교육 내용의 범주 선정, 교수요목의 선정과 배열, 교수요목 제안 등을 순서대로 단계를 따르도록 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앞의 논의를 살펴본 뒤 교육 현황과 요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할 교수요목의 성과와 한계점을 통해 앞으로의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Korean languag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ietnam. For the number of Vietnamese learners interested in Korean is increasing rapidly, the level and purpose of study are getting more diversified. In that respect, people tend to attend Korean courses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Recent years, the Korean languag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ietnam. For the number of Vietnamese learners interested in Korean is increasing rapidly, the level and purpose of study are getting more diversified. In that respect, people tend to attend Korean courses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many language center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is one of the motivation factors that attract the large proportions of learners. Korean education programs should meet the demands of learners whether they are tourists or those who work in tourism industry; thus, We are going to write this research article. In accordance with Kim Jong Sook(2017: 16), many Korean language courses can be found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at universities with the training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in Vietnam. Moreover,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 is of great interest. This includes Korean for Office Secretary, Korean for Business, Interpreting Han-Viet/Viet-Han, Translating Han-Viet/Viet-Han, Korean for Commerce, Korean for Tourism, Korean for Korean Studies Researchers, Korean for Teaching Method. Among these courses, Korean for Tourism course mostly focuses on how to introduce tourist attractions and is trained inside classroom.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to work in tourism services.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 is to lay out a proper syllabus of Korean language for students with Occupational purpose in Vietnam. And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who are looking into Tourism as career. The order of this research article’s content is based on the following five chapters. In Chapter 1, the content is to figure out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the previous thesis reference session, We referred existing papers relating to Korean for Tourism with Occupational purposes. Concurrently, some recent related researches about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tourism services were consulted. In Theoretical Context of Chapter 2,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Occupational purpose and Korean for Tourism was analyzed. In that respec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were defined. In addition, We also specify and analyze the Textbook forming a course so that it is easier to comprehend the features of Korean for Tourism curriculum. The content of Chapter 3 is divides into two sessions. The first session is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training environment of Korean for Tourism with Occupational purposes in Vietnam. By this way, existing issues and realities in Korean training process in Vietnam are clarified. Secondly, in order to do a survey on Vietnamese people working in tourism industry, We conducted to delve into arising problems in working and contacting with Korean people. By this way, We figured out the requirements in Korean curriculum from learners. Moreover, We also considered features of Korean curriculum analyzed in Chapter 2 and suggested some modification for the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survey results. In Chapter 4,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mentioned in Chapter 2 and survey results analyzed in Chapter 3, We carried out the article in the following order: setting up principle for syllabus design, setting up training aims and purposes, setting up types of syllabus, defining categories of training content, designing and making arrangement for syllabus, proposing syllabus scheme. In conclusion, after proposing consequences and abridgment in this research article based mentioned these foundation as well as actual education status and survey results,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future challenges through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syllabus design.
In Recent years, the Korean languag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ietnam. For the number of Vietnamese learners interested in Korean is increasing rapidly, the level and purpose of study are getting more diversified. In that respect, people tend to attend Korean courses for a variety of purposes in many language centers;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is one of the motivation factors that attract the large proportions of learners. Korean education programs should meet the demands of learners whether they are tourists or those who work in tourism industry; thus, We are going to write this research article. In accordance with Kim Jong Sook(2017: 16), many Korean language courses can be found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at universities with the training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in Vietnam. Moreover, education for Occupational purpose is of great interest. This includes Korean for Office Secretary, Korean for Business, Interpreting Han-Viet/Viet-Han, Translating Han-Viet/Viet-Han, Korean for Commerce, Korean for Tourism, Korean for Korean Studies Researchers, Korean for Teaching Method. Among these courses, Korean for Tourism course mostly focuses on how to introduce tourist attractions and is trained inside classroom.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gain practical experience to work in tourism services.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 is to lay out a proper syllabus of Korean language for students with Occupational purpose in Vietnam. And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students from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who are looking into Tourism as career. The order of this research article’s content is based on the following five chapters. In Chapter 1, the content is to figure out the aim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the previous thesis reference session, We referred existing papers relating to Korean for Tourism with Occupational purposes. Concurrently, some recent related researches about Korean education programs for tourism services were consulted. In Theoretical Context of Chapter 2,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Occupational purpose and Korean for Tourism was analyzed. In that respect,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were defined. In addition, We also specify and analyze the Textbook forming a course so that it is easier to comprehend the features of Korean for Tourism curriculum. The content of Chapter 3 is divides into two sessions. The first session is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training environment of Korean for Tourism with Occupational purposes in Vietnam. By this way, existing issues and realities in Korean training process in Vietnam are clarified. Secondly, in order to do a survey on Vietnamese people working in tourism industry, We conducted to delve into arising problems in working and contacting with Korean people. By this way, We figured out the requirements in Korean curriculum from learners. Moreover, We also considered features of Korean curriculum analyzed in Chapter 2 and suggested some modification for the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survey results. In Chapter 4,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mentioned in Chapter 2 and survey results analyzed in Chapter 3, We carried out the article in the following order: setting up principle for syllabus design, setting up training aims and purposes, setting up types of syllabus, defining categories of training content, designing and making arrangement for syllabus, proposing syllabus scheme. In conclusion, after proposing consequences and abridgment in this research article based mentioned these foundation as well as actual education status and survey results,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future challenges through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syllabus desig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