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심리 기술 훈련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경쟁 불안, 주의 집중력,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관계를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융합 방식을 통해 실증ㆍ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로 구성된 8명의 실험 집단과 8명의 통제 집단을 구성하고, 8명의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12회의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의 설문 조사와 1:1의 심층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8명의 실험 집단 선수(A~H)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경쟁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경쟁 불안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인지적 상태 불안의 개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신체적 상태 불안과 상태 자신감의 개선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더욱 분명하게 지지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혼잣말 훈련(참여자 A, D, G), ...
본 연구는 심리 기술 훈련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경쟁 불안, 주의 집중력,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관계를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융합 방식을 통해 실증ㆍ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로 구성된 8명의 실험 집단과 8명의 통제 집단을 구성하고, 8명의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12회의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의 설문 조사와 1:1의 심층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8명의 실험 집단 선수(A~H)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경쟁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경쟁 불안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인지적 상태 불안의 개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신체적 상태 불안과 상태 자신감의 개선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더욱 분명하게 지지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혼잣말 훈련(참여자 A, D, G), 심상 훈련(C), 목표 설정 훈련(C), 이완 훈련(H) 등을 통해 경쟁 불안을 극복ㆍ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공통적으로 진술하였다. 둘째, 8명의 실험 집단 선수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주의 집중력과 그 하위 요인들인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 자기 통제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전ㆍ사후 면담에서도 이 같은 개선 효과는 보다 입체적으로 지지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혼잣말 훈련(A, C), 목표 설정 훈련(G), 이완 훈련(G) 등의 도움을 받아 집중력을 향상할 수 있었고, 특히 훈련 도중 휴식이나 이완을 취한 후 재집중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거나 의도적으로 재집중 능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인지된 경기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고, 사전ㆍ사후 면담 분석도 통계 분석 결과를 지지하였다. 넷째, 면담을 통해 경쟁 불안 개선과 주의 집중력 향상을 인정한 참여자들은 모두 예외 없이 인지된 경기력 향상에 대해서도 동의(A~H)하면서, 상호 간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도 부가적으로 증언하였다. 즉 경쟁 불안이 감소되자 자신의 경기력에 대한 확신이 커졌다거나(B, D, F, G), 경쟁 불안이 줄어들자 집중력이 좋아졌다거나(D, F), 집중력이 향상되자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경기력에 대한 자신감이 커졌다(A, E, H)는 식으로, 3종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연계성을 지적하였다. 이상과 같은 양적, 질적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경쟁 불안 극복과 개선, 주의 집중력과 인지된 경기력의 향상에 모두 바람직한 효과를 미쳤음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태권도 분야의 심리 기술 훈련에 대한 연구를 심화ㆍ확장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태권도 품새 종목의 특징과 다양한 선수들의 연령별 특성에 맞는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가 유효한 기초 자료와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심리 기술 훈련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경쟁 불안, 주의 집중력,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관계를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의 융합 방식을 통해 실증ㆍ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를 위해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로 구성된 8명의 실험 집단과 8명의 통제 집단을 구성하고, 8명의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12회의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의 설문 조사와 1:1의 심층 개인 면담을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8명의 실험 집단 선수(A~H)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경쟁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경쟁 불안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인지적 상태 불안의 개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신체적 상태 불안과 상태 자신감의 개선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개선 효과는 사전ㆍ사후 면담을 통해 더욱 분명하게 지지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혼잣말 훈련(참여자 A, D, G), 심상 훈련(C), 목표 설정 훈련(C), 이완 훈련(H) 등을 통해 경쟁 불안을 극복ㆍ개선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공통적으로 진술하였다. 둘째, 8명의 실험 집단 선수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주의 집중력과 그 하위 요인들인 선택적 주의력, 지속적 주의력, 자기 통제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전ㆍ사후 면담에서도 이 같은 개선 효과는 보다 입체적으로 지지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혼잣말 훈련(A, C), 목표 설정 훈련(G), 이완 훈련(G) 등의 도움을 받아 집중력을 향상할 수 있었고, 특히 훈련 도중 휴식이나 이완을 취한 후 재집중하는 과정에서 시간을 단축하거나 의도적으로 재집중 능력을 끌어올리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고 진술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심리 기술 훈련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인지된 경기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검증되었고, 사전ㆍ사후 면담 분석도 통계 분석 결과를 지지하였다. 넷째, 면담을 통해 경쟁 불안 개선과 주의 집중력 향상을 인정한 참여자들은 모두 예외 없이 인지된 경기력 향상에 대해서도 동의(A~H)하면서, 상호 간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도 부가적으로 증언하였다. 즉 경쟁 불안이 감소되자 자신의 경기력에 대한 확신이 커졌다거나(B, D, F, G), 경쟁 불안이 줄어들자 집중력이 좋아졌다거나(D, F), 집중력이 향상되자 몰입도가 높아지면서 경기력에 대한 자신감이 커졌다(A, E, H)는 식으로, 3종 요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연계성을 지적하였다. 이상과 같은 양적, 질적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고등학교 태권도 품새 선수들의 경쟁 불안 극복과 개선, 주의 집중력과 인지된 경기력의 향상에 모두 바람직한 효과를 미쳤음을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태권도 분야의 심리 기술 훈련에 대한 연구를 심화ㆍ확장하는 데 일정하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태권도 품새 종목의 특징과 다양한 선수들의 연령별 특성에 맞는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서 본 연구가 유효한 기초 자료와 이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the competitive anxiety, attention concentration,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through the fus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is pu...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the competitive anxiety, attention concentration,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through the fus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consisting of 8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were composed and 12 session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nd 1:1 deepening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8 participants of experimental group (A~H) showed that the competition anxie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Among the sub-factors of competitive anxiety, improvement of cognitive state anxiety prove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mprovement of physical state anxiety and state self-confidenc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improvements were more clearly supported through pre and post interviews. 8 participants testified that self-talk training(participants A, D, G), image training(C), goal setting training(C), relaxation training(H) had been very helpful in overcoming and improving their competition anxiety. Seco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8 participants showed that attention concentration and its sub-factors such as selective attention, continuous attention, and self–control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8 participants testified that self-talk training(A, C), goal setting training (G), and relaxation training(G) had been very helpful in overcoming and improving their attention concentration. Thir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showed that perceived performa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and pre and post interview supporte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urth, 8 participants who acknowledged improvement of competitive anxiety, attention concent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ll testified additionally about mutual relations. Participant B, D, F, G said that the confidence in their performance increased when the competitive anxiety decreased, and A, E, H agreed that the three factors are rela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s had a favorable effect on the overcoming of competitive anxiety, improvement of attention concent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The methodology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epening and expanding the research o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 the field of Taekwondo Poomsae. An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effective basic data and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s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Poomsa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thle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and influenc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on the competitive anxiety, attention concentration,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through the fus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consisting of 8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were composed and 12 sessions of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pre and post questionnaires and 1:1 deepening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8 participants of experimental group (A~H) showed that the competition anxie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Among the sub-factors of competitive anxiety, improvement of cognitive state anxiety prove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mprovement of physical state anxiety and state self-confidence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improvements were more clearly supported through pre and post interviews. 8 participants testified that self-talk training(participants A, D, G), image training(C), goal setting training(C), relaxation training(H) had been very helpful in overcoming and improving their competition anxiety. Secon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for 8 participants showed that attention concentration and its sub-factors such as selective attention, continuous attention, and self–control were all improved significantly. 8 participants testified that self-talk training(A, C), goal setting training (G), and relaxation training(G) had been very helpful in overcoming and improving their attention concentration. Third,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showed that perceived performa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and pre and post interview supported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urth, 8 participants who acknowledged improvement of competitive anxiety, attention concent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ll testified additionally about mutual relations. Participant B, D, F, G said that the confidence in their performance increased when the competitive anxiety decreased, and A, E, H agreed that the three factors are related to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s had a favorable effect on the overcoming of competitive anxiety, improvement of attention concentra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Taekwondo Poomsae players. The methodology an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epening and expanding the research on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in the field of Taekwondo Poomsae. An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effective basic data and theoretical guidance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training programs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aekwondo Poomsa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thlet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