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조모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현재 건강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주관적 건강수준(Self-rated Health) 도구를,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이 개발한 PSI-SF 척도를 이경숙 등(2008)이 표준화한 한국판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K-PSI-SF) 도구를,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PLP Ⅱ을 서현미(2001)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
목적 : 본 연구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조모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현재 건강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주관적 건강수준(Self-rated Health) 도구를,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이 개발한 PSI-SF 척도를 이경숙 등(2008)이 표준화한 한국판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K-PSI-SF) 도구를,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PLP Ⅱ을 서현미(2001)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정도는 평균 3.17±0.81점이었고,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는 평균 80.07±19.05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는 평균 130.28±16.72점이었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부모의 고통이 33.01±8.24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중 영양섭취가 24.08±3.74점으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양육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는 하루 돌봄 시간(r=.27, p=.001), 양육 수고비 만족수준(F=3.33, p=.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육스트레스의 하부요인인 부모의 고통(r=-.35, p<.001),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r=-.22, p=.010), 까다로운 아동(r=-.26, p=.002)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요인인 신체활동(r=.25, p=.003), 영양섭취(r=.20, p=.019), 영적 성장(r=.27, p=.001), 대인관계(r=.36, p<.001), 스트레스 관리(r=.18, p=.03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요인은 하루 돌봄 시간(β=.30, t=3.91, p<.001), 대인관계(β=.25, t=2.92, p=.004), 부모의 고통(β=-.23, t=-2.62, p=.010)이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27.0%였다. 결론 : 이상에서와 같이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하루 돌봄 시간, 부모의 고통, 대인관계였다. 따라서 조모의 고립감, 부모의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교적 활동,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조모들의 자조집단을 구성하며, 이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직접 찾아가는 간호서비스, 방문간호를 제공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스스로가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모의 건강이 유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적합한 간호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목적 : 본 연구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조모의 건강상태를 향상시키는 전략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9월 12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 1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현재 건강상태는 어떻다고 생각합니까’라는 주관적 건강수준(Self-rated Health) 도구를,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이 개발한 PSI-SF 척도를 이경숙 등(2008)이 표준화한 한국판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K-PSI-SF) 도구를,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Walker 등(1995)이 개발한 HPLP Ⅱ을 서현미(2001)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결과 :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정도는 평균 3.17±0.81점이었고, 양육스트레스의 정도는 평균 80.07±19.05점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는 평균 130.28±16.72점이었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부모의 고통이 33.01±8.24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영역 중 영양섭취가 24.08±3.74점으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양육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는 하루 돌봄 시간(r=.27, p=.001), 양육 수고비 만족수준(F=3.33, p=.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육스트레스의 하부요인인 부모의 고통(r=-.35, p<.001), 부모-아동 역기능적 상호작용(r=-.22, p=.010), 까다로운 아동(r=-.26, p=.002)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요인인 신체활동(r=.25, p=.003), 영양섭취(r=.20, p=.019), 영적 성장(r=.27, p=.001), 대인관계(r=.36, p<.001), 스트레스 관리(r=.18, p=.03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상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관련요인은 하루 돌봄 시간(β=.30, t=3.91, p<.001), 대인관계(β=.25, t=2.92, p=.004), 부모의 고통(β=-.23, t=-2.62, p=.010)이 유의한 관련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27.0%였다. 결론 : 이상에서와 같이 만 6세 이하(미취학)의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모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하루 돌봄 시간, 부모의 고통, 대인관계였다. 따라서 조모의 고립감, 부모의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교적 활동, 긍정적인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조모들의 자조집단을 구성하며, 이들의 건강관리를 위해서 직접 찾아가는 간호서비스, 방문간호를 제공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손자녀를 돌보는 조모 스스로가 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조모의 건강이 유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 적합한 간호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ategy development i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by studying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related factor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3, 2017 to September 12, 2017, and 142 grandmothers raising...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ategy development i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by studying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related factor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3, 2017 to September 12, 2017, and 142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year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in the study: a self-rated health tool, “How do you consider your current health status?” for assess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K-PSI-SF, which was standardized by Kyung-sook Lee et al. (2008) from the PSI-SF developed by Abidin (1995), for assessing caregiver stress; and Hyeon-mi Seoh’s (2001) adapted and modified version of the HPLP II, developed by Walker et al. (1995) for assessing health improvement activity. For the data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o conduct t-tests, ANOVA, Scheffé’s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mea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was 3.17±0.81 points, mean caregiver stress was 80.07±19.05 points, and mean health improvement activity was 130.28±16.72 points. Among subcategories of caregiver stress, the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in parental distress, with 33.01±8.24 points, a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in nutrition, with 24.08±3.74 points.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aregiving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aily caregiving hours (r=.27, p=.001) and satisfaction with caregiving monetary reward (F=3.33, p=.022).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rticipants and subcategories of caregiving stress, including parental stress (r=-.35, p<.001),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r=-.22, p=.010), and difficult child (r=-.26, p=.002), whil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r=.25, p=.003), nutrition (r=.20, p=.019), spiritual growth (r=.27,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r=.36, p<.001), and stress management (r=.18, p=.030).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aily caregiving hours (β=.30, t=3.91,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β=.25, t=2.92, p=.004), and parental distress (β=-.23, t=-2.62, p=.010)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27.0%. Conclusions : Factors with the mos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who raise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were daily caregiving hours, parent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lf-help groups for grandmothers to enhance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reduce grandmothers’ sense of isolation and parental distres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for their health management. Furthermore, community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is needed to help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own health.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trategy development i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by studying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related factor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3, 2017 to September 12, 2017, and 142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year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in the study: a self-rated health tool, “How do you consider your current health status?” for assessing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K-PSI-SF, which was standardized by Kyung-sook Lee et al. (2008) from the PSI-SF developed by Abidin (1995), for assessing caregiver stress; and Hyeon-mi Seoh’s (2001) adapted and modified version of the HPLP II, developed by Walker et al. (1995) for assessing health improvement activity. For the data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to conduct t-tests, ANOVA, Scheffé’s tes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mea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raising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was 3.17±0.81 points, mean caregiver stress was 80.07±19.05 points, and mean health improvement activity was 130.28±16.72 points. Among subcategories of caregiver stress, the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in parental distress, with 33.01±8.24 points, a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in nutrition, with 24.08±3.74 points.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aregiving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daily caregiving hours (r=.27, p=.001) and satisfaction with caregiving monetary reward (F=3.33, p=.022).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participants and subcategories of caregiving stress, including parental stress (r=-.35, p<.001),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r=-.22, p=.010), and difficult child (r=-.26, p=.002), whil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with subcategori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r=.25, p=.003), nutrition (r=.20, p=.019), spiritual growth (r=.27,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r=.36, p<.001), and stress management (r=.18, p=.030).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daily caregiving hours (β=.30, t=3.91, p<.001), interpersonal relations (β=.25, t=2.92, p=.004), and parental distress (β=-.23, t=-2.62, p=.010)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27.0%. Conclusions : Factors with the mos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grandmothers who raise preschool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6) were daily caregiving hours, parent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lf-help groups for grandmothers to enhance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reduce grandmothers’ sense of isolation and parental distress, as well as the provision of visiting nursing services for their health management. Furthermore, community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is needed to help grandmothers who raise grand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ir own heal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