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본 연구는 충청남도 S시에 거주하는 29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Sobel’s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 4를 활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직렬 이중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으며,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본 연구는 충청남도 S시에 거주하는 29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의 이중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는 SPSS PC+ Win. 21.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평균비교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은 Sobel’s test를 이용하였다. 또한 SPSS macro PROCESS 모델 4를 활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직렬 이중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을 이용하였으며, 검증 시 부트스트랩 샘플 수는 5000개로 지정하고, 신뢰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양육태도는 대학교 졸업 집단이 대학원과 중·고등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그리고 자녀의 행복감은 대학원 졸업집단이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졸업집단보다 높았다. 매개변인인 희망은 대학원 졸업자가 대학교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고, 종교가 기독교인 응답자가 종교가 무교인 응답자보다 높았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원 졸업자가 중⦁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높았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 성장 마인드셋, 희망 및 자녀의 행복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가장 높은 상관계수가 있었다. 셋째, 통제변수와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가 통제변수인 연령 및 교육보다 영향력이 높았다. 넷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이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장 마인드셋을 통하여 자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긍정적 양육태도와 자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이 이중 매개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긍정적 양육태도는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경유하여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충남도 S시에 거주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므로 조사대상 지역의 한계가 있다. 전국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표집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양육태도 척도는 하위영역이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두 통합적으로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하위유형 각각에 대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는 매개변인으로 긍정심리학적 변인인 희망과 성장 마인드셋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이외도 그릿(grit) 등 많은 긍정심리학적 변인이 발표되고 있어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변인들을 활용하여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 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hope and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on 290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data were 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hope and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on 290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PC + Win. 21.0 for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SPSS macro PROCESS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dual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The number of bootstrap samples was set to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higher in university graduate group than in graduate school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ion group.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hope of mediating variable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es, and respondents of Christian were higher than non-religious students. The growth mindset was higher among graduat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growth mindset, hope and happiness of children. Especially, the growth mindset and hop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control variable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 's happiness. Fourth,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child 's happiness through hope. Fif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Six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hopes and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 - do, 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urvey area.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sampling the mothers nationwide.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consists of affectionative, rejective,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s in sub - domains, but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the double mediated effect is analyzed for each subtyp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hope and growth mindset as mediators. In addition, man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grit have been reported,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happiness by using these variables in the follow - up stud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hope and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on 290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do.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17,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SPSS PC + Win. 21.0 for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s test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SPSS macro PROCESS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dual mediation effect. The dual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using bootstrap. The number of bootstrap samples was set to 5000, and the confidence interval was set to 9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s higher in university graduate group than in graduate school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ion group.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graduates. The hope of mediating variable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es than college and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es, and respondents of Christian were higher than non-religious students. The growth mindset was higher among graduat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growth mindset, hope and happiness of children. Especially, the growth mindset and hop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Thir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more influential than control variables, such as age and educa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effects of control variables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 's happiness. Fourth,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the child 's happiness through hope. Fif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Sixth,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ren 's happiness through hopes and growth mindset as a result of analyzing du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 s happi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others living in S city of Chungcheongnam - do, so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survey area.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by sampling the mothers nationwide.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consists of affectionative, rejective, autonomous, and controlled attitudes in sub - domains, but in this study, all of them were converted in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the double mediated effect is analyzed for each subtype.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hope and growth mindset as mediators. In addition, many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grit have been reported, a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 's happiness by using these variables in the follow - up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