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 피동표현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피동표현의 대조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 1 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연구자들이 진행한 한중 피동표현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중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한중 피동표현 대조를 기초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제 2 장과 3 장에서는 먼저 한중 양국의 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 피동표현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피동표현의 대조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 1 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연구자들이 진행한 한중 피동표현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중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한중 피동표현 대조를 기초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제 2 장과 3 장에서는 먼저 한중 양국의 피동표현에 대해 자세히 정리하였고, 이어서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피동표현 분석을 진행할 때, 한중 양국 분석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여 분석하였는데, 먼저 한국어 피동표현 분석은 '-이-, -히-, -리-, -기-' 접미사에 의한 형태적 피동표현, '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표현, '되다, 받다,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표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중국어 피동표현 분석은 전형적인 '被,叫,让,给' 피동표현, 비전형적인 '遭,受,挨' 피동표현, 무표지 피동표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피동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중국인 중,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표현을 사용할 때 자주 나타나는 문제나 오류 유형에 대해 정리하였고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원인에 대해 추측해 보았다.
제 5 장에서는 제 4장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에 있어 개선해야 하는 점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 6 장은 본 논문에 대한 간략한 정리 및 이전 선행연구들과의 차이점과 제한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부분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 피동표현 학습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피동표현의 대조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제 1 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연구자들이 진행한 한중 피동표현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정리하였다. 선행연구는 한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중국어 피동표현에 대한 연구, 한중 피동표현 대조를 기초로 한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제 2 장과 3 장에서는 먼저 한중 양국의 피동표현에 대해 자세히 정리하였고, 이어서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피동표현 분석을 진행할 때, 한중 양국 분석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여 분석하였는데, 먼저 한국어 피동표현 분석은 '-이-, -히-, -리-, -기-' 접미사에 의한 형태적 피동표현, '어지다'에 의한 통사적 피동표현, '되다, 받다,당하다'에 의한 어휘적 피동표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중국어 피동표현 분석은 전형적인 '被,叫,让,给' 피동표현, 비전형적인 '遭,受,挨' 피동표현, 무표지 피동표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피동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중국인 중,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표현을 사용할 때 자주 나타나는 문제나 오류 유형에 대해 정리하였고 이러한 오류를 범하는 원인에 대해 추측해 보았다.
제 5 장에서는 제 4장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피동표현 교육에 있어 개선해야 하는 점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제 6 장은 본 논문에 대한 간략한 정리 및 이전 선행연구들과의 차이점과 제한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Keyword
#중국인 학습자 피동표현 능동표현 여격어 조사 피동표현 교육 Chinese learner Passive expression activeness expression dative postposition passive voice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