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적인 자세를 동반한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작업 시 팔각도와 무게의 변화에 따라 근전도 실험과 주관적 불편도를 평가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에 대해 무게와 각도에 대한 유의성과 경향을 파악하였고,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근육을 파악하였다. 실험에서 근육은 삼각근, 승모근,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척측수근굴근으로 선정하였다. 팔의 각도는 0°, 30°, 60°, 90°의 4수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령의 무게는 0kg, 1kg, 2kg, 3kg 4가지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정적인 자세를 동반한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작업 시 팔각도와 무게의 변화에 따라 근전도 실험과 주관적 불편도를 평가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에 대해 무게와 각도에 대한 유의성과 경향을 파악하였고,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근육을 파악하였다. 실험에서 근육은 삼각근, 승모근,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척측수근굴근으로 선정하였다. 팔의 각도는 0°, 30°, 60°, 90°의 4수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령의 무게는 0kg, 1kg, 2kg, 3kg 4가지로 분류하였다. 작업 시간은 4가지의 각도와 무게 별로 1분간의 정적인 자세를 취하는 동안 측정하였으며, 실험참여자는 2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7명(남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근전도 측정과 주관적 불편도 평균값은 삼각근, 승모근,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척측수근굴근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각 근육이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각도와 무게를 도출하였으며,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불편도의 Borg’s scale의 값을 통하여 각 근육이 작업을 할 때 그 작업이 위험작업인가 고위험작업인가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생체역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가 추후 필요하고, 상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정적인 자세를 동반한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작업 시 팔각도와 무게의 변화에 따라 근전도 실험과 주관적 불편도를 평가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근육에 대해 무게와 각도에 대한 유의성과 경향을 파악하였고, 팔을 어깨위로 올린 작업 자세에서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근육을 파악하였다. 실험에서 근육은 삼각근, 승모근,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척측수근굴근으로 선정하였다. 팔의 각도는 0°, 30°, 60°, 90°의 4수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아령의 무게는 0kg, 1kg, 2kg, 3kg 4가지로 분류하였다. 작업 시간은 4가지의 각도와 무게 별로 1분간의 정적인 자세를 취하는 동안 측정하였으며, 실험참여자는 20대 대학생 및 대학원생 7명(남자)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근전도 측정과 주관적 불편도 평균값은 삼각근, 승모근, 이두근, 삼두근, 상완요골근, 척측수근굴근 순으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각 근육이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각도와 무게를 도출하였으며, 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주관적 불편도의 Borg’s scale의 값을 통하여 각 근육이 작업을 할 때 그 작업이 위험작업인가 고위험작업인가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생체역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연구가 추후 필요하고, 상지 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n this study, EMG experiment and subjective discomfort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rm angle and weigh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muscle, I found significance and tendency about weight and angle, and I found muscle that felt the most fatigue in upper arm postur...
In this study, EMG experiment and subjective discomfort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rm angle and weigh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muscle, I found significance and tendency about weight and angle, and I found muscle that felt the most fatigue in upper arm posture. In the experiment, the muscles were selected as deltoid muscle, treapezius muscle,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and ulnar flexor of wrist. The arm angle was selected as 0, 30, 60, and 90 degrees. The weight of dumbbell was classified into 0, 1, 2, and 3kg. The working time was measured while taking a static attitude of 1 minute for each of 4 angles and weights, and Seven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EMG measurements and subjective discomfort averages were in the order of deltoid muscle, treapezius muscle,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and ulnar flexor of wrist. Through the experiment, I found the angles and weights of muscle that felt the most fatigue, and The significance was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In addition, Through the Borg's scale of subjective discomfort, I assessed whether the muscles were risk task or high risk task. Through such study, Biomechanically supported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upper limb research.
In this study, EMG experiment and subjective discomfort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arm angle and weight,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muscle, I found significance and tendency about weight and angle, and I found muscle that felt the most fatigue in upper arm posture. In the experiment, the muscles were selected as deltoid muscle, treapezius muscle,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and ulnar flexor of wrist. The arm angle was selected as 0, 30, 60, and 90 degrees. The weight of dumbbell was classified into 0, 1, 2, and 3kg. The working time was measured while taking a static attitude of 1 minute for each of 4 angles and weights, and Seven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EMG measurements and subjective discomfort averages were in the order of deltoid muscle, treapezius muscle, biceps brachii, tr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and ulnar flexor of wrist. Through the experiment, I found the angles and weights of muscle that felt the most fatigue, and The significance was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and regression. In addition, Through the Borg's scale of subjective discomfort, I assessed whether the muscles were risk task or high risk task. Through such study, Biomechanically supported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upper limb resear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