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서천 유부도 갯벌의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 및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bio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Yuboodo tidal flat, Seocheon, west coast of Korea원문보기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물새들의 서식지로 잘 알려진 유부도 갯벌 주변의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40종에 대해서는 생태특성을 정리하였다. 현장조사는 대형저서동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인 2015년 6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에 수행되었다. 유부도 주변 갯벌에 격자형 정점, 측선 정점, 염습지 정점을 설정하였다. 총 35개의 격자형 정점에서 van Veen grab(표면적 0.05m2)을 이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또한 유부도 동측의 니질퇴적상 측선(Line B2)에는 22개 정점, 서측의 사질퇴적상 측선(Line B3)에는 총 16개 정점을 갯벌 상부에서 저조선을 향해 약 100m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측선조사에는 스테인리스 box core(20×25×30cm, 표면적 0.05m2)를 이용하여 각 정점에서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염습지 조사는 유부도 주변에 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정점에서 약 2시간동안 생물을 채집하였다. 유부도 갯벌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64종으로서 우리나라 ...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물새들의 서식지로 잘 알려진 유부도 갯벌 주변의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40종에 대해서는 생태특성을 정리하였다. 현장조사는 대형저서동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인 2015년 6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에 수행되었다. 유부도 주변 갯벌에 격자형 정점, 측선 정점, 염습지 정점을 설정하였다. 총 35개의 격자형 정점에서 van Veen grab(표면적 0.05m2)을 이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또한 유부도 동측의 니질퇴적상 측선(Line B2)에는 22개 정점, 서측의 사질퇴적상 측선(Line B3)에는 총 16개 정점을 갯벌 상부에서 저조선을 향해 약 100m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측선조사에는 스테인리스 box core(20×25×30cm, 표면적 0.05m2)를 이용하여 각 정점에서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염습지 조사는 유부도 주변에 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정점에서 약 2시간동안 생물을 채집하였다. 유부도 갯벌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64종으로서 우리나라 연안역의 갯벌에서 보고된 종 다양성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환형동물이 57종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갑각류가 55종으로 두 번째 우점 분류군이었다. 공간분포 양상은 정점에 따라 7∼34종 범위에서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정점들이 16∼30종 범위를 보였다. 출현밀도는 평균 1,728 개체/m2였으며, 연체동물이 높은 밀도를 보였으나 출현종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생체량은 평균 442.2 g/m2으로 연체동물의 생체량의 점유율이 높았으며, 북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따라서 유부도 갯벌은 연체동물의 밀도와 생체량이 우점한 군집이며, 이러한 군집의 특성은 유부도로 도래하는 많은 물새들의 먹이가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 다양도는 평균 2.8±0.4(3.4∼1.6)으로 펄 함량이 높은 유부도 남동쪽 갯벌에 비해 모래함량이 높은 북측과 서측에 위치한 갯벌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부도에서 출현밀도의 1.0% 이상을 점유하는 우점종은 총 17종으로 전체 밀도의 84.0%를 점유하였다. 최우점종은 이매패류인 개량조개(Mactra chinensis)로서 전체 밀도의 18.8%를 점유하였으며, 두 번째 우점종은 환형동물인 버들갯지렁이류(Heteromastus filiformisi)로서 전체 밀도의 11.9%를 점유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밀도 분포는 유부도 갯벌의 퇴적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번째와 네 번째 우점종은 이매패류인 쇄방사늑조개(Potamocorbula amurensis)와 동죽(Mactra veneriformis)으로 각각 전체밀도의 10.4%와 7.8%를 점유하였다. 우점종들 중 생체량이 큰 이매패류인 개량조개, 쇄방사늑조개 및 동죽은 현탁물식자로서 이들은 기초생산자로부터 생산된 유기물을 걸러먹고 물새들에게 에너지를 전달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부도 갯벌에 우점종으로 서식하는 개량조개, 버들갯지렁이류, 쇄방사늑조개, 동죽의 밀도 및 분포역의 변화는 유부도 갯벌의 생태계 변동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부도 갯벌을 방문하는 물새들의 중요한 먹이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유부도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표본수 증가 및 미동정 분류군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분류가 추가로 이루어질 경우 유부도의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은 일정 수준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우리나라 서해안에 위치한 물새들의 서식지로 잘 알려진 유부도 갯벌 주변의 대형저서동물의 종 다양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육안으로 관찰이 가능한 40종에 대해서는 생태특성을 정리하였다. 현장조사는 대형저서동물의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여름철인 2015년 6월 하순부터 7월 초순사이에 수행되었다. 유부도 주변 갯벌에 격자형 정점, 측선 정점, 염습지 정점을 설정하였다. 총 35개의 격자형 정점에서 van Veen grab(표면적 0.05m2)을 이용하여 각 정점당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또한 유부도 동측의 니질퇴적상 측선(Line B2)에는 22개 정점, 서측의 사질퇴적상 측선(Line B3)에는 총 16개 정점을 갯벌 상부에서 저조선을 향해 약 100m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측선조사에는 스테인리스 box core(20×25×30cm, 표면적 0.05m2)를 이용하여 각 정점에서 2회씩 반복채집을 하였다. 염습지 조사는 유부도 주변에 4개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정점에서 약 2시간동안 생물을 채집하였다. 유부도 갯벌에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64종으로서 우리나라 연안역의 갯벌에서 보고된 종 다양성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환형동물이 57종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갑각류가 55종으로 두 번째 우점 분류군이었다. 공간분포 양상은 정점에 따라 7∼34종 범위에서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정점들이 16∼30종 범위를 보였다. 출현밀도는 평균 1,728 개체/m2였으며, 연체동물이 높은 밀도를 보였으나 출현종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생체량은 평균 442.2 g/m2으로 연체동물의 생체량의 점유율이 높았으며, 북측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높은 생체량을 보였다. 따라서 유부도 갯벌은 연체동물의 밀도와 생체량이 우점한 군집이며, 이러한 군집의 특성은 유부도로 도래하는 많은 물새들의 먹이가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 다양도는 평균 2.8±0.4(3.4∼1.6)으로 펄 함량이 높은 유부도 남동쪽 갯벌에 비해 모래함량이 높은 북측과 서측에 위치한 갯벌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부도에서 출현밀도의 1.0% 이상을 점유하는 우점종은 총 17종으로 전체 밀도의 84.0%를 점유하였다. 최우점종은 이매패류인 개량조개(Mactra chinensis)로서 전체 밀도의 18.8%를 점유하였으며, 두 번째 우점종은 환형동물인 버들갯지렁이류(Heteromastus filiformisi)로서 전체 밀도의 11.9%를 점유하였다. 이 두 종의 출현밀도 분포는 유부도 갯벌의 퇴적상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번째와 네 번째 우점종은 이매패류인 쇄방사늑조개(Potamocorbula amurensis)와 동죽(Mactra veneriformis)으로 각각 전체밀도의 10.4%와 7.8%를 점유하였다. 우점종들 중 생체량이 큰 이매패류인 개량조개, 쇄방사늑조개 및 동죽은 현탁물식자로서 이들은 기초생산자로부터 생산된 유기물을 걸러먹고 물새들에게 에너지를 전달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부도 갯벌에 우점종으로 서식하는 개량조개, 버들갯지렁이류, 쇄방사늑조개, 동죽의 밀도 및 분포역의 변화는 유부도 갯벌의 생태계 변동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부도 갯벌을 방문하는 물새들의 중요한 먹이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유부도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에 대한 표본수 증가 및 미동정 분류군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분류가 추가로 이루어질 경우 유부도의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은 일정 수준까지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Biodiversity of macrobenthos in Yuboodo area was studied, where is well known for waterbird inhabitation in western coast of Korea. From the studied speci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iled for the 40 species observable with naked eye.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mmer season between ...
Biodiversity of macrobenthos in Yuboodo area was studied, where is well known for waterbird inhabitation in western coast of Korea. From the studied speci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iled for the 40 species observable with naked eye.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mmer season between late June and early July of 2015, the season when benthic organisms show their vigorous activity. Macrobenthos were sampled from grid stations, transect line and salt marsh. In 35 grid stations, du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or benthic animals using van Veen grab (surface area 0.05m2). 22 stations in Line B2 at muddy sediment in east part of the island, and 16 stations in Line B3 at the sand dominated sediment in west part of the island were set, with every 100 m intervals in each line. Stainless steel box core (20×25×30cm) was used for duplicate macrobenthos sampling in the lines. Four areas in salt marshes were chosen for benthic animals sampling. Semi-quantitative samplings were conducted for two hours by picking up the animals by hand. A total of 164 species of benthic animals were recorded, similar to the known biodiversity in Korean tidal flat. Polychaete was the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number (57 species), followed by crustaceans (55 species). The species number ranged in 7-34 species per station, with 16-30 species in most stations. Mean abundance was 1,728 ind./m2 dominated by molluscs with relatively low species number. Mean biomass was 442.2g/m2 dominated by mollusc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tidal flat. Based on the results,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Yuboodo tidal flat can be described as a mollusc-dominated community in terms of density and biomass.These indicate that there are abundant diets for migrating water birds in Yuboodo tidal flat. Mea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2.8±0.4(3.4-1.6) with higher in sand dominated tidal flat in the northern and western part of the Yuboodo, and lower in mud dominated area in southeast part of the island. A total of 17 species were the major dominant species of macrobenthos, those accounting for more than 1.0% of mean abundance each. The major dominant species accounted for 84% of the mean abundance. Mactra chinensi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18.8% of the mean density, followed by Heteromastus filiformisi with 11.9%.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se two species were well influenced by sediment type of the Yuboodo tidal flat. Third and fourth dominant species were Potamocorbula amurensis and Mactra veneriformis, which occupied 10.4% and 7.8% of mean density, respectively. These suspension-feeding species with high biomass play a role in energy transfer agents from primary producers to higher consumers such as water bird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jor dominant benthic animal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in evaluating changes of benthic ecosystem, and evaluating diet supply for the migrating water birds in Yuboodo tidal flat. The biodiversity of the benthic organisms in Yuboodo tidal flat might be increased to some extent if additional sampling and taxonomic study of unidentified species were conducted.
Biodiversity of macrobenthos in Yuboodo area was studied, where is well known for waterbird inhabitation in western coast of Korea. From the studied speci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iled for the 40 species observable with naked eye.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the summer season between late June and early July of 2015, the season when benthic organisms show their vigorous activity. Macrobenthos were sampled from grid stations, transect line and salt marsh. In 35 grid stations, duplicat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or benthic animals using van Veen grab (surface area 0.05m2). 22 stations in Line B2 at muddy sediment in east part of the island, and 16 stations in Line B3 at the sand dominated sediment in west part of the island were set, with every 100 m intervals in each line. Stainless steel box core (20×25×30cm) was used for duplicate macrobenthos sampling in the lines. Four areas in salt marshes were chosen for benthic animals sampling. Semi-quantitative samplings were conducted for two hours by picking up the animals by hand. A total of 164 species of benthic animals were recorded, similar to the known biodiversity in Korean tidal flat. Polychaete was the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number (57 species), followed by crustaceans (55 species). The species number ranged in 7-34 species per station, with 16-30 species in most stations. Mean abundance was 1,728 ind./m2 dominated by molluscs with relatively low species number. Mean biomass was 442.2g/m2 dominated by mollusc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tidal flat. Based on the results, the benthic community in the Yuboodo tidal flat can be described as a mollusc-dominated community in terms of density and biomass.These indicate that there are abundant diets for migrating water birds in Yuboodo tidal flat. Mea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2.8±0.4(3.4-1.6) with higher in sand dominated tidal flat in the northern and western part of the Yuboodo, and lower in mud dominated area in southeast part of the island. A total of 17 species were the major dominant species of macrobenthos, those accounting for more than 1.0% of mean abundance each. The major dominant species accounted for 84% of the mean abundance. Mactra chinensis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occupying 18.8% of the mean density, followed by Heteromastus filiformisi with 11.9%.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se two species were well influenced by sediment type of the Yuboodo tidal flat. Third and fourth dominant species were Potamocorbula amurensis and Mactra veneriformis, which occupied 10.4% and 7.8% of mean density, respectively. These suspension-feeding species with high biomass play a role in energy transfer agents from primary producers to higher consumers such as water bird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jor dominant benthic animals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in evaluating changes of benthic ecosystem, and evaluating diet supply for the migrating water birds in Yuboodo tidal flat. The biodiversity of the benthic organisms in Yuboodo tidal flat might be increased to some extent if additional sampling and taxonomic study of unidentified species were conduc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