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 경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갈등’ 의 맥락적 요인과 과정을 바탕으로 남성 동성애자들의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 ~ 2017년 5월 총 19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남성 동성애자 6명을 대상으로 3회기 심층 인터뷰하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의 가부장적 가치관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에 의한 가족갈등을 강화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동성에게 이성적 호감으로 느끼지만 사회의 배타적인 선입견을 의식하여 소수 성적 성향에 대해 부정하기 때문에 이성애자와 다른 성장 경험을 한다. 하지만 시간의 방향에 따라 커밍아웃하여 자신의 소수 성적 성향을 가족에게 인정받고자 하는데 가부장적인 가치관과 가계 계승이라는 전통적 성역할과 고정 관념으로 가족과 충돌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가부장적 가치관에 위배되는 남성 동성애자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둘째, 부모의 동성애에 대한 분노 표출(anger-out)은 가족갈등을 심화시킨다. 동성애를 바라보는 상반된 신념에 의해 가족은 대립하고 있으며, 부모는 자신의 권력을 행사하여 자녀의 소수 성적 성향을 억압하고자 강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의견에 복종하지 않고 거부적 반응을 보이는 자녀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였다. 부모가 자녀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함에 따라 가족갈등은 더욱 심화되어, 남성 동성애자들은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지속적인 가족갈등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동성애자는 높은 위기감을 경험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가족의 폭언과 폭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스트레스 과부화 상태에 놓여 있으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다양한 지지자원이 없었다. 이들은 스트레스에 의한 분노, 우울, 불쾌감, 무력감, 공허감, 외로움 등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거나 자살충동, 가출, ...
본 연구는 ‘20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 경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갈등’ 의 맥락적 요인과 과정을 바탕으로 남성 동성애자들의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 ~ 2017년 5월 총 19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남성 동성애자 6명을 대상으로 3회기 심층 인터뷰하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의 가부장적 가치관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에 의한 가족갈등을 강화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동성에게 이성적 호감으로 느끼지만 사회의 배타적인 선입견을 의식하여 소수 성적 성향에 대해 부정하기 때문에 이성애자와 다른 성장 경험을 한다. 하지만 시간의 방향에 따라 커밍아웃하여 자신의 소수 성적 성향을 가족에게 인정받고자 하는데 가부장적인 가치관과 가계 계승이라는 전통적 성역할과 고정 관념으로 가족과 충돌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가부장적 가치관에 위배되는 남성 동성애자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둘째, 부모의 동성애에 대한 분노 표출(anger-out)은 가족갈등을 심화시킨다. 동성애를 바라보는 상반된 신념에 의해 가족은 대립하고 있으며, 부모는 자신의 권력을 행사하여 자녀의 소수 성적 성향을 억압하고자 강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의견에 복종하지 않고 거부적 반응을 보이는 자녀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였다. 부모가 자녀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함에 따라 가족갈등은 더욱 심화되어, 남성 동성애자들은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지속적인 가족갈등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동성애자는 높은 위기감을 경험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가족의 폭언과 폭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스트레스 과부화 상태에 놓여 있으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다양한 지지자원이 없었다. 이들은 스트레스에 의한 분노, 우울, 불쾌감, 무력감, 공허감, 외로움 등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거나 자살충동, 가출, 알코올 의존 등 반사회적 행동을 보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가족갈등은 남성 동성애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높은 위기감을 경험하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지자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넷째,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는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여 환경에 부적응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사회의 부정적 시선과 고정관념에 따른 가족갈등에 의한 편견적 태도를 의식함으로서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며 환경에 부적응 한다. 타인에 의해 스스로가 부정적 판단을 받았다고 인식함에 따라 남성 동성애자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었으며, 낮은 자존감에 의한 부정적 심리적 안녕감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환경에 부적응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전략적 방어기제인 회피를 선택한다.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가족과 거부적 소통을 하거나 가족으로부터 독립함으로서 가족 갈등에서 벗어나는 일시적 해결책을 선택하였다. 장기간 반복되는 갈등으로 가족은 낮은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남성 동성애자들은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에서 단기적으로 벗어나고자 방어기제 중 회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닌 부모와의 갈등으로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가족 상담 전문가와 함께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하여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족의 거절에 의한 두려움과 스트레스로 남성 동성애자는 현재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존감 회복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남성 동성애자는 가족갈등 사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정서적 압박감을 크게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정서체계와 행동체계를 되짚어보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의 가학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는 남성 동성애자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적 지지가 가정 내에서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동성애에 대한 혐오적 반응과 차별을 가정 내에서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과 친밀한 관계 맺음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따라서 남성 동성애자 스스로 긍정적 피드백을 내면화하는 훈련을 습관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 경험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족갈등’ 의 맥락적 요인과 과정을 바탕으로 남성 동성애자들의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 경험을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 ~ 2017년 5월 총 19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남성 동성애자 6명을 대상으로 3회기 심층 인터뷰하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사회의 가부장적 가치관은 남성 동성애자의 커밍아웃에 의한 가족갈등을 강화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동성에게 이성적 호감으로 느끼지만 사회의 배타적인 선입견을 의식하여 소수 성적 성향에 대해 부정하기 때문에 이성애자와 다른 성장 경험을 한다. 하지만 시간의 방향에 따라 커밍아웃하여 자신의 소수 성적 성향을 가족에게 인정받고자 하는데 가부장적인 가치관과 가계 계승이라는 전통적 성역할과 고정 관념으로 가족과 충돌하면서 갈등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가부장적 가치관에 위배되는 남성 동성애자는 가족 구성원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둘째, 부모의 동성애에 대한 분노 표출(anger-out)은 가족갈등을 심화시킨다. 동성애를 바라보는 상반된 신념에 의해 가족은 대립하고 있으며, 부모는 자신의 권력을 행사하여 자녀의 소수 성적 성향을 억압하고자 강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신의 의견에 복종하지 않고 거부적 반응을 보이는 자녀에게 분노를 표출하며, 폭언과 폭력을 행사하였다. 부모가 자녀에게 상습적으로 폭력을 행사함에 따라 가족갈등은 더욱 심화되어, 남성 동성애자들은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 셋째, 지속적인 가족갈등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동성애자는 높은 위기감을 경험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가족의 폭언과 폭력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스트레스 과부화 상태에 놓여 있으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다양한 지지자원이 없었다. 이들은 스트레스에 의한 분노, 우울, 불쾌감, 무력감, 공허감, 외로움 등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거나 자살충동, 가출, 알코올 의존 등 반사회적 행동을 보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가족갈등은 남성 동성애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높은 위기감을 경험하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지지자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넷째,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는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여 환경에 부적응한다. 남성 동성애자들은 사회의 부정적 시선과 고정관념에 따른 가족갈등에 의한 편견적 태도를 의식함으로서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며 환경에 부적응 한다. 타인에 의해 스스로가 부정적 판단을 받았다고 인식함에 따라 남성 동성애자들은 심리적으로 위축되었으며, 낮은 자존감에 의한 부정적 심리적 안녕감은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환경에 부적응하였다. 다섯째,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전략적 방어기제인 회피를 선택한다.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가족과 거부적 소통을 하거나 가족으로부터 독립함으로서 가족 갈등에서 벗어나는 일시적 해결책을 선택하였다. 장기간 반복되는 갈등으로 가족은 낮은 결속력을 보이고 있으며,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남성 동성애자들은 가족갈등에 의한 스트레스에서 단기적으로 벗어나고자 방어기제 중 회피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닌 부모와의 갈등으로 불안정한 애착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가족 상담 전문가와 함께 적극적으로 문제 해결하여 관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족의 거절에 의한 두려움과 스트레스로 남성 동성애자는 현재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자존감 회복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남성 동성애자는 가족갈등 사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정서적 압박감을 크게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개인의 정서체계와 행동체계를 되짚어보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가족의 가학적이고 폭력적인 행위는 남성 동성애자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주고 있기 때문에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서적 지지가 가정 내에서 충족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동성애에 대한 혐오적 반응과 차별을 가정 내에서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과 친밀한 관계 맺음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따라서 남성 동성애자 스스로 긍정적 피드백을 내면화하는 훈련을 습관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estingly investigate the stressful experiences of male homosexuals due to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contextual factors and process of 'family conflicts in the process of coming out’. Acquisition of data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5 to May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estingly investigate the stressful experiences of male homosexuals due to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contextual factors and process of 'family conflicts in the process of coming out’. Acquisition of data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5 to May 2017 for a total duration of 19 months, and 6 male homosexual individuals in their 20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in depth by applying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d. The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riarchal values of our society strengthens the family conflict caused by coming out of male homosexuals. Male homosexuals feel rationally attracted to same sex, but have a different growth experience from that of heterosexual because they deny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by being conscious of the exclusive preconceptions of society. However, an attempt to gain family’s approval and recognition of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by coming out at the right time clashes with patriarchal values, family succession,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it starts family confliction. Therefore, male homosexuals who infringe patriarchal values are stuck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not recognized as family members. Second, parent’s anger out on homosexuality deepens family conflicts. Families are confronting by conflicting beliefs about homosexuality, and parents are taking a coercive attitude to suppress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of their child by exercising parental authority. Thus, the parents expressed their anger and used violence toward the child who did not respect and obey their opinion and also when the child reacted negatively. As parent’s violence become habitual, family conflicts intensified and caused child to be exhausted mentally. Third, continuous family conflict triggers anxiety and stress which causes homosexual individual to feel sense of crisis. By being exposed to continuous act of violence and verbal assault by the family, they are overloaded with stress but no relief resources were available. They showe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depression, discomfort, powerlessness, emptiness, and loneliness caused by stress, and showed antisocial behavior such as suicidal, runaway, and alcohol dependence. Therefore, diverse support resources are in need because continuous family conflict can be a major factor that causes male homosexual to be stressed and feel sense of crisis. Fourth, stress caused by family conflict develops low self-esteem which leads to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Being aware of negative social view and stereotype and family conflict by prejudicial attitude, male homosexuals develop low self-esteem and struggles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s they perceive themselves to be negatively judged by others, male homosexuals were psychologically dispirited and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low self - esteem caused stress, leading to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Fifth, choice of strategical defensive avoidance to deal with the stress. To deal with the stress, they chose temporary solution to get out of the family conflict by being family-independent or communicating with the family members in a refusing manner. Due to long - lasting conflict, family members show low cohesion and show no will to resolve conflicts. Thus, male homosexuals used defensive avoidance to temporarily escape from stress caused by the conflic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because of unstable relationship caused by conflict with the parents who have traditional values, it is necessary to aggressively solve the problem with the help of family counseling specialist. Second, because male homosexuals have low self-esteem due to fear of rejection from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train themselves to revitalize their self-dignity. Third, male homosexual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essures that occur in family confli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system and revise problematic part. Fourth, because the sadistic and violent acts of family causes serious stress to male homosexuals, emotional support that can positively affect psychological well - being should be met within the family. Fifth, there is a fear of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because they experience homophobic reaction and discrimination in h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ale homosexuals to train themselves to make it a habit to internalize positive feedback on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estingly investigate the stressful experiences of male homosexuals due to family conflict based on the contextual factors and process of 'family conflicts in the process of coming out’. Acquisition of data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5 to May 2017 for a total duration of 19 months, and 6 male homosexual individuals in their 20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in depth by applying hermeneutical grounded theory method. The conclusions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riarchal values of our society strengthens the family conflict caused by coming out of male homosexuals. Male homosexuals feel rationally attracted to same sex, but have a different growth experience from that of heterosexual because they deny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by being conscious of the exclusive preconceptions of society. However, an attempt to gain family’s approval and recognition of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by coming out at the right time clashes with patriarchal values, family succession,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it starts family confliction. Therefore, male homosexuals who infringe patriarchal values are stuck in a situation where they are not recognized as family members. Second, parent’s anger out on homosexuality deepens family conflicts. Families are confronting by conflicting beliefs about homosexuality, and parents are taking a coercive attitude to suppress their minority sexual orientation of their child by exercising parental authority. Thus, the parents expressed their anger and used violence toward the child who did not respect and obey their opinion and also when the child reacted negatively. As parent’s violence become habitual, family conflicts intensified and caused child to be exhausted mentally. Third, continuous family conflict triggers anxiety and stress which causes homosexual individual to feel sense of crisis. By being exposed to continuous act of violence and verbal assault by the family, they are overloaded with stress but no relief resources were available. They showed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depression, discomfort, powerlessness, emptiness, and loneliness caused by stress, and showed antisocial behavior such as suicidal, runaway, and alcohol dependence. Therefore, diverse support resources are in need because continuous family conflict can be a major factor that causes male homosexual to be stressed and feel sense of crisis. Fourth, stress caused by family conflict develops low self-esteem which leads to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Being aware of negative social view and stereotype and family conflict by prejudicial attitude, male homosexuals develop low self-esteem and struggles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s they perceive themselves to be negatively judged by others, male homosexuals were psychologically dispirited and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due to low self - esteem caused stress, leading to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Fifth, choice of strategical defensive avoidance to deal with the stress. To deal with the stress, they chose temporary solution to get out of the family conflict by being family-independent or communicating with the family members in a refusing manner. Due to long - lasting conflict, family members show low cohesion and show no will to resolve conflicts. Thus, male homosexuals used defensive avoidance to temporarily escape from stress caused by the conflic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because of unstable relationship caused by conflict with the parents who have traditional values, it is necessary to aggressively solve the problem with the help of family counseling specialist. Second, because male homosexuals have low self-esteem due to fear of rejection from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train themselves to revitalize their self-dignity. Third, male homosexual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essures that occur in family confli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system and revise problematic part. Fourth, because the sadistic and violent acts of family causes serious stress to male homosexuals, emotional support that can positively affect psychological well - being should be met within the family. Fifth, there is a fear of building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because they experience homophobic reaction and discrimination in hom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male homosexuals to train themselves to make it a habit to internalize positive feedback on their ow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