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공간적 접근성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각각의 지역성에 맞는 정책대안을 고찰하고 학술적 근거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간적 접근성 측정을 위해 여러 접근성 측정방법 중 국내 적용에 적합한 접근성 측정방법을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 중 2SFCA(Two-Step Floating Catchment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공간적 접근성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각각의 지역성에 맞는 정책대안을 고찰하고 학술적 근거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간적 접근성 측정을 위해 여러 접근성 측정방법 중 국내 적용에 적합한 접근성 측정방법을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 중 2SFCA(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이라는 측정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근성 측정방법 중 2SFCA 측정방법을 기반으로 공간적 접근성 분석과 측정방법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다. 충청남도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변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SFCA 기반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변수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개선을 위한 변수들은 임계거리 차별화, 거리조락함수적용, 연령별 응급의료기관 이용가중치, 관내 기관 선택가중치이다. 둘째, 이러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2SFCA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의 수정모형 M3SFCA을 제안하고, 2SFCA, E2SFCA, 3SFCA과의 공간적 접근성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방법별 공간적 접근성 비교분석에서 수요인구는 M3SFCA에서 가장 많이 측정되었다. 이는 기관별 공급임계거리가 최대도달거리로써 수요인구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관이용가중치가 수요인구 산출시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PPR(공급 대비 수요자 비율)은 E2SFCA에서 높게 나타났다. PPR은 수요인구가 적게 산출될수록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E2SFCA는 측정방법들 중에서 수요인구가 가장 적게 산출되었다. 공간적 접근성은 E2SFCA에서 높았고, M3SFCA에서 낮았다. 공간적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는 측정방법 모두 청양군과 천안시 중심부에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과 시군행정경계 지역에서는 공간적 접근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공급임계거리의 거리에 따른 거리조락효과와 관련이 있다. 셋째, M3SFCA를 활용한 충청남도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시군별, 읍면동별 공간적 접근성의 시계열 분석을 연령별로 각각 분석하고, 공간적 접근성이 변화하게 된 요인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령별 시군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는 모든 연령층에서 2014년에 공간적 접근성이 감소하였다가 2015년에 증가하였다. 시군 공간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은 유소년층과 노년층에서 천안시, 청장년층에서 서산시가 높게 나타났다. 천안시는 응급의료기관들이 많이 입지하고 있으며 유소년층과 노년층 수요인구의 관내 응급의료기관들에 대한 선택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았다. 서산시는 관내 응급의료기관들에 대한 선택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았다. 반면, 공간적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유소년층과 청장년층, 노년층 모두에서 태안군, 아산시가 낮게 나타났다. 태안군은 태안반도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공급임계거리와 수요임계거리가 모두 크고, 태안군 보건의료원에 대한 선택비중이 낮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낮았다. 아산시는 관내 응급의료기관을 선택하기보다는 여전히 천안시, 경기도 평택시의 응급의료기관들을 선택하는 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낮았다. 연령별 읍면동의 공간적 접근성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응급의료기관의 보유수, 공급임계거리의 포함여부, 거리조락의 영향이었다. 공간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들은 기관과의 거리나 응급의료기관의 보유수에 의한 영향이 컸다. 기관과 가까운 지역이나 응급의료기관이 다수 분포하는 지역의 주변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공간적 접근성이 낮은 지역들은 공급임계거리의 영향이 컸다. 접근성이 낮은 지역들은 공급임계거리 내 미포함되어 공간적 접근성 값이 0인 지역들이었다. 또는 공급임계거리 내 포함은 되어 있지만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거리조락의 영향으로 공간적 접근성 값이 상당히 낮게 나타난 지역들이었다. 마지막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 공간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증감에 따른 공간적 접근성 값의 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별 변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PR(공급 대비 수요자비율)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병상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근성이 좋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고 있지만, 병상수가 증가할수록 9.49개, 9.95개, 10.42개의 병상을 제공받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급임계거리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공급임계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접근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었지만, 공급임계거리가 증가하면서 8.94개, 8.90개, 8.86개의 병상을 제공받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관내기관 선택가중치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변화가 미미하였다. 기존에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었던 충청남도 노년층의 접근성이 관내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노년층의 인구가 2.0%씩 증가하였을 때 9.04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관이용환자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종합하면, 접근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병상수 증가에 따른 PPR변화 - 공급임계거리 증가 - 선택환자증가에 따른 관내기관 선택가중치 변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이용환자 변화에 따른 노년층 공간적 접근성의 경우 접근성 변화가 상당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관련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원배분에 있어 기관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응급의료시설의 신규입지 검토와 시설배치의 최적화를 위한 실질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역민의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의 강화는 물론, 공공의료서비스 시설의 신규 설치 등에 있어서도 취약지역·계층에 대한 지역적·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응급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고, 공간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 공간적 접근성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한 각각의 지역성에 맞는 정책대안을 고찰하고 학술적 근거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공간적 접근성 측정을 위해 여러 접근성 측정방법 중 국내 적용에 적합한 접근성 측정방법을 탐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 중 2SFCA(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이라는 측정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접근성 측정방법 중 2SFCA 측정방법을 기반으로 공간적 접근성 분석과 측정방법에 대한 개선을 제안하였다. 충청남도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간적 접근성 변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과정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SFCA 기반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의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변수들에 대해 고찰하였다. 개선을 위한 변수들은 임계거리 차별화, 거리조락함수적용, 연령별 응급의료기관 이용가중치, 관내 기관 선택가중치이다. 둘째, 이러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2SFCA 공간적 접근성 측정방법의 수정모형 M3SFCA을 제안하고, 2SFCA, E2SFCA, 3SFCA과의 공간적 접근성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방법별 공간적 접근성 비교분석에서 수요인구는 M3SFCA에서 가장 많이 측정되었다. 이는 기관별 공급임계거리가 최대도달거리로써 수요인구를 많이 포함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관이용가중치가 수요인구 산출시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PPR(공급 대비 수요자 비율)은 E2SFCA에서 높게 나타났다. PPR은 수요인구가 적게 산출될수록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E2SFCA는 측정방법들 중에서 수요인구가 가장 적게 산출되었다. 공간적 접근성은 E2SFCA에서 높았고, M3SFCA에서 낮았다. 공간적 접근성의 공간적 분포는 측정방법 모두 청양군과 천안시 중심부에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다. 기관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과 시군행정경계 지역에서는 공간적 접근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공급임계거리의 거리에 따른 거리조락효과와 관련이 있다. 셋째, M3SFCA를 활용한 충청남도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시군별, 읍면동별 공간적 접근성의 시계열 분석을 연령별로 각각 분석하고, 공간적 접근성이 변화하게 된 요인들에 대해 탐색하였다. 연령별 시군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는 모든 연령층에서 2014년에 공간적 접근성이 감소하였다가 2015년에 증가하였다. 시군 공간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은 유소년층과 노년층에서 천안시, 청장년층에서 서산시가 높게 나타났다. 천안시는 응급의료기관들이 많이 입지하고 있으며 유소년층과 노년층 수요인구의 관내 응급의료기관들에 대한 선택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았다. 서산시는 관내 응급의료기관들에 대한 선택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높았다. 반면, 공간적 접근성이 낮은 지역은 유소년층과 청장년층, 노년층 모두에서 태안군, 아산시가 낮게 나타났다. 태안군은 태안반도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공급임계거리와 수요임계거리가 모두 크고, 태안군 보건의료원에 대한 선택비중이 낮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낮았다. 아산시는 관내 응급의료기관을 선택하기보다는 여전히 천안시, 경기도 평택시의 응급의료기관들을 선택하는 비중이 높아서 공간적 접근성이 낮았다. 연령별 읍면동의 공간적 접근성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응급의료기관의 보유수, 공급임계거리의 포함여부, 거리조락의 영향이었다. 공간적 접근성이 높은 지역들은 기관과의 거리나 응급의료기관의 보유수에 의한 영향이 컸다. 기관과 가까운 지역이나 응급의료기관이 다수 분포하는 지역의 주변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공간적 접근성이 낮은 지역들은 공급임계거리의 영향이 컸다. 접근성이 낮은 지역들은 공급임계거리 내 미포함되어 공간적 접근성 값이 0인 지역들이었다. 또는 공급임계거리 내 포함은 되어 있지만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거리조락의 영향으로 공간적 접근성 값이 상당히 낮게 나타난 지역들이었다. 마지막으로 노년층을 대상으로 공간적 접근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의 증감에 따른 공간적 접근성 값의 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별 변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PR(공급 대비 수요자비율)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병상수가 증가함에 따라 접근성이 좋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고 있지만, 병상수가 증가할수록 9.49개, 9.95개, 10.42개의 병상을 제공받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급임계거리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공급임계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접근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존에는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었지만, 공급임계거리가 증가하면서 8.94개, 8.90개, 8.86개의 병상을 제공받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관내기관 선택가중치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변화가 미미하였다. 기존에 9.03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었던 충청남도 노년층의 접근성이 관내응급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노년층의 인구가 2.0%씩 증가하였을 때 9.04개의 병상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관이용환자 변화에 따른 노년층 인구 만명당 공간적 접근성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종합하면, 접근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병상수 증가에 따른 PPR변화 - 공급임계거리 증가 - 선택환자증가에 따른 관내기관 선택가중치 변화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이용환자 변화에 따른 노년층 공간적 접근성의 경우 접근성 변화가 상당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관련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원배분에 있어 기관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응급의료시설의 신규입지 검토와 시설배치의 최적화를 위한 실질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역민의 생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응급의료서비스 체계의 강화는 물론, 공공의료서비스 시설의 신규 설치 등에 있어서도 취약지역·계층에 대한 지역적·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