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통한 상담의 인식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쩨, 학생들과 교사들의 학교상담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학년부터 3학년을 대상으로 257명과, 해당학교 교사 59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학생용 설문지는 최은숙(2009)의 연구에서 상담실태 6항목, 상담활성화 5개 문항과 이선희(2016)의 상담실태 8개, 상담활성화 18개 항목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김준호(2002)의 기초인적사항 및 실태에 관련된 5개항목과 상담활성화와 관련된 항목4개를 참고하였고, 이팔헌(2006)의 연구에서 기초인적사항 항목 6개와 상담실태와 관련된 항목11개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설문은, 학급의 진로탐색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에 대한 안내를 하였다. 교사설문은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힘들어, Google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알아보기 위하여 ...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통한 상담의 인식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쩨, 학생들과 교사들의 학교상담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학년부터 3학년을 대상으로 257명과, 해당학교 교사 59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학생용 설문지는 최은숙(2009)의 연구에서 상담실태 6항목, 상담활성화 5개 문항과 이선희(2016)의 상담실태 8개, 상담활성화 18개 항목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김준호(2002)의 기초인적사항 및 실태에 관련된 5개항목과 상담활성화와 관련된 항목4개를 참고하였고, 이팔헌(2006)의 연구에서 기초인적사항 항목 6개와 상담실태와 관련된 항목11개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설문은, 학급의 진로탐색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에 대한 안내를 하였다. 교사설문은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힘들어, Google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는 첫째, 상담실에서는 인성교육 및 상담활동 등을 통한 상담실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정규수업시간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동아리활동 등 교과이외의 집단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셋째, 진로나 고민 등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자질 있는 전문상담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요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상담실이 문제 학생을 지도하는 곳이라는 등 잘못된 인식의 교정 및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상담 수요자인 학생들이 고민하고 호소하는 문제, 상담 받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학교 상담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일반교사, 상담교사, 지역사회 상담기관이 애착과 열정을 갖고 상담활동에 임해야 겠다. 셋째, 일선 고등학교 교사의 과중한 수업과 업무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많이 활성화되어 있다고는 하나,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재단의 예산편성 등 다각적인 조치를 통하여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의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통한 상담의 인식 및 개선방안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쩨, 학생들과 교사들의 학교상담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에 소재한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학년부터 3학년을 대상으로 257명과, 해당학교 교사 59명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학생용 설문지는 최은숙(2009)의 연구에서 상담실태 6항목, 상담활성화 5개 문항과 이선희(2016)의 상담실태 8개, 상담활성화 18개 항목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김준호(2002)의 기초인적사항 및 실태에 관련된 5개항목과 상담활성화와 관련된 항목4개를 참고하였고, 이팔헌(2006)의 연구에서 기초인적사항 항목 6개와 상담실태와 관련된 항목11개를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생설문은, 학급의 진로탐색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에 대한 안내를 하였다. 교사설문은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일괄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힘들어, Google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상담활성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과 교사의 비교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는 첫째, 상담실에서는 인성교육 및 상담활동 등을 통한 상담실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둘째, 정규수업시간 이외에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동아리활동 등 교과이외의 집단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셋째, 진로나 고민 등을 전문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자질 있는 전문상담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주요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상담실이 문제 학생을 지도하는 곳이라는 등 잘못된 인식의 교정 및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상담 수요자인 학생들이 고민하고 호소하는 문제, 상담 받고 싶은 문제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학교 상담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일반교사, 상담교사, 지역사회 상담기관이 애착과 열정을 갖고 상담활동에 임해야 겠다. 셋째, 일선 고등학교 교사의 과중한 수업과 업무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제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많이 활성화되어 있다고는 하나,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재단의 예산편성 등 다각적인 조치를 통하여 전문상담교사의 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