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 기록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한 편의 영화는 다수의 창작인력이 의도를 가지고 행한 활동의 결합체이다. 영화가 제작되는 동안 창작인력이 수행한 활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행위임과 동시에 창작인력의 개인적인 성취를 증명한다.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을 기록화 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하고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기록을 확인한 뒤 제작과정의 효과적인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필요하다. 첫 번째는 창작인력의 활동 증거 기록 측면으로 경력인증과 연관된다. 두 번째는 영화 ...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 기록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한 편의 영화는 다수의 창작인력이 의도를 가지고 행한 활동의 결합체이다. 영화가 제작되는 동안 창작인력이 수행한 활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행위임과 동시에 창작인력의 개인적인 성취를 증명한다.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을 기록화 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하고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기록을 확인한 뒤 제작과정의 효과적인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필요하다. 첫 번째는 창작인력의 활동 증거 기록 측면으로 경력인증과 연관된다. 두 번째는 영화 아카이브 이용자의 정보 활용 측면으로 이용자는 제작과정 기록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영화를 심도 있게 이해한다. 세 번째는 영화교육의 자료 측면으로 영화 제작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은 미래 창작인력의 교육에 활용 가능하다. 기록화 대상의 선정을 위한 영화 제작과정 분석 범위는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기간 동안 연출, 미술, 제작, 촬영․조명 네 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이다. 업무분석은 각 부서에 소속된 창작인력의 직무를 정리하고 각 직무가 수행하는 활동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활동의 분석을 통해 각 부서가 단계마다 수행하는 행위를 확인하고 생산하는 기록을 파악하여 기록화 대상을 선택한다. 기록화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관으로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영상자료원을 선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검토한다. 그리고 기록화 전략으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영화 창작인력이 주체적으로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에 참여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의미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의 설립과 운영에는 창작인력과 기관의 두 참여주체가 모두 필요하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기록을 디지털 형태로 수집하고 이용자에게 디지털콘텐츠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을 제공하고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기록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부여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의 생산주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제도의 개선과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영화 제작과정 기록이 가진 가치에 대한 인식과 기록화에 대한 공감대의 확산을 통해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가 설립되어 창작인력 자신과 아카이브 이용자를 위한 공공의 영화유산 아카이브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 기록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한 편의 영화는 다수의 창작인력이 의도를 가지고 행한 활동의 결합체이다. 영화가 제작되는 동안 창작인력이 수행한 활동은 조직의 구성원으로서의 행위임과 동시에 창작인력의 개인적인 성취를 증명한다. 이 연구는 영화 제작과정을 기록화 해야 하는 이유를 정리하고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기록을 확인한 뒤 제작과정의 효과적인 기록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는 세 가지 측면에서 필요하다. 첫 번째는 창작인력의 활동 증거 기록 측면으로 경력인증과 연관된다. 두 번째는 영화 아카이브 이용자의 정보 활용 측면으로 이용자는 제작과정 기록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영화를 심도 있게 이해한다. 세 번째는 영화교육의 자료 측면으로 영화 제작과정에서 생산된 기록은 미래 창작인력의 교육에 활용 가능하다. 기록화 대상의 선정을 위한 영화 제작과정 분석 범위는 프리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기간 동안 연출, 미술, 제작, 촬영․조명 네 부서에서 수행하는 업무이다. 업무분석은 각 부서에 소속된 창작인력의 직무를 정리하고 각 직무가 수행하는 활동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활동의 분석을 통해 각 부서가 단계마다 수행하는 행위를 확인하고 생산하는 기록을 파악하여 기록화 대상을 선택한다. 기록화 전략의 수립을 위한 기관으로 영화진흥위원회와 한국영상자료원을 선정하고 제도적 지원을 위해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검토한다. 그리고 기록화 전략으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영화 창작인력이 주체적으로 영화 제작과정의 기록화에 참여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의미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의 설립과 운영에는 창작인력과 기관의 두 참여주체가 모두 필요하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는 기록을 디지털 형태로 수집하고 이용자에게 디지털콘텐츠 형태로 제공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을 제공하고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은 기록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부여해야 한다.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에 기록의 생산주체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제도의 개선과 포트폴리오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영화 제작과정 기록이 가진 가치에 대한 인식과 기록화에 대한 공감대의 확산을 통해 참여형 영화 아카이브가 설립되어 창작인력 자신과 아카이브 이용자를 위한 공공의 영화유산 아카이브로 발전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rchiving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rchiving cinema production process. One movie i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a film crew has done intentionally.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rchiving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rchiving cinema production process. One movie i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a film crew has done intentionally.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film crew demonstrates their personal accomplishment as well as their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to find a effective archiving method, firstly, the reason that why cinema production process should be archived is emphasized. Secondly, to select the archival objects which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analyzed. Thirdly, as a new archival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three aspects. Archiving of the process can be the evidence of activity of film crews and associated with their career certification. Also the records from the process provide extended information to archive users which helps understand a movie in depth. In addition, the records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an be used to educate future film crew. In order to select the objects for archiving, the tasks performed by the four departments of cinema production during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period is reviewed first. The task analysis is based 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each job belonging to respective depart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the archival objects produced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is determined. The Korean Film Council(KOFIC) and the Korean Film Archive(KOFA) are selected as the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ving strategy. "Promotion of the Motion Pictures and Video Products Act" is reviewed for institutional support. Lastly,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as an archiving strategy. In this study, a participatory movie archive means an archive in which a film crew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requires both the role of the film crew and the institutions. The Archiving method of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should collect the records in digital form and provide them to users in the form of digital contents. The right to provide and access records in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must be as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cord. In order to induce film crews, who are the producers of the records, in the participatory cinema archives, it is necessary to proce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build a system that the records provided by staffs can be utilized as a portfolio.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and the spread of consensus on the archiving,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can be established and become a public cinema heritage archive for the film crew and archive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rchiving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archiving cinema production process. One movie is a combination of activities that a film crew has done intentionally.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the film crew demonstrates their personal accomplishment as well as their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In this study, to find a effective archiving method, firstly, the reason that why cinema production process should be archived is emphasized. Secondly, to select the archival objects which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analyzed. Thirdly, as a new archival method for cinema production process,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is necessary in three aspects. Archiving of the process can be the evidence of activity of film crews and associated with their career certification. Also the records from the process provide extended information to archive users which helps understand a movie in depth. In addition, the records produced during the production can be used to educate future film crew. In order to select the objects for archiving, the tasks performed by the four departments of cinema production during pre-production,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period is reviewed first. The task analysis is based on the activities performed by each job belonging to respective depart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ivities, the archival objects produced during the cinema production is determined. The Korean Film Council(KOFIC) and the Korean Film Archive(KOFA) are selected as the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rchiving strategy. "Promotion of the Motion Pictures and Video Products Act" is reviewed for institutional support. Lastly,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is suggested as an archiving strategy. In this study, a participatory movie archive means an archive in which a film crew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rchiving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requires both the role of the film crew and the institutions. The Archiving method of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should collect the records in digital form and provide them to users in the form of digital contents. The right to provide and access records in the participating cinema archives must be as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record. In order to induce film crews, who are the producers of the records, in the participatory cinema archives, it is necessary to proce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build a system that the records provided by staffs can be utilized as a portfolio.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value of the cinema production process and the spread of consensus on the archiving, a participatory cinema archive can be established and become a public cinema heritage archive for the film crew and archive us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