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the Meaning of Work on the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Work Project Participants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원문보기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제 분석에서는 조사된 604부의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의 평균비교, 상관관계분석,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제 분석에서는 조사된 604부의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의 평균비교,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경제적 이득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였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이득과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각각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이 종속변수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존감, 일의 매력, 사회적 인정은 삶의 만족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이득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으나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제 본격적으로 도래한 고령사회에 노후소득보장정책과 고용정책으로서 노인일자리사업이 갖는 사회적 유용성과 노인의 심리사회적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노년기 삶에서 노인들이 갖는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주요 변인들 간 총체적인 인과관계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는 중요한 인적·사회적 자원으로서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더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직무만족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지역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제 분석에서는 조사된 604부의 설문지가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주요변수의 평균비교,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관련 변인들 간의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삶의 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경제적 이득의 경로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을수록,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에 대해 갖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였다. 즉, 자존감이 높을수록, 일의 매력이 높을수록, 경제적 이득과 사회적 인정의 수준이 높을수록 각각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이 종속변수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의 의미가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존감, 일의 매력, 사회적 인정은 삶의 만족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이득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으나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제 본격적으로 도래한 고령사회에 노후소득보장정책과 고용정책으로서 노인일자리사업이 갖는 사회적 유용성과 노인의 심리사회적 효과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노년기 삶에서 노인들이 갖는 일의 의미와 삶의 만족 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주요 변인들 간 총체적인 인과관계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실증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는 중요한 인적·사회적 자원으로서 노인인력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더한다고 할 수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