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화장품 유통시장 중 오프라인 채널은 전체 시장의 80%의 압도적인 비율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전통 오프라인 마켓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트랜드에 민감하고 개성과 가격대비의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국내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 드럭스토어(왓슨스, 올리브영 등), 생활잡화점(다이소, 미니소, 편의점)과 같은 현대적 유통망이 나타나 새로운 개념의 오프라인 유통채널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해진 유통시장에서 각 브랜드만의 경쟁력을 갖고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주어 지속적인 소비행위가 이루어지게 하 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서비스 수준정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
우리나라의 화장품 유통시장 중 오프라인 채널은 전체 시장의 80%의 압도적인 비율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전통 오프라인 마켓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트랜드에 민감하고 개성과 가격대비의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국내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 드럭스토어(왓슨스, 올리브영 등), 생활잡화점(다이소, 미니소, 편의점)과 같은 현대적 유통망이 나타나 새로운 개념의 오프라인 유통채널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해진 유통시장에서 각 브랜드만의 경쟁력을 갖고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주어 지속적인 소비행위가 이루어지게 하 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서비스 수준정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코스메틱 브랜드 기업에서는 직원들의 서비스 역할 중요성을 깨닫고 직원교육 분야에 많은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기업에서는 각 브랜드가 추구하는 차별화된 가치와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브랜드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는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을 양성하는 등, 직원들의 직급과 직무를 브랜드의 특성에 맞게 세분화 하고, 그들의 직급과 직무에 따라 차별화된 직원서비스교육에 큰 힘을 쏟고 있다. 메이크업 쇼 등을 통한 브랜드의 차별화된 가치전달을 위한 마케팅적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의 전략에 따라 직원들의 역량과 역할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들의 직원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코스메틱 브랜드 직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각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 및 중요도를 알아봄으로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Perfume Christian Dior(이하 크리스챤 디올)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2018년 7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280배포, 회수 하였고, 그 중 223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자료에 의한 분석방법은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IPA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 크리스챤 디올의 교육프로그램 중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교육프로그램은 주로 특수한 아티스트 집단의 교육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직원들의 기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더불어 특수한 직무를 맡고 있는 집단만의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후 향후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에 개발 및 효율적인 내용 보완을 위해 교육내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판매스킬교육, 테크닉스킬교육, 마인드교육이 직무성과에 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직무에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판매할 때 필요한 기술, 메이크업 테크닉에 관한 교육, 브랜드의 비전 교육 및 자긍심 고취를 위한 교육에 대한 내용을 더욱 강화하여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크리스챤 디올 직원들의 교육만족도와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으로 수정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보다 실용적인 교육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또한 크리스챤 디올이 아닌 또 다른 코스메틱 브랜드들의 직원교육의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유통시장 중 오프라인 채널은 전체 시장의 80%의 압도적인 비율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전통 오프라인 마켓이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트랜드에 민감하고 개성과 가격대비의 효율성을 중요시하는 국내소비자들의 성향에 따라 드럭스토어(왓슨스, 올리브영 등), 생활잡화점(다이소, 미니소, 편의점)과 같은 현대적 유통망이 나타나 새로운 개념의 오프라인 유통채널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해진 유통시장에서 각 브랜드만의 경쟁력을 갖고 소비자에게 더 큰 만족도를 주어 지속적인 소비행위가 이루어지게 하 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서비스 수준정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코스메틱 브랜드 기업에서는 직원들의 서비스 역할 중요성을 깨닫고 직원교육 분야에 많은 투자를 기울이고 있다. 기업에서는 각 브랜드가 추구하는 차별화된 가치와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브랜드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는 메이크업 아티스트들을 양성하는 등, 직원들의 직급과 직무를 브랜드의 특성에 맞게 세분화 하고, 그들의 직급과 직무에 따라 차별화된 직원서비스교육에 큰 힘을 쏟고 있다. 메이크업 쇼 등을 통한 브랜드의 차별화된 가치전달을 위한 마케팅적 투자를 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들의 전략에 따라 직원들의 역량과 역할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들의 직원교육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으로 코스메틱 브랜드 직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각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 및 중요도를 알아봄으로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Perfume Christian Dior(이하 크리스챤 디올)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2018년 7월 28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280배포, 회수 하였고, 그 중 223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자료에 의한 분석방법은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IPA분석,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현재 크리스챤 디올의 교육프로그램 중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교육프로그램은 주로 특수한 아티스트 집단의 교육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직원들의 기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더불어 특수한 직무를 맡고 있는 집단만의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후 향후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에 개발 및 효율적인 내용 보완을 위해 교육내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판매스킬교육, 테크닉스킬교육, 마인드교육이 직무성과에 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직무에 더욱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판매할 때 필요한 기술, 메이크업 테크닉에 관한 교육, 브랜드의 비전 교육 및 자긍심 고취를 위한 교육에 대한 내용을 더욱 강화하여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크리스챤 디올 직원들의 교육만족도와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으로 수정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실제 현장에서 보다 실용적인 교육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으며 또한 크리스챤 디올이 아닌 또 다른 코스메틱 브랜드들의 직원교육의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Offline (as opposed to online) channels take up an overwhelming 80% of the entire cosmetics distribution market in Korea. Most of them are conventional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big-box stores, but new distribution channels are emerging rapidly to meet the needs of savvy, trend-sensiti...
Offline (as opposed to online) channels take up an overwhelming 80% of the entire cosmetics distribution market in Korea. Most of them are conventional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big-box stores, but new distribution channels are emerging rapidly to meet the needs of savvy, trend-sensitive, and knowledgeable consumers. Such up-and-coming distribution channels include drugstores (Watsons, Olive Young, etc.) and general stores (Daiso, Miniso, convenience stores,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ality of employee service has become a critical factor for brands to build their unique competitiveness and encourage consumers to buy from them by giving them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such a diversified distribution market. Accordingly, cosmetics brands are investing heavily on employee training, as they increasingly realize service is important in gaining competitive edge. These companies are segmenting the ranks and roles of employees to meet their brand characteristics, such as training makeup artists who carry the brands’ distinguished values and images. The type of employee service training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ranks and roles. The companies are also making marketing-based investment through makeup shows to deliver their own values. Following such corporate strategies, the importance of the employees’ capacity and roles is growing consistently.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the purpose of employee capacity building is growing as well.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types of training required in the field by looking into the status of current training programs provided to cosmetic brand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levels to each program. A total of 280 self-answer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at from July 1, 2018 to July 28, 2018, of which 223 answer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thods of analysis used for the data included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P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the SPSS analysis package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training program which should be improved at Christian Dior was the one designed for special artist groups. A better and differentiated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assuming specialized roles, as well as a universal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basic capacity of all employees, was urgently requir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s of current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the training program has on job performance, in order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future training programs and supplement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ales skills training, technique skill improvement training, and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in developing future training programs, there is a need for intensifying contents on sales skills, makeup techniques, brand vision, and ways to boost the employees' self-esteem to come up with more role-efficient and effective outcomes. This study could be helpful in redirecting the current training to a more practical path and enhance training efficiency,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training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s of Christian Dior employees.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basic data in setting the direction for employee training for cosmetic brands other than Christian Dior.
Offline (as opposed to online) channels take up an overwhelming 80% of the entire cosmetics distribution market in Korea. Most of them are conventional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big-box stores, but new distribution channels are emerging rapidly to meet the needs of savvy, trend-sensitive, and knowledgeable consumers. Such up-and-coming distribution channels include drugstores (Watsons, Olive Young, etc.) and general stores (Daiso, Miniso, convenience stores, etc.).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quality of employee service has become a critical factor for brands to build their unique competitiveness and encourage consumers to buy from them by giving them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such a diversified distribution market. Accordingly, cosmetics brands are investing heavily on employee training, as they increasingly realize service is important in gaining competitive edge. These companies are segmenting the ranks and roles of employees to meet their brand characteristics, such as training makeup artists who carry the brands’ distinguished values and images. The type of employee service training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ranks and roles. The companies are also making marketing-based investment through makeup shows to deliver their own values. Following such corporate strategies, the importance of the employees’ capacity and roles is growing consistently.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the purpose of employee capacity building is growing as well.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the types of training required in the field by looking into the status of current training programs provided to cosmetic brand employees and thei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levels to each program. A total of 280 self-answer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mployees at from July 1, 2018 to July 28, 2018, of which 223 answer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thods of analysis used for the data included th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PA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the SPSS analysis package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riority training program which should be improved at Christian Dior was the one designed for special artist groups. A better and differentiated training program for employees assuming specialized roles, as well as a universal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basic capacity of all employees, was urgently required.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s of current training programs, this study has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fluence the training program has on job performance, in order to assist the development of future training programs and supplement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sales skills training, technique skill improvement training, and have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performance. This implies that in developing future training programs, there is a need for intensifying contents on sales skills, makeup techniques, brand vision, and ways to boost the employees' self-esteem to come up with more role-efficient and effective outcomes. This study could be helpful in redirecting the current training to a more practical path and enhance training efficiency,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training status and satisfaction levels of Christian Dior employees.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basic data in setting the direction for employee training for cosmetic brands other than Christian Dio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