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한신·아와지 대지진 재난아카이브는 자발적 시민참여 아카이브 운동이라는 사회현상과 연계되면서 거버넌스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일본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의 ‘고통 공감과 성장’을 위하여 재난아카이브를 기반으로 피해자 시민사회와 함께 지속적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와 함께 재난극복을 위한 사회적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 배경에는 시민들이 있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발생하고 시민들은 지진의 처참한 광경을 미디어를 통해 지켜보았으며, 그 결과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으로 이어졌다. 당시 유례가 없었던 큰 규모의 자원봉사활동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일본은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한 이 시기를 ‘봉사원년’이라고 명명했다. 지진 직후 시민사회의 자발적 ‘공조’체계가 형성되면서 일본 재난지역은 ‘재난 유토피아’를 경험했다. ‘재난 유토피아’는 재난지역의 피해자들과 시민사회가 이타적 감정이 상승하여 서로를 돕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으로 발전했다. 초기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자원봉사단체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 일반시민계층까지 확장되었다. 자발적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 참여는 전문가, 행정기관의 아카이브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민중심의 유례없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은 재난지역 행정기관들에게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지진 발생이후 아카이브 활동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시민중심 아카이브 활동은 재난기록 생산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에 추모글, 간행물, 노래, 문학작품, 미술품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생산 되었다.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새로운 문화형성, 정체성 변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성장으로 해석되었다. 기록을 활용한 이러한 사회현상은 시민사회가 피해자를 위로하는 방법이었다. 재난기록은 피해자들의 사회적 고통을 표출하는 통로로도 활용하였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재난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생산, 수집되었다. 피해자들은 재난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물리적·정신적 고통을 구술과 수기를 통해 표출하면서 고통과 직면했다. 구술·수기를 통한 피해자들의 고통직면은 그들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성장 시켰다.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은 전문가 행정기관으로 확장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서와 역사학자 중심으로 수집단계부터 활용을 염두 한 수집사업을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수집사업을 진행하면서 관계기관과 타 영역 전문가들과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필요성은 시민단체, 전문가집단, 행정기관과의 자발적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으로 이어졌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공동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관계기관이 모여 협력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수평적 협력모델이다. 당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구성원으로 참여한 피해지역 행정기관들은 이러한 네트워크망을 활용하여 재난아카이브 기반을 구축했다. 효고현 피해지역 행정기관의 재난아카이브는 설립초기부터 시민중심의 거버넌스 협력모델을 염두에 두었다. 이는 지진 직후부터 전개된 시민중심 수집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효고현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라는 시민중심의 거버넌스형 재난아카이브를 설립하였다. 2002년 설립한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지진 이후 아카이브 활동에 참여한 활동가나 전문가가 주축이 되어 조직을 구성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거버넌스 모델은 선진적인 재난아카이브 사례였지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효고현 퇴직공무원과 기능별 전문가들을 중복배치 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로서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구성원들과의 계층성을 포함하고 있던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조직구성은 재정적 자립이 재난아카이브의 운영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반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재난대응을 재난아카이브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서비스프로그램에 피해자들을 참여시켜 재난기억을 전승은 물론, 피해자의 사회적 참여를 통해 그들의 성장을 도왔다. 또한 재난 시의 현실적 대응을 위해 행정실무자, 기업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재난교육을 진행했다. 효고현의 재난아카이브뿐만 아니라 재난기억을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곳곳에서 나타났다. 피해자, 시민사회 대상의 구술·수기 활동과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활동을 예로들 수 있다. 이것은 재난기억 공유를 통해 개인과 커뮤니티의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기억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응축해서 보여준다. 피해자들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가족붕괴문제, 육아문제, 주거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갈등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구술·수기를 통해 사회에 공유하려 했다. 그들은 스스로의 경험을 고백하면서 사자(死者)와의 관계를 재정립하기도 하고, 자아성찰의 기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피해지역의 마을 만들기는 커뮤니티의 ‘장소성’ 복원을 두고 국가와의 갈등양상을 보였다. ...
일본 한신·아와지 대지진 재난아카이브는 자발적 시민참여 아카이브 운동이라는 사회현상과 연계되면서 거버넌스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일본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의 ‘고통 공감과 성장’을 위하여 재난아카이브를 기반으로 피해자 시민사회와 함께 지속적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와 함께 재난극복을 위한 사회적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 배경에는 시민들이 있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발생하고 시민들은 지진의 처참한 광경을 미디어를 통해 지켜보았으며, 그 결과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으로 이어졌다. 당시 유례가 없었던 큰 규모의 자원봉사활동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일본은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한 이 시기를 ‘봉사원년’이라고 명명했다. 지진 직후 시민사회의 자발적 ‘공조’체계가 형성되면서 일본 재난지역은 ‘재난 유토피아’를 경험했다. ‘재난 유토피아’는 재난지역의 피해자들과 시민사회가 이타적 감정이 상승하여 서로를 돕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으로 발전했다. 초기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자원봉사단체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 일반시민계층까지 확장되었다. 자발적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 참여는 전문가, 행정기관의 아카이브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민중심의 유례없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은 재난지역 행정기관들에게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지진 발생이후 아카이브 활동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시민중심 아카이브 활동은 재난기록 생산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에 추모글, 간행물, 노래, 문학작품, 미술품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생산 되었다.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새로운 문화형성, 정체성 변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성장으로 해석되었다. 기록을 활용한 이러한 사회현상은 시민사회가 피해자를 위로하는 방법이었다. 재난기록은 피해자들의 사회적 고통을 표출하는 통로로도 활용하였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재난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생산, 수집되었다. 피해자들은 재난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물리적·정신적 고통을 구술과 수기를 통해 표출하면서 고통과 직면했다. 구술·수기를 통한 피해자들의 고통직면은 그들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성장 시켰다.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은 전문가 행정기관으로 확장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서와 역사학자 중심으로 수집단계부터 활용을 염두 한 수집사업을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수집사업을 진행하면서 관계기관과 타 영역 전문가들과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필요성은 시민단체, 전문가집단, 행정기관과의 자발적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으로 이어졌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공동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관계기관이 모여 협력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수평적 협력모델이다. 당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구성원으로 참여한 피해지역 행정기관들은 이러한 네트워크망을 활용하여 재난아카이브 기반을 구축했다. 효고현 피해지역 행정기관의 재난아카이브는 설립초기부터 시민중심의 거버넌스 협력모델을 염두에 두었다. 이는 지진 직후부터 전개된 시민중심 수집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효고현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라는 시민중심의 거버넌스형 재난아카이브를 설립하였다. 2002년 설립한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지진 이후 아카이브 활동에 참여한 활동가나 전문가가 주축이 되어 조직을 구성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거버넌스 모델은 선진적인 재난아카이브 사례였지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효고현 퇴직공무원과 기능별 전문가들을 중복배치 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로서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구성원들과의 계층성을 포함하고 있던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조직구성은 재정적 자립이 재난아카이브의 운영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반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재난대응을 재난아카이브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서비스프로그램에 피해자들을 참여시켜 재난기억을 전승은 물론, 피해자의 사회적 참여를 통해 그들의 성장을 도왔다. 또한 재난 시의 현실적 대응을 위해 행정실무자, 기업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재난교육을 진행했다. 효고현의 재난아카이브뿐만 아니라 재난기억을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곳곳에서 나타났다. 피해자, 시민사회 대상의 구술·수기 활동과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활동을 예로들 수 있다. 이것은 재난기억 공유를 통해 개인과 커뮤니티의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기억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응축해서 보여준다. 피해자들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가족붕괴문제, 육아문제, 주거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갈등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구술·수기를 통해 사회에 공유하려 했다. 그들은 스스로의 경험을 고백하면서 사자(死者)와의 관계를 재정립하기도 하고, 자아성찰의 기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피해지역의 마을 만들기는 커뮤니티의 ‘장소성’ 복원을 두고 국가와의 갈등양상을 보였다. 장소성이란 지역의 오랫동안 지켜온 관계와 지역기억의 역사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장소성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살아온 손금 같은 것이었다. 장소성을 복원하는 것은 커뮤니티의 기억을 복원하는 것이고 이는 구성원들과의 유대감과 정체성을 공고히 해준다.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의 특징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응과 장소성을 살리는 마을 만들기이다. 일본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커뮤니티 주체들은 장소성의 복원을 위해 타 지역 커뮤니티와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행정기관 도시계획에 대응해 나갔다. 이러한 대응은 재난 커뮤니티들에게 주민자치를 통한 민주적 참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장소성을 살리는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활동은 ‘길과 녹지’조성이었다. 피해지역 주민들이 살아온 공간의 기억은 그들이 살았던 터무니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길과 녹지’였다. ‘길과 녹지’의 조성은 하나의 마을 만들기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재난지역 커뮤니티들은 마을 만들기 활동기억을 공유하기 위하여 방재교육, 간행물 발간, 재난 마을 아카이브 구축 등의 기억공유 활동을 전개했다. 지진 직후 아카이브 활동 주체들이 수집·생산한 재난기록들은 그 주체들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행정기관, 거버넌스 기관, 민간기관을 대표하는 재난아카이브들은 그들이 축적한 재난기록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지향을 보여주었다. 행정기관은 피해자들이 반대한 도시재건을 추진하였고, 거버넌스 기관은 시민활동기록만을 축적함으로써 거버넌스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 민간기관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직면하고 이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회복의 길을 모색했다. 각 재난아카이브들은 일정한 한계가 존재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인 피해자 지향의 재난아카이브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명확하였다. 피해자 지향의 재난아카이브를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는 피해자들의 자연스러운 기억을 담아 낼 수 있는 기록과 재정적 자립기반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일 것이다. 피해자들의 자연스러운 기억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기록은 구술·수기이다. 재정적 자립을 위해서는 협력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에셋 매니지먼트(Asset Management)’ 형식의 재난아카이브 운영방안이 있다. 재난기록은 재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재난은 응축된 사회모습을 반영하며 사회적 모순들을 보여준다. 재난아카이브는 재난기록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공론화할 수 있으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할 수 있다.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을 지지해 주는 것은 진정한 재난아카이브의 역할이다. 이 연구는 일본 재난아카이브 사례를 통해 재난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의 회복과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였다. 지진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동적 재난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 사례는 국내 재난아카이브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재난 기억을 쌓고 공유하는 것은 그 시대의 사회적 기억을 형성하는 일이다. 사회적 기억 공유의 시작은 바로 재난기록을 수집·보존하는 일이다. 일본의 사례는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 중심의 미시 기록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 기억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일은 있는 그대로의 재난을 드러내는 길이며 재난사를 확보하는 길이다.
일본 한신·아와지 대지진 재난아카이브는 자발적 시민참여 아카이브 운동이라는 사회현상과 연계되면서 거버넌스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일본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의 ‘고통 공감과 성장’을 위하여 재난아카이브를 기반으로 피해자 시민사회와 함께 지속적 극복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와 함께 재난극복을 위한 사회적 통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 배경에는 시민들이 있었다. 한신·아와지 대지진이 발생하고 시민들은 지진의 처참한 광경을 미디어를 통해 지켜보았으며, 그 결과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으로 이어졌다. 당시 유례가 없었던 큰 규모의 자원봉사활동은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자리 잡았다. 일본은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한 이 시기를 ‘봉사원년’이라고 명명했다. 지진 직후 시민사회의 자발적 ‘공조’체계가 형성되면서 일본 재난지역은 ‘재난 유토피아’를 경험했다. ‘재난 유토피아’는 재난지역의 피해자들과 시민사회가 이타적 감정이 상승하여 서로를 돕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으로 발전했다. 초기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자원봉사단체를 중심으로 전개하면서 일반시민계층까지 확장되었다. 자발적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 참여는 전문가, 행정기관의 아카이브 활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시민중심의 유례없는 대규모 자원봉사활동은 재난지역 행정기관들에게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했다. 지진 발생이후 아카이브 활동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시민중심 아카이브 활동은 재난기록 생산에 집중되었다. 이 시기에 추모글, 간행물, 노래, 문학작품, 미술품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생산 되었다. 재난기록 아카이브 활동은 새로운 문화형성, 정체성 변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성장으로 해석되었다. 기록을 활용한 이러한 사회현상은 시민사회가 피해자를 위로하는 방법이었다. 재난기록은 피해자들의 사회적 고통을 표출하는 통로로도 활용하였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재난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생산, 수집되었다. 피해자들은 재난으로 인해 겪어야 했던 물리적·정신적 고통을 구술과 수기를 통해 표출하면서 고통과 직면했다. 구술·수기를 통한 피해자들의 고통직면은 그들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를 성장 시켰다. 시민사회의 아카이브 활동은 전문가 행정기관으로 확장되었다. 전문가들은 사서와 역사학자 중심으로 수집단계부터 활용을 염두 한 수집사업을 진행했다. 전문가들은 수집사업을 진행하면서 관계기관과 타 영역 전문가들과 네트워크 형성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러한 필요성은 시민단체, 전문가집단, 행정기관과의 자발적 ‘네트워크 거버넌스’ 구축으로 이어졌다. ‘네트워크 거버넌스’는 공동의 목적달성을 위해서 관계기관이 모여 협력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수평적 협력모델이다. 당시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구성원으로 참여한 피해지역 행정기관들은 이러한 네트워크망을 활용하여 재난아카이브 기반을 구축했다. 효고현 피해지역 행정기관의 재난아카이브는 설립초기부터 시민중심의 거버넌스 협력모델을 염두에 두었다. 이는 지진 직후부터 전개된 시민중심 수집활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 대표적으로 효고현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라는 시민중심의 거버넌스형 재난아카이브를 설립하였다. 2002년 설립한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지진 이후 아카이브 활동에 참여한 활동가나 전문가가 주축이 되어 조직을 구성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거버넌스 모델은 선진적인 재난아카이브 사례였지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효고현 퇴직공무원과 기능별 전문가들을 중복배치 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로서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구성원들과의 계층성을 포함하고 있던 ‘사람과방재미래센터’의 조직구성은 재정적 자립이 재난아카이브의 운영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를 확인시켜 주었다. 반면 ‘사람과방재미래센터’는 재난대응을 재난아카이브 중심으로 전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서비스프로그램에 피해자들을 참여시켜 재난기억을 전승은 물론, 피해자의 사회적 참여를 통해 그들의 성장을 도왔다. 또한 재난 시의 현실적 대응을 위해 행정실무자, 기업가, 전문가를 대상으로 재난교육을 진행했다. 효고현의 재난아카이브뿐만 아니라 재난기억을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곳곳에서 나타났다. 피해자, 시민사회 대상의 구술·수기 활동과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활동을 예로들 수 있다. 이것은 재난기억 공유를 통해 개인과 커뮤니티의 치유를 목적으로 하는 기억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피해자들의 구술·수기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응축해서 보여준다. 피해자들은 지진으로 인해 발생한 가족붕괴문제, 육아문제, 주거문제, 심리적 문제, 사회갈등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구술·수기를 통해 사회에 공유하려 했다. 그들은 스스로의 경험을 고백하면서 사자(死者)와의 관계를 재정립하기도 하고, 자아성찰의 기회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피해지역의 마을 만들기는 커뮤니티의 ‘장소성’ 복원을 두고 국가와의 갈등양상을 보였다. 장소성이란 지역의 오랫동안 지켜온 관계와 지역기억의 역사를 유지함을 의미한다. 장소성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살아온 손금 같은 것이었다. 장소성을 복원하는 것은 커뮤니티의 기억을 복원하는 것이고 이는 구성원들과의 유대감과 정체성을 공고히 해준다.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의 특징은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활용한 대응과 장소성을 살리는 마을 만들기이다. 일본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커뮤니티 주체들은 장소성의 복원을 위해 타 지역 커뮤니티와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행정기관 도시계획에 대응해 나갔다. 이러한 대응은 재난 커뮤니티들에게 주민자치를 통한 민주적 참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장소성을 살리는 재난지역 마을 만들기 활동은 ‘길과 녹지’조성이었다. 피해지역 주민들이 살아온 공간의 기억은 그들이 살았던 터무니를 복원하는 것이었고 그것은 ‘길과 녹지’였다. ‘길과 녹지’의 조성은 하나의 마을 만들기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재난지역 커뮤니티들은 마을 만들기 활동기억을 공유하기 위하여 방재교육, 간행물 발간, 재난 마을 아카이브 구축 등의 기억공유 활동을 전개했다. 지진 직후 아카이브 활동 주체들이 수집·생산한 재난기록들은 그 주체들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다. 행정기관, 거버넌스 기관, 민간기관을 대표하는 재난아카이브들은 그들이 축적한 재난기록을 통해 현재의 문제점과 미래지향을 보여주었다. 행정기관은 피해자들이 반대한 도시재건을 추진하였고, 거버넌스 기관은 시민활동기록만을 축적함으로써 거버넌스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 민간기관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들의 고통을 직면하고 이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회복의 길을 모색했다. 각 재난아카이브들은 일정한 한계가 존재했지만, 가장 중요한 요소인 피해자 지향의 재난아카이브가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명확하였다. 피해자 지향의 재난아카이브를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과제는 피해자들의 자연스러운 기억을 담아 낼 수 있는 기록과 재정적 자립기반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일 것이다. 피해자들의 자연스러운 기억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기록은 구술·수기이다. 재정적 자립을 위해서는 협력적 네트워크에 기반한 ‘에셋 매니지먼트(Asset Management)’ 형식의 재난아카이브 운영방안이 있다. 재난기록은 재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재난은 응축된 사회모습을 반영하며 사회적 모순들을 보여준다. 재난아카이브는 재난기록을 통해 사회적 모순을 공론화할 수 있으며, 사회적 약자를 대변할 수 있다.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을 지지해 주는 것은 진정한 재난아카이브의 역할이다. 이 연구는 일본 재난아카이브 사례를 통해 재난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재난아카이브는 피해자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그들의 회복과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였다. 지진 이후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동적 재난아카이브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 사례는 국내 재난아카이브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재난 기억을 쌓고 공유하는 것은 그 시대의 사회적 기억을 형성하는 일이다. 사회적 기억 공유의 시작은 바로 재난기록을 수집·보존하는 일이다. 일본의 사례는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 중심의 미시 기록 중심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재난아카이브가 피해자 기억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일은 있는 그대로의 재난을 드러내는 길이며 재난사를 확보하는 길이다.
A disaster archive on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te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governance with the social phenomenon of a local community-based movement. The disaster archive in Japan has shown how the victims of disasters have recovered with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disaster arc...
A disaster archive on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te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governance with the social phenomenon of a local community-based movement. The disaster archive in Japan has shown how the victims of disasters have recovered with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 aiming for ‘shared agony and growth.’ It also proved that the disaster archive can play a social channel role for victims with overcoming disasters. The bottom line of that success is local communities, which consist of citizens. When the earthquake hit the country of Japan, all of its citizens watched the disastrous accidents through the media, and they were willing to go out and help, which resulted in large scale volunteerism. It soon became a social phenomenon for which there was no precedent. Japan officially named that year ‘the First year of the Great Volunteer’ to commemorate it. Since the earthquake, the Japanese living in disaster areas experienced ‘Disaster Utopia’ with the voluntary culture of ‘help’ from local communities. ‘Disaster Utopia’ is a term for the phenomenon in which both victims of disaster and the local community, with a feeling of altruism, help each other in the disaster areas. It has been developed in to disaster archive activities. The early part of the activities mainly started with groups of volunteer workers and gradually expanded to ordinary citizens.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had an influence on professional archivists and governmental activities. The nationwide scale of volunteer work willingly formed, in particular, by groups of citizens gave importance to the governanc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or the disaster areas. Since the earthquake, archival activities have worked on the local community. They have focused on producing disaster archives. A variety of archives have been produced such as memorial writing, periodicals, songs, literature, art works and so on. These kinds of archival activities provided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new kind of culture and the growth of society with a changing identity. The social events using archives was one way of relieving the sorrow of victims. Also, they were using the archives as a channel of presenting their agony. Their oral history was produced and collected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s. They confronted their sadness while talking and writing about how they suffered due to the tragedy. The confrontation helped the victims develop themselve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local communities. The community-based archival activities have been and are expanded into profess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everal experts, mainly librarians and historians, undertook a project that includes collecting from and using all archives. They realized how important making a network with experts from other related areas and organizations is. This desire was connected to building voluntary ‘Network Governance’ formed by local communities, groups of expert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t is a kind of a horizontal cooperation model forming a network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o achieve their common goal.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the earthquake area was a member of the ‘Network Governance’ and it used the network to build a base of disaster archives. The disaster archive organization, in the disaster area, focused on the community-based governance cooperation model built from scratch. This played a crucial role in community-based archival activities which started right after the earthquake. ‘The Disaster Reduction and Human Renovation Institution’, a community-based governance disaster archive center in Hyogo prefecture in Japan, is one good example. It was established in 2002, and consisted of activists and experts who had experienced archival events. Its governance model included both pros and cons for the disaster archive although it was fairly advanced. One of the weaknesses is that it assigned both resigned public officers and archival experts to the same job. That was a defect in the system of governance model. This kind of grouping, where each of the groups belongs to a different class of people, shows how important financial independence is when operating disaster archives. On the other hand, ‘the Disaster Reduction and Human Renovation Institution’ shows a possibility in which disaster response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s. It made the victims of the earthquake participate in service programs, helped them recover from their sadness and handed down all memories of the disaster. It also opened a disaster education program to teach administrators, businessmen, and various relevant experts to response to disasters appropriately. As well as the case of Hyogo in Japan, many organizations and people shared memories of disasters. Recording oral history of the victims and creating a town in the area of disaster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memorial event to heal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rough sharing the memories of the disaster. The result of recording oral history is a dense mass of agony from the victims. They tried to share their sadness, including family breakdown, nurturing, housing, psychological problems and other social conflicts, through their stories. They tried to finis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ad and to manage to live on. They also used it as a chance to reflect on themselves while confessing their experiences. Creating a town in the area of disaster can cause a problem with the recovery of ‘placeness’ of the community with the nation. Placeness means to keep the history and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It shows how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has lived there. Recovering placeness is to restore memories of the community, and it also makes a sense of fellowship and solidifie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In this sense, when creating a town in the devastated area, it is important to use the community network to cope with disasters and to keep placeness. To recover placeness, the agencies who created a town in the disaster area in Japan formed a network with local communities and responded to the town planning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is showed that democratic participation through citizen autonomy is extremely important. One activity to recover placeness was creating ‘roads and forests.’ These ‘roads and forests’were put in place to remember those who lived there before, a place of remembrance. It became a collective town project. Community members of the disaster collected memories through taking boom education, publishing periodicals, and building disaster archives. Disaster archives which covers the subject of archival activities collected and produced right after the earthquake reflect the identity of the victims themselves. Through the archives they collected, they showed what needed to be solved and how to go about solving i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arried forward an urban planning the victims opposed to, and governance organizations focused only on collecting community activities, which shows the limitation of the governance system. Community-based disaster archives were faced with the victim’s sadness and tried to find a way they can be relieved. Each of the disaster archives does exist with its limitations, but it is clear that they should be done with the victims in mind. A prerequisite of the victim-oriented disaster archive is to establish the governance system to make the financial base and record their natural memories. The best way to record their natural memories is to collect their stories. Also,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there is a way of managing the disaster archives, ‘Asset Management’, based on a cooperative network. Records of a disaster is an important element to understand the disaster. It reflects what the world is and how inconsistent it is. Disaster archives can show the inconsistency of the world through disaster records and be a representative of the victims. It is their role to understand the agony of the victims and support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disasters by showing examples of disaster archives in Japan. Disaster archiv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 victims recover and helping them to grow. For twenty years after the earthquake, they have run ‘dynamic disaster archive,’ and it gives us room to consider how disaster archive in Korea works. To collect and share memories of disaster is to form a social memory of the time. Sharing the social memory starts with disaster records. The example of Japan indicates that disaster archives should be based on small records and memories of the victims. For disaster archives to preserve and share memories of the victims reveals the disaster as it is and secures for the history of the disaster.
A disaster archive on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te has been established as a form of governance with the social phenomenon of a local community-based movement. The disaster archive in Japan has shown how the victims of disasters have recovered within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 aiming for ‘shared agony and growth.’ It also proved that the disaster archive can play a social channel role for victims with overcoming disasters. The bottom line of that success is local communities, which consist of citizens. When the earthquake hit the country of Japan, all of its citizens watched the disastrous accidents through the media, and they were willing to go out and help, which resulted in large scale volunteerism. It soon became a social phenomenon for which there was no precedent. Japan officially named that year ‘the First year of the Great Volunteer’ to commemorate it. Since the earthquake, the Japanese living in disaster areas experienced ‘Disaster Utopia’ with the voluntary culture of ‘help’ from local communities. ‘Disaster Utopia’ is a term for the phenomenon in which both victims of disaster and the local community, with a feeling of altruism, help each other in the disaster areas. It has been developed in to disaster archive activities. The early part of the activities mainly started with groups of volunteer workers and gradually expanded to ordinary citizens.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had an influence on professional archivists and governmental activities. The nationwide scale of volunteer work willingly formed, in particular, by groups of citizens gave importance to the governance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for the disaster areas. Since the earthquake, archival activities have worked on the local community. They have focused on producing disaster archives. A variety of archives have been produced such as memorial writing, periodicals, songs, literature, art works and so on. These kinds of archival activities provided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new kind of culture and the growth of society with a changing identity. The social events using archives was one way of relieving the sorrow of victims. Also, they were using the archives as a channel of presenting their agony. Their oral history was produced and collected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s. They confronted their sadness while talking and writing about how they suffered due to the tragedy. The confrontation helped the victims develop themselve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local communities. The community-based archival activities have been and are expanded into profession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everal experts, mainly librarians and historians, undertook a project that includes collecting from and using all archives. They realized how important making a network with experts from other related areas and organizations is. This desire was connected to building voluntary ‘Network Governance’ formed by local communities, groups of expert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It is a kind of a horizontal cooperation model forming a network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to achieve their common goal.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the earthquake area was a member of the ‘Network Governance’ and it used the network to build a base of disaster archives. The disaster archive organization, in the disaster area, focused on the community-based governance cooperation model built from scratch. This played a crucial role in community-based archival activities which started right after the earthquake. ‘The Disaster Reduction and Human Renovation Institution’, a community-based governance disaster archive center in Hyogo prefecture in Japan, is one good example. It was established in 2002, and consisted of activists and experts who had experienced archival events. Its governance model included both pros and cons for the disaster archive although it was fairly advanced. One of the weaknesses is that it assigned both resigned public officers and archival experts to the same job. That was a defect in the system of governance model. This kind of grouping, where each of the groups belongs to a different class of people, shows how important financial independence is when operating disaster archives. On the other hand, ‘the Disaster Reduction and Human Renovation Institution’ shows a possibility in which disaster response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disaster archives. It made the victims of the earthquake participate in service programs, helped them recover from their sadness and handed down all memories of the disaster. It also opened a disaster education program to teach administrators, businessmen, and various relevant experts to response to disasters appropriately. As well as the case of Hyogo in Japan, many organizations and people shared memories of disasters. Recording oral history of the victims and creating a town in the area of disaster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is can be understood as a memorial event to heal the people of the community through sharing the memories of the disaster. The result of recording oral history is a dense mass of agony from the victims. They tried to share their sadness, including family breakdown, nurturing, housing, psychological problems and other social conflicts, through their stories. They tried to finish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ad and to manage to live on. They also used it as a chance to reflect on themselves while confessing their experiences. Creating a town in the area of disaster can cause a problem with the recovery of ‘placeness’ of the community with the nation. Placeness means to keep the history and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It shows how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has lived there. Recovering placeness is to restore memories of the community, and it also makes a sense of fellowship and solidifie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In this sense, when creating a town in the devastated area, it is important to use the community network to cope with disasters and to keep placeness. To recover placeness, the agencies who created a town in the disaster area in Japan formed a network with local communities and responded to the town planning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is showed that democratic participation through citizen autonomy is extremely important. One activity to recover placeness was creating ‘roads and forests.’ These ‘roads and forests’were put in place to remember those who lived there before, a place of remembrance. It became a collective town project. Community members of the disaster collected memories through taking boom education, publishing periodicals, and building disaster archives. Disaster archives which covers the subject of archival activities collected and produced right after the earthquake reflect the identity of the victims themselves. Through the archives they collected, they showed what needed to be solved and how to go about solving i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carried forward an urban planning the victims opposed to, and governance organizations focused only on collecting community activities, which shows the limitation of the governance system. Community-based disaster archives were faced with the victim’s sadness and tried to find a way they can be relieved. Each of the disaster archives does exist with its limitations, but it is clear that they should be done with the victims in mind. A prerequisite of the victim-oriented disaster archive is to establish the governance system to make the financial base and record their natural memories. The best way to record their natural memories is to collect their stories. Also, to be financially independent, there is a way of managing the disaster archives, ‘Asset Management’, based on a cooperative network. Records of a disaster is an important element to understand the disaster. It reflects what the world is and how inconsistent it is. Disaster archives can show the inconsistency of the world through disaster records and be a representative of the victims. It is their role to understand the agony of the victims and support them.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disasters by showing examples of disaster archives in Japan. Disaster archiv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 victims recover and helping them to grow. For twenty years after the earthquake, they have run ‘dynamic disaster archive,’ and it gives us room to consider how disaster archive in Korea works. To collect and share memories of disaster is to form a social memory of the time. Sharing the social memory starts with disaster records. The example of Japan indicates that disaster archives should be based on small records and memories of the victims. For disaster archives to preserve and share memories of the victims reveals the disaster as it is and secures for the history of the disast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